주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09177002 2025. 2. 1. 20:28
728x90
반응형
SMALL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사업의 개요>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종합물류업과 유통판매업, 해운업입니다. 종합물류업은 고객의 화물에 대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국내물류와 해외물류로 구분되며, 유통판매업은 CKD부품 공급 사업, 도매형태의 중고차 경매와 수출을 하는 중고차사업, 원자재 수출입을 하는 트레이딩사업으로 구분됩니다.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한 화물 운송 사업으로 완성차 운송과 벌크 운송으로 구분됩니다. 2024년 3분기말 기준 연결 매출액은 총 21조 1,195억원으로 종합물류업 7조 2,918억원(34.53%), 유통판매업 10조 599억원(47.63%), 해운업 3조 7,678억원(17.84%)입니다.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현대자동차(주)와 기아(주)입니다.

종합물류업은 경제 전반을 구성하는 물적 요소들의 흐름에 관련된 사업으로, 생산지에서부터 소비지까지의 물품과 정보의 흐름 및 저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 통제, 실행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당사는 고객의 화물에 대한 운송, 보관 및 하역, 물류컨설팅 등 물류 관련 업무를 총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첨단 물류정보시스템과 전문 인력을 활용한 One Stop Total Logistics Service를 제공하여 고객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당사 종합물류업은 발생지역에 따라 국내물류와 해외물류로 구분되며, 품목에 따라 수출입물류, 완성차물류, 부품물류, 벌크물류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통판매업 내 CKD사업은 Complete Knock Down 즉,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으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사업입니다. 해외공장으로부터 국내외 부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여 발주/집하/포장 후 컨테이너 작업, 해상/항공운송을 통하여 현지공장에 납입하는 것으로, 리드타임의 단축과 적시납입체계, 포장품질 유지와 포장 표준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소입니다. 당사의 CKD사업은 현대자동차/기아를 중심으로 해외 완성차 공장의 조립 생산을 위해 자동차부품을 국내외 협력사로부터 발주/조달하여 포장 후 공장까지 통관, 운송, 판매하는 사업으로 부품발주에서 포장, 운송은 물론 현지 재고관리, 즉시납입을 아우르는 종합 유통서비스를 제공하여 현지 공장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통판매업 내 중고차사업은 국내 최대 중고차 경매장 운영과 당사 중고차 거래전문 서비스인 오토벨을 통해 중고차 매입부터 시세 산출, 거래 중개까지 담당하는 사업입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중고차 수출 및 해외 중고차 유통까지 사업영역 확장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당사 중고차사업의 주요부문인 경매는 개인/법인들의 신차구입, 렌터카 및 리스 운용 업체들의 자산 매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경쟁입찰을 통해 차량을 매각하기 때문에 매도자 입장에서는 매매업체에 개별적으로 매도하는 것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과 신뢰성 있는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년간의 경매장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차 업계와 소비자를 잇는 온라인 거래 중개 플랫폼 오토벨을 통해 중고차 시장의 투명성 확보와 거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유통판매업 내 트레이딩사업은 산업 필수 소재인 알루미늄과 구리 등을 수출입하는 비철금속 트레이딩사업입니다. 당사는 주요 거래선인 중동, 아태 등 신성장 지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 보유하고 있는 물류 인프라 및 유통 역량을 기반으로 트레이딩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화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송하는 서비스 산업이며, 선박 확보를 위한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적 산업입니다. 당사의 해운사업부문은 자동차선 사업과 벌크선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자동차선 사업은 PCTC(자동차선, RoRo)를 이용해 승용차, 상용차, 특수차량, 프로젝트 화물(건설중장비, 철도차량) 등을 운송하고 있습니다. 벌크선 사업은 벌크선을 이용한 철광석, 석탄, 곡물 등 Dry Bulk 화물 운송, 탱커선을 이용한 원유, 석유제품, 가스선을 이용한 LNG 등 Wet Bulk 화물 운송을 모두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자동차선 사업은 본사와 해외 네트워크 간의 효율적인 업무협력, 전세계 다양한 항로 개발 및 노선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오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차그룹 완성차 외에도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VW, BMW, Daimler, Ford, GM 등) 및 중고차와 프로젝트 중량 화물(현대건설기계, 볼보, 두산 등)을 수송 중입니다. 특히 글로벌 선사 최초로 전기차 해상운송 매뉴얼 제작 및 현장 적용을 통해 전기차 운송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22년부터 자동차선 시장은 글로벌 물동량 증가, 항구 체선 심화 등으로 인해, 선복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35척의 자동차선 신규 확보 계약을 체결 완료하였으며, 본 선박들은 '28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입니다. 35척 모두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으로, 당사는 세계 최대의 규모의 저탄소 자동차선 보유선사로 등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은 일반 선박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벌크선 사업은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외 우량화주사와 장기계약 위주의 사업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Dry Bulk는 서부발전, 남동발전, OCP 등 국내/외 화주와 Wet Bulk는 현대오일뱅크, GS Caltex 등 국내 대형 정유사와 장기계약 체결 중입니다. '19년 7월에는 노르웨이 Fredriksen 그룹 Flex LNG와의 계약을 통해 LNG선 시장에 진출했으며, '21년 9월 세계 최대 원자재 트레이딩 업체 중 하나인 트라피구라사와 암모니아 및 LPG 운송이 가능한 초대형 가스 운반선 2척에 대한 장기계약 체결, '22년 4월 호주의 세계적인 에너지 기업인 우드사이드사와 LNG 장기운송계약 체결, '24년 3월 "K" LINE사와 컨소시엄으로 카타르 국영 기업 카타르에너지와 LNG 운반선 4척의 장기계약 체결 등, 친환경에너지 운송사업을 지속 확대 추진 예정입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종합물류업과 유통판매업, 해운업입니다.

종합물류사업 부문은 고객의 화물에 대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당사는 고객의 화물에 대한 운송, 보관 및 하역 등의 물류 관련 업무를 총괄 담당하고 있습니다. 업무 특성에 따라 외부의 실행업체에게 다시 운송, 보관 등의 실행을 아웃소싱하고 있습니다. 종합물류업은 국내물류와 해외 현지물류인 해외물류로 구분합니다.

유통판매사업 부문은 자동차 CKD사업과 도매형태의 중고차 경매와 수출을 하는 중고차사업이 있으며 원자재를 수출입을 하는 트레이딩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운사업 부문은 자동차선 사업과 벌크선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자동차선 사업은 PCTC(자동차선, RoRo)를 이용해 승용차, 상용차, 특수차량, 프로젝트 화물(건설중장비, 철도차량) 등을 운송하고 있습니다. 벌크선 사업은 벌크선을 이용한 철광석, 석탄, 곡물 등 Dry Bulk 화물 운송, 탱커선을 이용한 원유, 석유제품, 가스선을 이용한 LNG 등 Wet Bulk 화물 운송을 모두 수행하고 있습니다.

종합물류사업, 유통판매사업, 해운사업 부문이 공시대상기간 중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연결기준 각각 34.53%, 47.63%, 17.84%입니다.

 

 

반응형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물류거점
당사는 국내 52개, 해외 98개의 주요 물류거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완성차 수출입을 위한 평택항 물류기지와 CKD 집하 및 포장 등을 위한 KD센터, 자동차 공장의 부품 서열화 등에 기여하는 C/C (Consolidation Center) 등 자동차 관련 거점을 구축하였으며 중고차사업을 위해 분당과 시화 및 양산에 경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현대제철 등의 철강운송을 위한 사무소 등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주요 해외 물류거점으로는 1개의 HQ, 37개의 현지법인, 22개의 지사, 38개의 사무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중 Glovis Alabama, Glovis Slovakia, Glovis Czech, Glovis Georgia 등은 차량 생산과 관련한 물류전반을 담당합니다.
기타 해외법인들도 각자 현지에서의 자동차 관련 물류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사 및 사무소 등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진출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현지 협력업체와의 공조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설비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 억원)

소유구분구 분소재지토 지건 물장부가액비 고

소유 물류기지 등 경기 평택 등 821,651 259,337 4,297 -
임차 본사 등 서울 등 1,143,209 238,316 - -
합계 1,964,860 497,653 4,297 -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주요 설비 현황(상세)' 참조

 

나. 투자계획
2023년 및 2024년 3분기 국내법인 투자 상세 내역과 2024년 향 투자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기투자액향후투자액투자기대효과2023년2024년 3분기2024년

