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대장株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음극재 사업과 주가 영향
목표 전망 배당금 차트 매출 실적 발표일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1963년 1월 염기성내화물을 생산,판매 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주)와 1971년 5월 각종 산업로 보수 및 축로 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포항축로(주)가 1994년 12월 1일부 합병하여 포철로재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내화물 제조에서 시공까지 일관체제를 갖춘 종합노재회사로서 발판을 마련하였고, 2008년 제철소 석회소성설비 위탁운영, 2010~2011년 제철소 화성공장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사업을 실시하며 외형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에너지소재 관련 사업은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2 공장 준공(25,000톤)까지 총 82,000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진출하였으며, 광양 1,2단계(30,000톤), 광양 3,4단계(60,000톤) 및 포항 1단계(29,000톤) 준공을 통해 하이니켈계 NCMA 등을 양산하고 있으며, 포항 2-1단계 (29,500톤), 포항 2-2단계 (46,300톤) 및 광양 5단계 (52,500톤) 등의 증설을 통해 NCA 양산 및 늘어나는 NCMA 수요에 대비하려고 합니다. 또한 최근 단결정, LFP 양극재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시장 수요에 발맞춰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사업부 입니다.
중국 사업의 경우, 현지 소재사인 화유코발트社와의 합작법인이 2019년 말부터 5,000 톤 규모의 생산시설을 운영 중에 있으며, 하이니켈 20,000톤 증설을 완료하여 총 25,000 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북미 사업의 경우, GM과의 양극재 합작법인(지분율: 당사 85%, GM 15%)을 기반으로 캐나다 퀘백 지역에 IRA 적격한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매출액 별로는 2024년 3분기말 기준, 내화물부문 13.1%, 라임화성부문 21.1%, 에너지소재부문 65.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주요 거래처는 내화물부문은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부문은 (주)포스코, OCI(주) 등, 에너지소재부문은 이차전지 배터리사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며, 2024년 3분기말 매출액(연결)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Ultium Cells (35.3%), 포스코(21.6%), 삼성SDI(11.3%), LG에너지솔루션(11.1%) 등 입니다.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OEM 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비중확대 추세 속에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는 생산량 증대와 기술 강화 및 매출처 다변화로 시장상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구분 | 주요 재화 또는 용역 | 주요 고객 | |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주)포스코 등 |
라임화성사업 | 생석회 제조, 화성공장 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 |
(주)포스코, OCI(주), Krakatau Posco 등 |
|
에너지소재사업 | 양극재, 음극재 제조 및 판매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Ultium Cells 등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 매출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부문 | 품 목 | 구체적용도 | 2024년 3분기(제54기) | 2023년(제53기) | 2022년 (제52기)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388,910 | 13.1 | 541,466 | 11.4 | 551,657 | 16.7 |
라임화성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629,805 | 21.1 | 856,606 | 18.0 | 811,988 | 24.6 | |
에너지소재사업 | 양극재, 음극재 | 배터리 소재 | 1,957,982 | 65.8 | 3,361,799 | 70.6 | 1,938,271 | 58.7 | |
합 계 | - | - | 2,976,697 | 100.0 | 4,759,871 | 100.0 | 3,301,916 | 10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 | 제54기 3분기 | 제53기 연간 | 제52기 연간 |