물류 토지 및 건물 6,638 123,809 25,667 매출증대 및
업무효율 증가
기계장치 외 17,596 5,282 6,001
유통 토지 및 건물 1,880 2,511 178
기계장치 외 2,695 2,593 878
해운 선박 145,380 658,977 13,571
장비 - 425 -
환경투자 31,841 26,572 35
IT투자 21,736 18,538 10,150
기타 62,863 132,171 12,935
합 계 290,629 970,878 69,415 -


2023년 및 2024년 3분기 해외법인 투자 상세 내역과 2024년 향후 투자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기투자액향후투자액투자기대효과2023년2024년 3분기2024년

시설투자 토지 및 건물 10,928 3,427 54,640 매출증대 및
업무효율 증가
기계장치 외 59,732 52,252 100,843
합 계 70,660 55,679 155,483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당사의 매출은 크게 3가지 사업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에서의 물류 매출인 물류,
CKD부품 판매 매출 및 중고차, 트레이딩사업 등을 포함한 매출인 유통,
선사운영 관련 매출인 해운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누적 연결 매출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제24기 3분기제23기제22기금 액비 중(%)금 액비 중(%)금 액비 중(%)

물류 7,291,832 34.53 9,021,606 35.13 9,476,895 35.12
유통 10,059,796 47.63 12,450,327 48.48 12,934,073 47.94
해운 3,767,841 17.84 4,211,264 16.40 4,570,913 16.94
합계 21,119,469 100.00 25,683,197 100.00 26,981,881 100.00

 

각 사업부문별 별도 매출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매출유형내수/수출제24기 3분기제23기제22기금 액비 중(%)금 액비 중(%)금 액비 중(%)

물류 내수물류 및
수출입물류
서비스
내수 1,466,358 9.10 1,970,552 10.11 1,773,501 8.24
수출입 1,555,599 9.66 1,758,415 9.02 3,373,633 15.67
합계 3,021,957 18.76 3,728,967 19.12 5,147,134 23.91
유통 CKD부품
및 상품판매 등
내수 688,491 4.27 891,825 4.57 860,470 4.00
수출입 8,631,959 53.58 10,667,895 54.71 10,950,462 50.86
합계 9,320,450 57.85 11,559,720 59.28 11,810,932 54.86
해운 수출입물류
서비스/선사운영
수출입 3,767,841 23.39 4,211,264 21.60 4,570,913 21.23
합계 3,767,841 23.39 4,211,264 21.60 4,570,913 21.23
합계 내수 2,154,849 13.38 2,862,377 14.68 2,633,971 12.23
수출입 13,955,399 86.62 16,637,574 85.32 18,895,008 87.77
합계 16,110,248 100.00 19,499,951 100.00 21,528,979 100.00

 

나. 판매경로 및 판매전략 등
물류사업은 고객사의 요구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전국의 주요 거점에 영업소 및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에는 해외법인과 사무소를 설치하여 국제물류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단순 물류아웃소싱을 벗어나 고객의 물류환경에 적합한 물류전략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첨단물류정보시스템과 선진물류 기술로 물류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One Stop Total Logistics Service를 제공하여 고객의 가치를 최대화시킴으로써 기존 고객을 고정고객화시키고 새로운 화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CKD사업은 현대자동차/기아의 해외 완성차 생산을 위한 자동차부품을 국내외 협력사로부터 수급하여 현지 공장에 운송,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발주에서 포장, 운송은 물론 현지에서의 내륙운송 및 보관 등 KD물류에 대한 종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지 공장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고차사업은 오프라인에서는 분당, 시화, 양산, 인천에 경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증강현실 기반의 성능점검 정보 제공 등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경매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가서비스 확대를 향후에도 지속 추진할 계획입니다. 현재의 중고차 시장은 복잡한 유통구조, 품질보증의 미흡, 가격 및 품질에 대한 투명성 저하 등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고객이 안심하고 중고차를 거래할 수 있는 유통망의 선진화" 를 목표로 투명한 상품 정보 제공, 전문인력을 통한 1대1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신뢰 구축을 통해 기존 업체와 차별화하고 있습니다. 중고차 수출 사업은 국내 중고차 매입 역량을 기반으로 수입국 현지의 네트워크 활용을 통해, 중남미와 중동, CIS 등에 중고차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수입국 현지 기준에 부합하는 고품질 차량 공급으로 고객 신뢰 구축과 기존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신규 수출국 개척과 고객 발굴을 통한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트레이딩사업은 비철금속 분야의 트레이딩 역량과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외 우량 고객사와 공급선을 발굴하여 자동차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업계로 알루미늄/구리 원자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으로 강화되는 탄소배출량 감축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가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저탄소 알루미늄 소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친환경 제련소/합금사 발굴 및 협업을 통해 저탄소 알루미늄 공급 안정화를 추진하고 당사의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운사업은 자동차선 사업 11곳, 벌크선 사업 2곳의 해외 사무소를 운영 중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고객사의 요구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신규 화주를 적극 발굴하고 있습니다. 완성차 운송사업은 Break Bulk 사업 확대 등 신시장 개척을 통한 운송물량 및 제3자 물류매출 확대를, 벌크 운송사업은 국내외 대형 화주사와의 장기계약을 통한 LNG 운송사
업 확대 및 암모니아,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운송시장 진입을 추진 중입니다.

2024년 3분기 연결기업의 주요 매출처는 현대자동차(주)와 기아(주)이며, 그 비중은 2024년 3분기 총 연결매출액 대비 각각 40.61%, 27.15%입니다.(해외종속법인 포함) 연결회사의 주요매출처는 중요성의 관점에서 매출비중이 10% 이상인 거래처를 표기하였습니다.


다. 수주상황
당분기말 현재 진행중인 주요 장기매출계약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계약형태계약상대계약일자계약금액계약기간비고

완성차 해상운송계약 현대자동차(주) 2021.12.28 1,058,275 2022.01.01~2024.12.31 -
완성차 해상운송계약 기아(주) 2021.12.28 905,878 2022.01.01~2024.12.31 -
완성차 해상운송계약 글로벌완성차업체(*) 2022.09.14 2,188,100 2023.01.01~2025.12.31 -
완성차 해상운송계약 글로벌완성차업체(*) 2022.11.10 1,045,500 2023.01.01~2024.12.31 -

※ 대내외 경제상황 변동에 따라 물동량 및 수요가 변할 수 있어 수주잔고 등 상황을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 글로벌완성차업체는 거래상대방과의 계약에 따라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구체적인 업체명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기업의 주요 금융부채는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기타지급채무 및 장기차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현금및단기예금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절차를 검토하고 정책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투기 목적의 파생상품거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정책입니다.

(1)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
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환율변동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변동이자율이 적용되는 장기차입금은 각각 862,320,789원과 660,787,274천원으로,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이자율 100BP 변동 시 변동이자율이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당분기말 전기말
100BP 상승 시 100BP 하락 시 100BP 상승 시 100BP 하락 시
(8,623,208) 8,623,208 (6,607,873) 6,607,873


2) 환율변동위험
환율변동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해외 영업활동 등으로 인하여 USD 및 EUR 등의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5% 변동 시 환율변동이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당분기말전기말5% 상승시5% 하락시5% 상승시5% 하락시

USD (9,173,221) 9,173,221 10,323,250 (10,323,250)
EUR 8,696,352 (8,696,352) 6,153,474 (6,153,474)
기타 3,740,610 (3,740,610) 4,662,148 (4,662,148)
합     계 3,263,741 (3,263,741) 21,138,872 (21,138,872)

상기 민감도 분석은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ㆍ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3)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상장지분상품 175,127,731천원이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해당 주식의 주가가 5% 변동 시 지분상품의 가격변동이 기타포괄손익(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5% 상승 시5% 하락 시

법인세효과 차감전 기타포괄손익 8,756,387 (8,756,387)
법인세효과 (2,311,686) 2,311,686
법인세효과 차감후 기타포괄손익 6,444,701 (6,444,701)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영업활동과 재무활동에서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1) 매출채권 및 계약자산과 기타수취채권

연결기업은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모든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의 수행을 원칙으로 하여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연결기업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매출채권 및 계약자산과 기타수취채권 잔액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대손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해당 채권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연결기업은 해당 채권에 대해 매 보고기간말에 개별적 또는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매출채권 및 계약자산 중 주요 10대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과 금액은 각각 42.52%, 1,324,943,628천원 및 40.40%, 1,239,944,074천원입니다.

2) 기타의 자산
현금, 단ㆍ장기예금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기업의 기타의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연결기업의 신용위험 노출정도는 최대 해당 금융상품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연결기업은 신한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현금및현금성자산 등을 예치하고 있으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특유의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금융상품 및 금융자산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여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금융비용을 포함한 금융부채의 보고기간말로부터 계약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 만기별로 구분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1년이내1년초과~5년이내5년초과합  계

매입채무 2,269,370,449 - - 2,269,370,449
기타지급채무 581,339,127 540,080 - 581,879,207
차입금 1,187,112,586 651,932,329 - 1,839,044,915
회사채 193,290,700 112,747,250 - 306,037,950
기타금융부채 511,711,544 1,370,089,861 164,918,150 2,046,719,555
금융보증충당부채 12,982,489 72,296,647 - 85,279,136
파생상품부채 26,075,183 427,421 - 26,502,604
합  계 4,781,882,078 2,208,033,588 164,918,150 7,154,833,816


(4) 위험 관리 정책
1) 위험 관리 방식
연결기업은 불확실한 시장위험을 최소화하여 재무구조의 건전성 및 경영의 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
연결기업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과 환리스크 관리에 대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인원을 배정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환리스크 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내부 승인을 득한 기준에 따라, 시장상황 변화에 따라 헤지전략 및 수단을 검토하여, 환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시장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
여유자금의 운용은 대부분 확정 금리 상품을 이용하여 운용하고 있으므로, 운용기간 도중 금리변동으로 인한 시장위험의 정도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현재 LIBOR에 연동하여 발생하는 이자비용은 LIBOR 상승시 증가할 위험이 있습니다. 향후 이자비용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이자율 변동 헤지 목적의 금리파생상품을 일부 운용할 예정입니다.

- 신용위험
연결기업은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모든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의 수행을 원칙으로 하여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연결기업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잔액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신한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현금및현금성자산 등을 예치하고 있으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2) 위험 관리 조직
연결기업은 시장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집행업무와 거래확인 업무를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째, 집행업무로는 금융거래 실행, 시장위험 조사, 취합, 관리, 분석 및 시장상황 보고 등이 있으며, 둘째, 거래확인 업무는 금융거래 실행이 금융사항을 최대한 고려하여 판단된 것인지, 금융기관과 체결한 약정대로 거래가 체결되었는지 금융거래내역 확인 등이 있습니다.

(5) 시장위험관리 관련 추진사항
당사는 위의 시장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위험관리 조직을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보다 완전하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한 외부 기관의 교육 등을 정기적으로 이수하여 리스크 관련 전문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 거래 현황
(1) 파생상품계약 현황
연결기업은 환위험 및 기타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매매목적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파생상품 계약에 따라 권리와 의무를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자산, 부채로 계상하고, 평가시 발생한 손익은 발생시점에 당기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계약내용은 당사가 만기일에 약정한 외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에 인도하고, 계약시점의 행사환율로 환산한 원화금액을 거래상대방으로부터 인도받는 거래형태입니다. 2024년 9월 30일 현재 미결제 약정액은 536,775천 USD이고,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외화)

통화계약금액행사가격계약만기일비고

USD 502,036 1,301.20원~1,381.39원 2024.10.02~2024.12.16 통화선도
USD 34,740 1,159.20원~1,429.00원 2026.01.30~2029.04.09 통화스왑

연결기업은 USD 매도 선물 및 옵션계약을 체결하고 있고, 파생상품의 공정가액은 결산일 기준으로 거래 금융기관이 제공한 평가내역을 이용하였습니다.
한편, 동계약을 2024년 9월 30일 현재의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16,300백만원의 평가이익, 3,388백만원의 평가손실을 계상하였습니다.

연결기업은 원자재상품 매입 매도에 따른 상품선물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상품계약과 관련하여 발생된 손익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 USD)
구분 미결제약정금액
매도 매수
비철 45,914 30,537
벙커 321 1,485

연결기업은 동 상품선물계약을 당분기말 현재의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3,218만원의 평가이익과 4,846백만원의 평가손실을 계상했습니다.


다.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1)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2021년 당사가 지분을 인수한 Boston Dynamics, Inc. 관련하여, 거래상대방인 SoftBank Group Capital Limited는 보유하고 있는 Boston Dynamics, Inc.의 잔여지분(12%)에 대하여 당사와 체결한 주주간 합의서에 따라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잔여지분 중 당사가 매수 의무를 부담하는 지분은 잔여지분을 제외한 88% 지분에 대한 당사의 지분 비율에 따릅니다. 해당 옵션은 (1) 거래종결일로부터 4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의 상장이 결정되고, 상장 결정 통지일로부터 2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2) 거래종결일로부터 4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가 상장되지 않고, 그로부터 3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3) 거래종결일로부터 5년 이내에 Boston Dynamics, Inc.가 상장되지 않고, 그로부터 30일 내에 매수인들에게 통지하는 경우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나. 연구개발활동 담당조직