내화물 | 984,293 | 991,268 | 1,022,158 |
생석회 | 140,653 | 147,210 | 117,225 |
* 에너지소재부문 제품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1) 산출기준
ㅇ 산출대상 및 선정방법: 내화물 매출(신내화제품 제외) 단가, 생석회 매출단가
ㅇ 산출단위 및 산출방법: 해당제품의 운임을 포함한 대상기간 매출액 기준 평균가격
(2) 주요 가격변동원인
ㅇ 내화물은 전방산업의 업황 및 원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판매가격 변동
ㅇ 생석회는 유틸리티 단가, 원료비등을 고려 하여 판매가격이 결정
ㅇ 에너지소재는 국제 광물자원 수급에 따라 가격 변동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천원,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매입액 | 비율 | 비 고 | |
기초소재 | 내화물 | 원재료 | 기타 | 제품제조 | 52,677,413 | 3.7 | - |
생석회 | 원재료 | 석회석 | 제품제조 | 82,147,143 | 5.7 | - | |
에너지소재 | 음극재 | 원재료 | 흑연 外 | 제품제조 | 46,100,453 | 3.2 | - |
양극재 | 원재료 | 전구체 外 | 제품제조 | 1,260,181,901 | 87.4 | - | |
계 | - | - | 1,441,106,910 | 100.0 | -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 | 제54기 3분기 | 제53기 연간 | 제52기 연간 |
내화물 | 404,542 | 333,515 | 478,770 |
생석회 | 25,016 | 24,496 | 22,271 |
(1) 산출기준
ㅇ 단가는 입고금액 기준
(2) 주요 가격변동 원인
ㅇ 내화물 원료의 경우 중국의 원부원료 가격인상 및 구성비 차이
ㅇ 석회석의 경우 석회석 원재료비의 변동은 미미한 편이며, 운임단가에 따라 소폭 변동
ㅇ 에너지소재부문 재료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톤)
사업 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54기 3분기 | 제53기 연간 | 제52기 연간 |
내화물 | 연와, 부정형 등 | 포항 | 87,261 | 116,560 | 116,560 |
LIME | 생석회 | 포항 | 822,000 | 1,095,000 | 1,095,000 |
광양 | 822,000 | 1,095,000 | 1,095,000 | ||
합 계 | 1,731,261 | 2,306,560 | 2,306,560 |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능력 생략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가) 산출방법 등
ㅇ 소성공장 : 소성로 생산능력 기준
구 분 | B-1,2 | 계 |
소성로 보유수(기) | 1 | 1 |
생산능력(톤/년) | 15,000 | 15,000 |
ㅇ 불소성공장 : Press 생산능력 기준
구 분 | B-6 | B-7 | 계 |
Press 보유수(기) | 4 | 4 | 8 |
생산능력(톤/년) | 27,720 | 21,840 | 49,560 |
ㅇ 부정형공장 : 혼련 및 포장 능력(분쇄 능력 고려) 기준
구 분 | U-2 | B-4 | 계 |
Mixer 및 분쇄기 보유수(기) | 2 | 2 | 4 |
생산능력(톤/년) | 42,000 | 10,000 | 52,000 |
ㅇ 생석회공장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단위 : 톤/년)
구 분 | Shaft Kiln | Rotary Kiln | 계 | ||
Becken Bach | Maerz | ||||
포항 | kiln 보유수 (기) | 2 | 6 | 2 | 10 |
생산능력 | 219,000 | 657,000 | 219,000 | 1,095,000 | |
광양 | kiln 보유수 (기) | - | 5 | 4 | 9 |
생산능력 | - | 547,500 | 547,500 | 1,095,000 |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년간 생산능력을 표기하였습니다.
- 포항 : 3,000톤/일 (10기) (Kiln 모두 생산능력 300톤/일)
- 광양 : 3,000톤/일 (9기) (Shaft Kiln 생산능력 300톤/일,
Rotary Kiln 생산능력 375톤/일)
(나) 평균가동시간 (단위 : 시간)
구 분 | 일일평균가동시간 | 월평균가동시간 | 누적가동일수 | 누적가동시간 |
내화물 | 16 | 477 | 270 | 4,266 |
LIME(포항) | 215 | 6,549 | 2,456 | 58,943 |
LIME(광양) | 203 | 6,173 | 2,315 | 55,561 |
* LIME(포항): KILN 10기 합산 기준
* LIME(광양): KILN 9기 합산 기준
라.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톤)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54기 3분기 | 제53기 연간 | 제52기 연간 |
내화물 | 연와, 부정형 등 | 포항 | 59,677 | 77,437 | 81,094 |
LIME | 생석회 | 포항 | 769,434 | 1,110,594 | 1,043,109 |
광양 | 907,210 | 1,243,040 | 1,176,611 | ||
합 계 | 1,736,321 | 2,431,071 | 2,300,814 |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 실적 생략
(2) 당분기 가동률 (단위 : 톤, %)
사업소(사업부문) | 생산능력 | 생산실적 | 평균가동률 |
내화물공장 | 87,261 | 59,677 | 68% |