 
연구개발활동 담당조직



다. 연구개발 실적/활동

연구 과제연구 결과 및 기대효과연도

기업부설 연구소 등록 - 2019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활동 국내/외 물류시장 조사 및 사례연구 7건,
자동차, 식음료, 가구, 건자재 등 물류최적화 컨설팅 8건
2019
빅데이터 연구 과제 Dry Bulk 3개 선형(Cape, Panamax, Supramax) 운임 예측 모델 개발 2019
사무업무자동화(RPA) 도입 RPA 툴 도입 및 전사 과제 진행 2019
물류센터 설계/시각화 툴 도입 시뮬레이션 툴 3개 도입 완료 - 타블로, CAD, Sketch up, 오토모드 2019~2020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활동 국내/외 물류시장 조사 및 사례연구 5건,
자동차, 화학, 식음료, 가구, 건자재 등 물류최적화 컨설팅 12건
2020
물류현장 작업표준화 체계 수립 승용 자동차부문 CC서열/피딩작업의 MOTAPS 기반 M/H 산정기법 체계화 2020
스마트 출고센터 구축 스마트기술(비전머신)을 포함한 출고센터 레이아웃 설계 및 효과 산출,
KD센터 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Layout 설계
2020
도심 생활 물류 플랫폼 사업화 실내 로봇배송 생활물류 사업 추진을 위한 서비스 기술 확보(트위니) 2020
도심유휴공간 공유 근거리 배송 플랫폼 중개 플랫폼 사업 모델 실증 추진(파크AI) 2020
빅데이터 연구 과제 자동차선 자동 배선 알고리즘 개발, 글로벌포워딩 고객DB 디지털화 체계 구축,
TPL 운임 DB 디지털화
2020
스마트주차솔루션 구축 주차로봇기반 스마트주차시스템 기술검증(인천국제공항공사 협업) 2020
지적재산권 사용 후 배터리의 안정적 운송과 다단적치 기능의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
주차로봇 객체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특허
2021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활동 정유업 물류효율화 컨설팅, 농식품물류센터 운영혁신방안 컨설팅, 완성차 출고센터 운영
효율화 컨설팅, 제지업 수주 제안 거점운영안 컨설팅,항만 상하역 적정 Infra 산출 컨설팅,
현대 백화점 온라인 물류센터 설계, 현대 트랜스리드 물류최적화 컨설팅, B마트 베트남
진출 컨설팅, SF사외 CC 설계 및 운영최적화 컨설팅, 조지아 CC 물류현장 작업표준화
2021
빅데이터 연구 과제 3D Bin Packing 최적화 AI , 중고차 가치 평가 AI 2021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 활동 현대리바트 설치배송 통합운영 컨설팅 , 기아자동차 출고센터 운영 효율화 컨설팅,
철강물류 국내 육상운송 배차 효율화 컨설팅, 운송효율화 위한 통합거점 입지/규모 산정,
SSG.COM 물류 네트워크 구축, 덴소코리아 물류 효율화 방안 수립,
캐나다 서부 모비스 AS 물류 효율화 컨설팅, 깨끗한나라 공장출고 운영 최적화 컨설팅,
KAI 물류 운영 최적화 제안, 현대 그린푸드 중장기 거점 최적화, 효성화학 포장 자동화,
지누스 조지아 물류센터 운영효율화, 북미완성차 물류 역량 강화 전략 방향 수립,
국내 완성차 출고센터 네트워크 재설계, 철강 트레일러 풀 시스템 (STPS) 효과 분석
2022
물류 자동화 설비 구축 무신사 합포장 물류 자동화 킥오프 및 Layout 설계 2022
AI 연구 과제 KD 합포장 최적화 AI 현장 적용,
오토비즈 프라이싱 AI (중고차 가치 평가) 업무 시스템 적용, KD컨테이너 적입 최적화,
SF 사외 CC 컨테이너 스케줄링 최적화, SF 사외 CC 컨테이너 언로딩 최적화,
SF 사외 CC 부품 케이스 해포 분류/재포장 최적,
수소 충전소 주문 예측 & CO(Customer Order) 발송,
오토비즈 프라이싱 도매 시세 모델 경량화,
AI/머신비전 기반 GAL 드론 활용 재고실사 PoC,
AI/머신비전 기반 완성차 외관검사 PoC 수행계획 수행,
무인거점 이적재 최적 알고리즘 개발,
수소전기트럭 시범운영 효과분석
2022
미래 기술 전략 수립 특허 트렌드 분석 및 전략 방향 수립, 물류센터 설계 방법론 제작,
사내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독일 산업 / 물류 전시회(하노버메쎄, 로지맷) 참관,
기술로드맵 v1.0 수립, 기술 기반 홍보 전략 수립 (CX룸)
2022
지적재산권 미래물류동영상,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미래혁신기술센터 센터 구축방법론 저작권 등록
오토비즈 프라이싱 AI 관련 2건(비즈니스 모델, 가격예측 모델),
수소출고센터 TM AI 관련 1건(수소 충전소 주문 예측 모델 및 기반 서비스),
무인거점 로봇배송 관련 4건(자동 위치 설정, 수납시스템, 핸들러장치,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특허권 출원
2022
산업/사업 전략 수립 철도운영사업 진출을 위한 타당성 검토, 슈퍼널 조달 물류 전략 수립 2022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 활동
유럽 공장발 완성차 물류 경쟁력 향상 컨설팅
미 포트 프로세스 체계화 분석 컨설팅
P&G 물류센터 운영 최적화 컨설팅
말레이시아 라이언그룹 철강물류 율화 컨설팅
울산 2cc 41라인/52라인 와이어링 자동화 설비 도입을 위한 현황 분석 컨설팅
HMMC향 현지 진출 부품사 대상 물류 공동화 컨설팅
브라질 Sika 물류효율화 컨설팅
미국 한화큐셀 거점운영 최적화 컨설팅
유럽 한화큐셀 거점 운영최적화 컨설팅
미서안 포트개설 검토를 위한 네트워크 재설계
체코 부품조달 물류 공동화 컨설팅
인도 제3공장 통합조달물류 컨설팅
현대리바트 센터운영 효율화 컨설팅
2023
AI 연구 과제 수소전기트럭 시범운영 효과분석
KD 합포장 최적화 AI 현장 적용
SF 사외 CC 컨테이너 스케줄링 최적화
SF 사외 CC 컨테이너 언로딩 최적화
SF 사외 CC 부품 케이스 해포 분류/재포장 최적화
수소 충전소 주문 예측 & CO(Customer Order) 발송
AI/머신비전 기반 완성차 외관검사 수행계획 수립
글로벌포워딩 설비 CLP 작성 자동화
수소 TM AI - 충전소 C/O 권고주문 알람 서비스
글로벌 물류 CLP 최적화 모델 개발
KD 자동화 라인 Label 인식률 개선
해운 사업부 ESG 경영을 위한 탄소 배출량 산출 자동화 모델 개발
푸드나무 DPS 품목 배치 최적화
AI 개발 시스템 활용한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KD 울산 자동화센터 시뮬레이션  
드론재고 조사 1차 PoC
2023
물류 자동화 설비 구축 무신사 합포장 물류 자동화설비/시스템 구축
푸드나무 스마트센터 구축
울산2CC 와이어링 서열자동화 구축
울산 1CC 동적물류시스템 구축
2023
물류자동화 poC KD 자동포장 효율화 PoC (팔레타이징, 디팔레타이징, 소물이재) 2023
지식재산권 인공지능 모델 기반 자동배차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배차 시스템 (출원)
인공지능 모델 기반 UBESS 제작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출원)
인공지능 모델 기반 파트 포장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 방법 (출원)
인공지능 모델 기반 로트 포장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 방법 (출원)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부품 포장 작업시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출원)
강화학습모델기반 합포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등록)
그리퍼 장치 (등록)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가격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등록)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비즈니스 수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등록)
머신러닝 기반 충전소 알림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연료 공급망 관리 시스템 (등록)
무인택배함 수납시스템 (등록, 필드로(주) 공동)
자동 위치 설정 기능을 갖는 무인택배함 (등록, 필드로㈜ 공동)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등록, 필드로㈜ 공동)
무인택배함용 핸들러장치 (등록, 필드로㈜ 공동)
2023
미래 혁신/기술 전략 수립 Gloverse (CX룸) 오픈
TRM 2.0 수립
서비스 패키지 수립
2023
당사 미래 기술 인력 양성 BD 사 FED 프로그램 파견 2023
미래 기술 연구 거점 구축 G-Lab 구축 완료 및 개시 신고 2023
지식재산권 배송로봇(출원)
배터리 수거 시스템, 배터리 수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출원)
물류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위한 물류 시스템(출원)
중고차 거래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차 지수 관리 방법(출원)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부품 포장 작업시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등록)
2024
물류최적화/효율화
컨설팅 및 연구 활동
유럽 중유럽(체코, 슬로바키아) 완성차 물류네트워크 재설계
모비스 헝가리 모듈공장(다임러 공급) 부품 조달물류 설계
남양연구소 통합CC 레이아웃 설계
HMMC(체코공장) 원거리 LP부품사 통합물류 효율화
미국 z사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현대리바트 빌트인 물류 최적화 컨설팅
美 Hueneme Port ETA 정확도 개선 솔루션 PoC 컨설팅
프랑스 완성차 판매물류 네트워크 효율화 컨설팅
MHU 신공장향 조달 물류 네트워크 설계 컨설팅
타이어 국내 물류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물류산업진흥재단 중소기업 물류 컨설팅 지원(천일물류)
미국 H사 고정차량 운영 최적화
멕시코 완성차(수입, 내수, 수출) 운송 네트워크 전략 수립 컨설팅
미국 2개 공장(HMMA, KaGA)향 멕시코산 부품 대상 통합조달물류 효과 분석 컨설팅
미국 와이니미 포트 ETA 정확도 개선 솔루션 Pilot Test
인도 기아공장(KIN) 통합조달물류 효과 분석 컨설팅
인도 완성차 운송 시장 벤치마킹
BYD KD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금호타이어 네트워크 최적화
국내 철강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2024
AI 연구 과제 조달물류 최적화 모델 개발
KD 울산 자동화센터 시뮬레이션
오토비즈 자동매입 프라이싱 테스트 (1차)
컨테이너 적입도 자동화시스템 구축 착수
KD 물류 Label 인식률 개선
중고차 도매 프라이싱 AI 고도화(완료)
GAL 재고조사 자동화 - 무인재고조사드론 PoC(완료)
KD 컨테이너 적입도 자동화 시스템 구축 완료
GEA 무인 재고조사드론 도입 계획 수립 & 설치 착수
오토비즈 매입 프라이싱 자동화 실증 테스트 완료
철강 자동화 배차 TM AI 실증 테스트 완료
선박 Auto Stowage Planning 자동화/최적화 AI 모델 개발 완료
2024
물류 자동화 설비 도입 PoC Mobile Manipulator 개발
MFC 솔루션 개발
고중량화물 층간이송 자동화 PoC
고중량화물 층간이송 자동화 PoC (완료)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PoC (2차, 확대실증)
KD대포장 자동화 현장 적용 검토
자동차 물류 자동화 시범라인 구축
정치식 방청자동화 PoC
2024

 

라. 연구개발비
연결회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과목 제24기 3분기 제23기 제22기 비고
연구개발비용 계 7,813,937 11,311,208 8,216,231 -
(정부보조금)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용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037% 0.044% 0.030% -


마. 지적재산권

(1) 서비스표

구 분 종류 취득일 제목 및 내용 관계법령 독점적, 배타적 사용기간 비 고
AUTOWISE 서비스표 2005년 09월 13일 당사 중고차 사업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온에코
(ONECO)
상표 2012년 06월 07일 당사 중고 재제조부품 사업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글로비스오토옥션
(GLOVIS AUTO AUCTION)
서비스표 2012년 06월 27일 당사 중고차 경매장 서비스표 등록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현대글로비스
(HYUNDAI GLOVIS)
서비스표 2012년 10월 16일 당사의 변경된 사명의 서비스표 등록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토벨
(Autobell)
서비스표 2014년 09월 05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HYUNDAI GLOVIS
RUGBY TEAM
서비스표 2019년 02월 14일 현대글로비스 럭비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토벨 스마트옥션
Autobell Smartauction
서비스표 2021년 06월 08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더오다 서비스표 2022년 01월 12일 콜매칭 시스템 차주 어플리케이션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토벨 라이브 스튜디오
Autobell Live Studio
서비스표 2022년 02월 24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토벨 라이브 첵
Autobell Live Check
서비스표 2022년 02월 24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오토벨&
Autobell &
서비스표 2022년 02월 24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HYUNDAI GLOVIS ECOH 서비스표 2022년 03월 29일 친환경 에너지 사업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현대글로비스 에코 서비스표 2022년 03월 29일 친환경 에너지 사업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ECOH 서비스표 2022년 03월 29일 친환경 에너지 사업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GLOVE 서비스표 2022년 09월 02일 물류운영 시스템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GLOVIS 서비스표 2023년 09월 26일 당사 사명 구성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AUTOBELL 서비스표 2023년 11월 13일 중고차 매입 서비스 관련 상표 상표법 10년
(10년씩 갱신가능)
-

 

(2) 특허권

구 분 종류 취득일 제목 및 내용 관계법령 독점적, 배타적 사용기간 비 고
왁스 분사용 노즐 특허권 2015년 06월 26일 차체의 구석에 왁스를 도포하는 왁스 분사용 노즐의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포장케이스 특허권 2017년 06월 16일 파렛트 위에 설치되는 슬리브를 덮개로 덮는 포장케이스의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권 2021년 01월 06일 전기차 배터리 전용 운송용기의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객체 정보분석
장치 및 방법
특허권 2021년 11월 18일 라이다 활용 차량용 외관 측정 장치 및 방법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배터리 고정 후크를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권 2022년 02월 21일 전기차 배터리 전용 운송용기의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차폐 슬리브를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권 2022년 02월 21일 전기차 배터리 전용 운송용기의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수소 공급망 관리의
최적화 플랫폼
및 그 방법
특허권 2022년 04월 12일 수소 공급망 관리 비즈니스 모델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특허권 2022년 04월 19일 자율주차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화염확산방지 구조체를
갖는 수소튜브 트레일러
특허권 2022년 10월 19일 화염 확산 방지 구조체를 갖는 수소 튜브 트레일러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연료전지 시스템 용
고농도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및 포집 방법
특허권 2023년 04월 17일 연료전지 시스템 용 고농도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및 포집 방법 특허 등록 특허법 20년 -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가격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특허권 2023년 08월 08일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가격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특허
특허법 20년 -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비즈니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특허권 2023년 08월 08일 머신러닝 앙상블을 이용한 중고차 비즈니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특허
특허법 20년 -
머신러닝 기반 충전소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연료 공급망
관리 시스템
특허권 2023년 09월 07일 머신러닝 기반 충전소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연료 공급망 관리
시스템 특허
특허법 20년 -
그리퍼 장치 특허권 2023년 11월 10일 KD박스 그리퍼 장치 특허 특허법 20년 -
무인택배함 수납 시스템 특허권 2023년 12월 08일 무인택배함 수납 시스템 특허 특허법 20년 필드로㈜ 공동소유
자동 위치 설정 기능을 갖는 무인택배함 특허권 2023년 12월 08일 자동 위치 설정 기능을 갖는 무인택배함 특허 특허법 20년 필드로㈜ 공동소유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특허권 2023년 12월 29일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특허 특허법 20년 필드로㈜ 공동소유
무인택배함용 핸들러장치 특허권 2023년 12월 29일 무인택배함용 핸들러장치 특허 특허법 20년 필드로㈜ 공동소유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부품 포장
작업시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특허권 2024년 09월 11일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부품 포장 작업시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특허 특허법 20년 -

 

(3) 디자인

구 분 종류 취득일 제목 및 내용 관계법령 독점적, 배타적 사용기간 비 고
운송용 팔레트
(3007136270000)
디자인 2013년 10월 18일 화물의 적재, 운반시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운송용 팔레트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15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송용 팔레트
(3007579820000)
디자인 2014년 08월 18일 화물의 적재, 운반시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운송용 팔레트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송용 팔레트
(3007579830000)
디자인 2014년 08월 18일 화물의 적재, 운반시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운송용 팔레트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반용 상자
(3008080690000)
디자인 2015년 07월 23일 운반용상자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반용 상자
(3008080680000)
디자인 2015년 07월 23일 운반용상자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포장용 트레이 덮개
(3008399180000)
디자인 2016년 02월 11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포장제품의 외부 충격 또는 포장제품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칩(chip)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상호간 덮개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월드켐택,㈜천우
R.D.P 공동소유
포장용 트레이 덮개
(3008399170000)
디자인 2016년 02월 11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포장제품의 외부 충격 또는 포장제품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칩(chip)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상호간 덮개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월드켐택, ㈜천우
R.D.P 공동소유
운반용 상자
(3008422360000)
디자인 2016년 02월 24일 운반용상자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반용 상자
(3008424860000)
디자인 2016년 02월 25일 운반용상자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운송용 팔레트
(3008559380000)
디자인 2016년 05월 20일 화물의 적재, 운반시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운송용 팔레트 디자인의 형상과 모양의 결합에 관한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포장용 케이스 덮개
(3009224670000)
디자인 2017년 09월 05일 물품을 포장하는 케이스의 상방을 덮는 케이스로, 케이스 상단의 가장자리를 보강하는 각대삽입구가 형성된 덮개의 디자인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
화물운반용 케이지
(3010703300000)
디자인 2020년 08월 07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송을 위한 케이지 디자인에 대한 권리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화물운반용 케이지
(3010703290000)
디자인 2020년 08월 07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송을 위한 케이지 디자인에 대한 권리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화물운반용 케이지
(3010573320000)
디자인 2020년 04월 29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송을 위한 케이지 디자인에 대한 권리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화물운반용 케이지
(3010573310000)
디자인 2020년 04월 29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송을 위한 케이지 디자인에 대한 권리 등록 디자인보호법 20년 ㈜엔피씨 공동소유

 

 

7. 기타 참고사항

 

가. 종합물류사업
[산업의 특성]
물류는 경제 전반을 구성하는 물적 요소들의 흐름에 관련된 사업으로, 하나의 특정사업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생산지에서부터 소비지까지의 물품과 정보의 흐름 및 저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 통제, 실행하는 모든 과정과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최근에는 대형 유통기업들의 물류업 진출이 활발하고,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 발전에 따라 물류산업도 동종/이종 산업간 경쟁 심화 및 지속적 기술혁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물류산업은 2000년대 이후 세계경제의 글로벌화, 분업화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관련 기업들의 대형화, 기술의 혁신 등에 기대어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습니다.
물류산업은 고용유발 효과가 크고, 양적/질적 측면에서 지속 성장하며 국가 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정부가 발표한 7대 유망서비스업에 포함되며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물류산업과 타산업간의 융복합화 촉진, 물류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물류산업 육성 의지는 물론, 국제 교역량의 꾸준한 증가, 기업들의 아웃소싱 및 효율화 전략 등과 맞물려 물류시장의 규모는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물류산업은 국내화물의 물동량과 수출입물량의 추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타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성에 영향을 적게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원인은 내수와 수출입이 동반하여 부진한 경우가 적으며, 산업경쟁 격화에 따른 상품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화물의 이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절적 경기변동은 크지 않으며, 제품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명절, 휴가, 화주 기업의 노사분규 등에 다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 여건]
전세계 대형화주들은 자사의 핵심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물류의 효율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물류비 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 물류시장은 완전경쟁 시장으로, 단가가 가장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최근의 물류기업들은 단순한 용역 제공 업무에서 벗어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종합 컨설팅 업무를 제공하는 등 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물류시장은 도로운송, 운송주선, 창고업 등 다양한 연관서비스업으로 구성되고, 관련 법령 역시 업종에 따라 개별적으로 산재하여 정책 변화 등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 및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아시아 신흥시장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물류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 등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현지 물류 실행역량 확보 노력이 활발한 상황입니다.

[회사의 경쟁력]
당사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물류를 담당하고 있으며, 여타 물류회사와 차별화된 서비스역량을 바탕으로 전세계 다양한 운송루트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완성차 물류에 대한 독보적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완성차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고 있으며, 비계열 부문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서비스 대상 고객군 및 산업군을 확대시키며 국내 물류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물류 운영을 위해 국내/외 물류 네트워크를 지속 개발하고, 물류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있으며, 당사의 고객맞춤형 IT시스템, SCM노하우, 우수한 전문인력 등은 당사의 경쟁력입니다.
당사는 2015년 국내 물류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에 편입된 이후 8년 연속 지위 유지, 국내 물류기업 최초 '아시아-퍼시픽 지수'와 '코리아 지수'에 7년 연속 동시 편입, 2021년 월드지수 편입 등 글로벌 탑 수준의 지속가능경영 능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에도 DJSI 월드 지수에 3년 연속 포함되며 세계 최고 수준의 ESG성과를 인정받았으며, 특히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 강화, 사업장 인권 영향 평가 확대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현대글로비스는 최근 글로벌 환경 비영리 단체인 오션클린업과 협력을 통해 해양 폐플라스틱 제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등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현대차그룹의 배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대글로비스 촘촘한 물류망을 통해 전세계 전기차 폐배터리 회수 및 점검, 운반 사업등을 영위할 예정입니다. 향후 배터리 회수를 위한 전략적 글로벌 거점을 설립하고, 배터리 전용 물류 공급망을 최적화할 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글로비스는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기업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자원순환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폐전자제품 재자원화를 위한 사내 캠페인 등을 실행 중이며, 외부 환경단체와의 MOU체결 등 다양한 활동을 실행 중에 있습니다.

 

나. 유통판매사업
(1) CKD
[산업의 특성]
자동차 CKD사업은 해외공장으로부터 국내외 부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여 발주, 집하, 포장, 컨테이너 작업, 해상/항공운송을 통하여 현지공장에 납입하는 것으로, 리드타임의 단축과 적시납입체계 구축, 포장품질 유지 및 개선과 포장 표준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CKD 공급은 부품조달/포장/해외운송하는 시간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해외공장의 주문시점부터 부품이 해외공장에 도착하는 시점까지는 약 2개월 정도 소요되는 특성을 갖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현대자동차/기아는 해외 현지생산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전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친환경차 수요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생산공장 가동을 추진하고 있고, 내연기관을 주로 생산하던 기존 공장에 하이브리드 차량을 추가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자동차 수요 둔화 우려에도 하이브리드차(HEV),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고수익 제품 위주 포트폴리오로 최대 실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급물량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당사 CKD사업의 시장전망은 양호한 상태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자동차 해외 생산공장의 생산량과 직결되는 분야로, 자동차 수요는 경기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정세불안 등 제한요인과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한 자동차 수요 둔화 우려가 있지만, 부품 공급망이 안정됨에 따라 자동차 생산 가동률이 상승하고 있고 원자재 가격 인하로 수익성 또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 CKD사업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것입니다.

[회사의 경쟁력]
당사의 CKD사업은 One-Stop Service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부품의 발주/집하에서 포장, 해상/항공 운송, 그리고 현지에서의 C/C운영으로 JIT, JIS를 통한 공장납입까지 전 부문을 통합관리 해줌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운송기간에 대한 제품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당사만의 포장 노하우 및 신포장 기법 등을 적용하여 해외공장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해외 운송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해 적하보험에 가입하여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럽, 미국, 인도, 중국 등 발효된 주요국과의 FTA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해외공장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있으며,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으로 인한 통상환경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자동차부품산업의 리스크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중고차 경매
[산업의 특성]
- 내수 : 자동차의 생산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자동차 보유기간도 늘어나면서 중고차 시장은 확대 추세에 있습니다. 중고차 거래대수가 2017년 373만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394만대 수준이 되었다가, 2023년에는 경기 침체 및 고금리 영향으로 각각 384만대 수준으로 감소(국토교통부 통계자료 기준)하였으나, 장기적으로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의 신뢰성 있는 차량 정보 제공과 편리함을 내세운 온라인 매매 확대등을 기반으로 지속 성장이 전망 됩니다.

- 수출 : 중고차 수출대수는 2017년 22.2만대, 2018년 26.8만대, 2019년은 35.1만대로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27.8만대(전년 대비 - 7.3만대)로 감소하였으나, 2021년 33.8만대, 2022년 33.9만대로 증가추세로 전환하였습니다. 특히 2023년의 경우 전세계 178개국 대상 63.9만대 수출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국자동차 브랜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중고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IT 고도화로 해외바이어나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국내 차량의 외관이나 성능상태를 확인 할수 있게 됨에 따라, 중고차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산업의 성장성]
 중고차시장은 신차시장에 비해 거래대수 기준 약 2배 규모의 시장입니다. 하지만 2023년 우리나라의 중고차 경매 대수는 전체 중고차 거래 대수 대비 약 8.3%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등 그 규모가 아직은 작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중고차 판매에서 경매를 통한 비율이 60%를 상회하고 있어, 자동차 선진시장에서의 중고차 경매비중 고려시 한국의 중고차 경매사업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중고차 내수 및 수출시장은 경기 상황, 환율, 국내외 정세 등에 영향을 민감하게 받고 있습니다.
- 내수: 신차 판매 상황, 금리변동, 유가 등에 따라 경매장 출품대수 및 낙찰률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계절적으로는 연식이 바뀌는 시점인 연말에는 거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수출: 수출시장은 달러 대비 원화 환율, 달러 대비 현지통화 환율,  컨테이너 및 RoRo선 운임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중고차 수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지만, 달러 대비 현지통화 약세와 해상운임 상승은 중고차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 내수 : 2021년 대비 2022년과 2023년 국내 중고차 거래대수는 각각 -3.6%, -2.7%(국토교통부 통계자료 기준) 기록 하였습니다. 이는 고물가, 고금리 영향으로 2024년 상반기에도 유사한 기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 수준은 21년 상반기와 비교시 -1.9% 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수출 : 2023년은 달러 대비 원화 환율 절하 및 컨테이너 등 선복운임의 하락, 신차판매 증가에 따른 중고차 공급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출금액이나 대수가 모두 역대 최고 신기록을 수립하였습니다. 2024년의 경우 전쟁 등 불안한 국제정세로 인해 시장이 다소 경직되어있으나, 글로벌 중고차시장 수요 증가추세로, 전년과 수출금액 및 대수는 유사한 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력]
당사 중고차사업의 핵심인 경매는 차량을 출품하는 개인(또는 법인)과 입찰을 통해 차량을 매입하는 중고차매매사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품은 고객들의 신차구입, 렌터카 및 리스 운용 업체들의 자산 매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매는 경쟁입찰을 통해 차량을 매각하기 때문에 매도자 입장에서는 매매업체에 개별적으로 매도하는 것보다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신뢰성 있는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입찰에 참여하는 매매사업자들은 최종 구매자의 수요에 따라 차량을 매입하므로 거래량과 낙찰가는 경제상황, 소비심리, 수요공급 등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3) 트레이딩
[산업의 특성]
산업의 필수 소재인 알루미늄(순수 잉곳 및 합금)/구리(전기동) 등을 수출입하는 비철금속 트레이딩 사업입니다. 주요 거래선인 중동, 아태 등 신성장 지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현재는 美 기준금리 인하, 중국 경기둔화, 러·우 전쟁 및 중동 전쟁 장기화 등의 글로벌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국들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과 에너지 전환, EV산업 발전 등에 힘입어 비철금속 트레이딩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친환경정책 기조에 따라, 저탄소 알루미늄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탄소국경조정제도:  비(非)EU 국가에서 생산되는 상품이 EU 회원국의 관세영역으로 수입되는 경우 탄소세를 부과하는 제도

[경기변동의 특성]
트레이딩 사업부문은 교역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치, 경제적 변수들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는 중계무역의 근간인 수요와 공급 때문입니다. 트레이딩 물량은 글로벌 경기 회복에 영향을 받으며 환율,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은 주요 경제 지표와 대외 교역 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당사 사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력]
당사는 기 보유하고 있는 트레이딩 역량을 기반으로 트레이딩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트레이딩 사업은 해외 공급처로부터 물품을 수입하여 통관, 운송, 국내 재고관리, 적기 공급 등 종합유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외 영업을 확대하고 지역별로 차별화된 마케팅과 서비스를 강화하여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다. 해운사업
[산업의 특성]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화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송하는 서비스 산업이며, 선박 확보를 위한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요한 자본 집약적 산업입니다.
당사의 해운사업은 자동차선 사업과 벌크선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자동차선 사업은 PCTC(자동차선, RoRo)를 이용해 승용차, 상용차, 특수차량, 프로젝트 화물(건설중장비, 철도차량) 등을 운송하고 있습니다. 벌크선 사업은 벌크선을 이용한 철광석, 석탄, 곡물 등 Dry Bulk 화물 운송, 탱커선을 이용한 원유, 석유제품, 가스선을 이용한 LNG 등 Wet Bulk 화물 운송을 모두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21세기 들어 세계경제의 글로벌화 및 분업화 가속화로 전세계 해운 물동량이 '00년대와 '10년대에 각각 연평균 3.6%, 2.4% 증가하는 등 해운업의 꾸준한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위성 등을 활용해 선박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물류사업과 연계해 고객에게 Door-to-Door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산업의 질적인 성장 역시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해운업은 선복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 등락이 큰 경기 변동산업입니다. 선복 수요량은 해운 물동량에 비례하며, 해운 물동량은 세계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선복 공급량은 신조선 인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며, 신조선 인도량은 2~3년전 신조선 발주량에 의해 좌우됩니다. 장기계약 비중 증가를 통해 시장 노출도를 줄일 경우, 경기 변동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 여건]  
자동차선 시장은 소수선사들의 과점시장으로 글로벌 완성차업체들과의 화물 운송계약은 소수과점선사들간의 경쟁입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벌크선 시장은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고 선사 간 서비스 차별성이 작아, 다수의 시장 참여자(선사, 화주사)가 존재하는 완전경쟁시장의 형태에 가깝습니다. 전세계 벌크선사의 유형은 사선 보유 비중이 높은 순수 선주사, 화물 보유 비중이 높은 화주사의 해운 자회사, 사선과 장기 화물의 비중이 낮은 오퍼레이터 등이 있으며, 당사는 순수 선주사와 화주의 중간적인 Industrial Carrier로서의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력]
자동차선 사업은 본사와 해외 네트워크 간의 효율적인 업무협력, 전세계 다양한 항로 개발 및 노선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오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차그룹 완성차 외에도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VW, BMW, Daimler, Ford, GM 등) 및 중고차와 프로젝트 중량 화물(현대건설기계, 볼보, 두산 등)을 수송 중입니다. 특히 글로벌 선사 최초로 전기차 해상운송 매뉴얼 제작 및 현장 적용을 통해 전기차 운송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22년부터 자동차선 시장은 글로벌 물동량 증가, 항구 체선 심화 등으로 인해, 선복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35척의 자동차선 신규 확보 계약을 체결 완료하였으며, 본 선박들은 '28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입니다. 35척 모두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으로, 당사는 세계 최대의 규모의 저탄소 자동차선 보유선사로 등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은 일반 선박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벌크선 사업은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외 우량 화주사와 장기계약 위주의 사업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Dry Bulk는 서부발전, 남동발전, OCP 등 국내/외 화주와 Wet Bulk는 현대오일뱅크, GS Caltex 등 국내 대형 정유사와 장기계약 체결 중입니다. '19년 7월에는 노르웨이 Fredriksen 그룹 Flex LNG와의 계약을 통해 LNG선 시장에 진출했으며, '21년 9월 세계 최대 원자재 트레이딩 업체 중 하나인 트라피구라사와 암모니아 및 LPG 운송이 가능한 초대형 가스 운반선 2척에 대한 장기 계약 체결, '22년 4월 호주의 세계적인 에너지 기업인 우드사이드사와 LNG 장기운송계약 체결, '24년 3월 "K" LINE사와 컨소시엄으로 카타르 국영 기업 카타르에너지와 LNG 운반선 4척의 장기계약 체결 등, 친환경에너지 운송사업을 지속 확대 추진 예정입니다.
당사는 '20년 1월 1일부터 선박연료유의 황 함유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대폭 강화하는 규제인 IMO 2020에 대응해, '22년과 '23년 각각 당사 보유선박 중 24척, 7척에 대해 황산화물 저감장치인 스크러버 설치를 완료하였으며, '24년 말까지 추가 4척에 대한 설치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라. 환경경영
(1) 환경경영 방침 및 목표
당사는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을 깊이 인식하고 지구환경 보전에 앞장서기 위하여 "친환경 녹색물류 운영체제 고도화로 글로벌 녹색물류 선도기업 도약"의 환경경영 방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환경인식 강화"라는 3가지 환경목표를 수립하고 지속적인 환경 보전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04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21년 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20.7% 감축, 2040년까지 70.5% 감축을 목표 경로로 하는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목표 달성을 위하여 친환경 화물차 및 무탄소 선박 도입 등을 포함하는 4대 핵심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더불어, 온실가스MRV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도로운송보다 에너지효율이 더 높은 연안해송으로 운송수단을 전환하는 Modal Shift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 환경경영 평가제도인 CDP Climate Change에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물류 분야 Leading Company로서 온실가스 감축수단을 발굴하고, 실천하여 사회적 책임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2) 대응현황(인증현황)

구분현황연도

인증현황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2007 ~
국토교통부 녹색물류실천기업 시범사업 인증 2012
국토교통부 우수녹색물류실천기업 지정 2015, 2018, 2021
액화 수소운반선 기본설계(AIP) 인증(한국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한국선급, 라이베리아기국) 2020
액화 이산화탄소운반선 기본설계(AIP) 인증(현대중공업그룹) 2022
활동내역 외항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외부검증(한국표준협회) 2017 ~
온실가스 감축 시범사업 업무협약(한국교통안전공단) 2019
전기상용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한국전력) 2019
친환경 냉장 전기차 배송서비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SSG) 2019
전기화물차 보급 확대 업무협약(환경부, 현대차, 기아차 등) 2020
수소화물차 보급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현대차 등) 2020
해외 청정 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가스공사, 현대차 등) 2020
국토교통부 '수소 물류 얼라이언스' 참여 2020
수소차용 수소 유통산업 발전을 위한 협약식(현대제철, 현대자동차, 한국가스공사, 하이넷) 2020
수소공급망 효율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2020
SSG닷컴과 국내 최초 콜드체인 전기차 배송 서비스 시작 2020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대상 기업 2021 ~
전기 택시 배터리 대여 및 사용후 배터리 활용 실증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산업통상자원부,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2021
UNGC(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이니셔티브 가입 2021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K-EV100)' 참여 2021
'화물차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체결 (수도권대기환경청,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등) 2021
탄소 중립을 위한 녹색 암모니아 협의체 업무 협약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가스공사, 현대차 등) 2021
암모니아 및 액화석유가스(LPG) 해상운송 계약을 통한 수소 밸류체인 구축 (트라피구라) 2021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브랜드 '에코(ECOH)'를 론칭 2021
수소연료 기반 시험비행체 시험 연구 환경 구축 업무협약 체결 (충청남도, 서산시, 현대차, 현대건설) 2021
수소화물차 보급을 위한 시범운행(국토교통부) 2021
국내 최초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운송 설비' 특허취득 2021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서포터즈 가입 및 지지선언 2021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CCUS) 관련 특허출원 2022
평택시 수소 모빌리티 특구 조성 업무 협약 체결(환경부, 경기도, 평택시, 현대차, SK E&S, 한국가스기술공사) 2022
액화 이산화탄소운반선에 대한 공동 개발 프로젝트 협약 체결(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미국선급협회, 마샬아일랜드기국, 지마린서비스) 2022
탄소중립 이행, 전력망 이용효율 제고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모델 및 단지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한국수력원자력, 신안군청, LS일렉트릭) 2022
CCUS 사업을 위한 기업 컨소시엄 협약 체결(동서발전, 한화솔루션, 삼성물산, 남해화학, 린데코리아, GS칼텍스, GS에너지, GS건설) 2022
캘리포니아 지역 고래보호 및 대기환경 개선 위한 저속운항 인센티브 프로그램 참여 2018 ~
청정 수소·암모니아 및 친환경 에너지 사업 협약 체결(GS에너지) 2023
한국 국적 자동차운반선 최초 바이오연료 실증테스트 2023
사용 후 배터리 산업 발전 및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한국산업기술시험원, LG에너지솔루션, 한화컨버전스, 한국자동차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 제주테크노파크) 2023
자동차운반선 바이오선박유 공급 2023
2023년도 전환교통 지원사업 협약(해양수산부) 2023
글로벌 환경단체 '오션클린업'과 '해양 플라스틱 제거 활동' 파트너십 체결 2023
2045년 탄소중립 목표 수립 및 NET ZERO Special Report 발간 2023
수상현황 국토교통부 장관배 연비왕 선발대회 기업/개인 부문 1위 2017
CDP Korea 탄소경영 섹터아너스 수상(7년 연속 수상) 2017 ~ 2023
국토교통부 장관배 연비왕 선발대회 기업대항전 우승 2018
국토교통부 온실가스 감축실적 우수기업 선발대회 우승 2018
한국교통안전공단 온실가스 감축실적 우수기업 선발대회 우수상(화물부문) 2019
국토교통부 장관배 연비왕 선발대회 기업대항전 준우승 2019
한국경영인증원 그린경영대상 6년 연속 수상 2018 ~ 2023
2020년 환경정보공개 대상 수상(환경부장관 표창) 2020
그린경영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2020
국토교통부 화물자동차 연비왕 선발대회 우승(국토교통부장관상) 2020
생물다양성 보전 유공 표창(환경부장관) 2021
CDP Korea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2020, 2021
울산항 선박저속운항프로그램(VSR)* 우수 선사 선정 2023
국토부 주관 화물자동차 에코드라이빙 캠페인 기업부문 최우수상 수상 2023
한국경영인증원 그린경영대상 '명예의 전당' 헌액 2023

※ AIP(Approval In Principal, 기본인증) : 조선소의 선박 기본설계에 대한 기술적 적합성 검증, 선박에 대한 선급(Class)과 기국(Flag)의 규정 부합 검토/승인하는 절차
※ VSR(Vessel Speed Reduction program) : 저속으로 운항한 선박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친환경 인센티브 제도

(3) 대상환경 법규 및 준수사항

구   분내   용

정부 규제 법규대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2024. 1. 1.] [법률 제19208호, 2022. 12. 31., 타법개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시행 2024. 1. 30.] [법률 제20172호, 2024. 1. 30., 타법개정]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 2024. 7. 10.] [법률 제19961호, 2024. 1. 9., 일부개정]
해양환경관리법[시행 2024. 4. 25.] [법률 제19779호, 2023. 10. 24., 일부개정]
대기환경보전법[시행 2024. 7. 24.] [법률 제20114호, 2024. 1. 23., 일부개정]
물환경보전법[시행 2024. 1. 30.] [법률 제20172호, 2024. 1. 30., 타법개정]
폐기물관리법[시행 2024. 8. 17.] [법률 제19666호, 2023. 8. 16., 일부개정]
환경정책기본법[시행 2024. 1. 1.] [법률 제19208호, 2022. 12. 31., 타법개정]
에너지법[시행 2023. 12. 14.] [법률 제19438호, 2023. 6. 13., 타법개정]
화학물질관리법[시행 2024. 2. 6.] [법률 제20231호, 2024. 2. 6., 일부개정]
기타 환경관련 시행령 및 시행규칙
규제 항목 및 준수 사항 온실가스 및 에너지 정부 감축목표 달성
노후경유차량 대폐차, 배기가스저감장치 장착 등 조치 이행
수질 관련 법규 기준 이하 관리 (pH,COD,SS,n-H(동식물),nH(광유류),T-N,T-P,ABS)
대기 관련 법규 기준 이하 관리 (먼지, THC)


(4)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에 따른 정부 신고량
    (국내 차량 및 건물)

연도온실가스 배출량(tCo2_eq)에너지 사용량(TJ)제도

2016년 77,360 1,141 목표관리제
2017년 78,897 1,170
2018년 80,532 1,202
2019년 77,723 1,161
2020년 79,348 1,192
2021년 79,855 1,218 배출권거래제
2022년 79,781 1,220
2023년 79,278 1,210

 

(5) 외항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및 선박유 사용량

연도온실가스 배출량(tCo2)선박유 사용량(Metric Tons)

2016년 3,918,211 1,256,681
2017년 3,409,696 1,093,325
2018년 3,311,518 1,061,682
2019년 3,979,007 1,274,229
2020년 3,053,851 968,294
2021년 3,785,854 1,201,363
2022년 3,855,502 1,224,703
2023년 3,420,736 1,088,574

 

(6) 친환경·기후변화 위험 요인

가치사슬의 영향위험유형주요 위험요인재무영향 유발 요인가능성영향 크기

직접 운영 전환 위험 정책 및 법규 : 배출권거래제 운영비용 및 배출권 매입 비용 증가 확정
직접 운영 전환 위험 명성 : 투자자의 부정적 견해/평가 증가 환경 관련 평가가 낮은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 감소 높음
고객 전환 위험 시장 : 소비자 선호 변화 환경 위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감소 확정
직접 운영 선박 전환 위험 정책 및 법규 : 국제 선박 관련 협약 및 규제 선박 설비 증설 등 운영비용 증가 확정
직접 운영 사업장 물리적 위험 단기 : 태풍, 홍수 등 이상기후현상에 따른 피해 자산 손실 및 사용 연한 단축 매우 높음
직접 운영 사업장 물리적 위험 장기 : 평균 온도 상승 생산능력 하락에 따른 매출감소 높음


(
7) 친환경·기후변화 기회 요인

가치사슬의 영향위험유형주요 기회요인재무영향 유발 요인가능성영향 크기

직접 운영 자원 효율성 현재 : 효율성 높은 운송수단의 이용 운영비용 감소 확정
직접 운영 시장 명성 : 투자자의 긍정적 견해/평가 증가 환경 관련 평가가 높은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 증가 높음
고객 제품 및 서비스 현재 : 소비자 선호도 변화 친환경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증가 확정
직접 운영 선박 시장 현재 : 공공섹터의 인센티브 활용 친환경 선박 인센티브 등을 통한 운영비용 절감 확정
직접 운영 차량 자원 효율성 현재 : 신기술 이용 화물차량 연료 저감장치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 비용 감소 확정
직접 운영 차량 시장 현재 : 공공섹터의 인센티브 활용 화물차량 연료 저감장치 장착에 대한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비용 절감 확정
직접 운영 사업장 에너지원 현재 : 저탄소 에너지 이용 태양광 패널 등 신재생에너지 이용하여 에너지 비용 절감 확정

 

 

현대모비스 주가 삼성전자 주가 현대오토에버 주가 현대로템 주가 현대제철 주가 현대차 주가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현대자동차 주가 현대건설 주가 셀트리온 주가 현대위아 주가 두산퓨얼셀 주가 한국항공우주 주가 기아 주가 현대산업개발 주가 hmm 주가 삼성전기 주가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차 주가
현대자동차 주가
현대로템 주가
기아차 주가
현대모비스 주가
현대오토에버 주가
현대차우 주가
현대차 주가전망
기아 주가 전망
현대자동차 주가전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2025 | 해운·물류 성장성과 목표 주가 분석
현대글로비스 주식, 지금 투자해도 될까? 실적·배당·전망 총정리
현대글로비스 주가 하락 이유는? 반등 가능성과 장기 투자 포인트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현대글로비스 배당주 투자 가치 | 목표 주가·PER·재무제표 분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실적 분석 ❘ 전기차 물류·해운업 성장과 주가 영향 유상 무상증자 조직도 배당금 투자 사업보고서 특징 주식 분할 목표 전망

 



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
현대글로비스 조직도
현대글로비스 배당
현대글로비스 투자
현대글로비스 사업보고서
현대글로비스 특징
현대글로비스 주식 분할
현대모비스 주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