생석회공장(포항) | 822,000 | 769,434 | 94% |
생석회공장(광양) | 822,000 | 907,210 | 110% |
합 계 | 1,731,261 | 1,736,321 | - |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능력, 생산실적,평균가동률 생략
마.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기 타(주3) | 건설중인자산 | 합 계 |
기초장부가액 | 156,332,745 | 509,882,956 | 26,300,262 | 1,072,750,503 | 7,495,841 | 33,686,098 | 1,553,039,593 | 3,359,487,998 |
기초취득원가 | 156,332,745 | 577,473,157 | 42,240,119 | 1,470,504,697 | 21,828,479 | 94,598,679 | 1,559,505,128 | 3,922,483,004 |
정부보조금 | - | (1,409,299) | (30,093) | (6,663,257) | (65,364) | (274,716) | (6,465,535) | (14,908,264) |
감가상각누계액 | - | (65,120,531) | (15,878,481) | (328,781,040) | (14,267,274) | (60,571,867) | - | (484,619,193) |
손상차손누계액 | - | (1,060,371) | (31,284) | (62,309,897) | - | (65,998) | - | (63,467,550) |
취득 및 자본적지출 | - | 91,452 | 36,477 | 1,118,176 | 284,672 | 1,037,448 | 1,715,470,882 | 1,718,039,107 |
정부보조금 수령 | - | - | - | - | - | (20,269) | (8,372,466) | (8,392,735) |
대체(주1) | - | 61,808,647 | 1,818,403 | 445,722,197 | 1,194,776 | 11,297,129 | (505,568,912) | 16,272,240 |
감가상각(주2) | - | (15,532,902) | (1,403,066) | (79,361,979) | (2,285,603) | (10,038,828) | - | (108,622,378) |
손상차손 | - | (222,012) | (339,255) | (4,371,164) | - | - | - | (4,932,431) |
처분 | (2,420) | (1,363,414) | - | (2,853,375) | (41,537) | (2,636) | - | (4,263,382) |
매각예정자산집단 대체 | (14,939,675) | (17,537,360) | (602,620) | (51,632,140) | (752,470) | (896,604) | (83,263,365) | (169,624,234) |
순외환차이 | 470,310 | 444,593 | 47,465 | 1,065,502 | 11,834 | 169,443 | (36,129,222) | (33,920,075) |
분기말장부가액 | 141,860,960 | 537,571,960 | 25,857,665 | 1,382,437,720 | 5,907,513 | 35,231,781 | 2,635,176,510 | 4,764,044,109 |
취득원가 | 141,860,960 | 620,241,487 | 43,482,741 | 1,806,349,645 | 21,935,683 | 104,679,068 | 2,643,396,899 | 5,381,946,483 |
정부보조금 | - | (2,699,390) | (31,392) | (10,459,705) | (71,530) | (378,675) | (8,220,389) | (21,861,081) |
감가상각누계액 | - | (78,688,251) | (17,223,145) | (393,412,176) | (15,956,640) | (69,002,614) | - | (574,282,826) |
손상차손누계액 | - | (1,281,886) | (370,539) | (20,040,044) | - | (65,998) | - | (21,758,467) |
(주1) | 건설중인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대체된 4,096,273천원 및 선급금에서 건설중인자산으로 대체된 20,490,742천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2) | 감가상각비 중 100,637,470천원은 매출원가로, 2,855,846천원은 일반관리비로, 4,853,491천원은 경상연구개발비로, 275,571천원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3) | 기타의 분기말장부가액은 공구와기구 21,026,891천원, 비품 14,204,890천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바. 생산설비의 신설ㆍ매입계획 등
- 진행중인 투자
(단위: 억원) |
사업 부문 |
회사명 | 구분 | 투자기간 | 투자대상 자산 | 투자효과 | 총투자액 | 기투자액 | 향후투자액 |
이차전지소재 | (주)포스코퓨처엠 | 신/증설 | 2023-07~2025-10 | 광양 양극재 5단계 | 생산능력 증가 | 6,834 | 1,225 | 5,609 |
이차전지소재 | (주)포스코퓨처엠 | 신/증설 | 2020-03~2025-06 |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 생산능력 증가 | 4,612 | 2,924 | 1,688 |
이차전지소재 | (주)포스코퓨처엠 | 신/증설 | 2022-07~2025-02 | 광양 전구체 2단계 | 생산능력 증가 | 3,262 | 2,951 | 311 |
이차전지소재 | (주)포스코퓨처엠 | 신/증설 | 2023-03~2025-01 | 포항 양극재 2-1단계 | 생산능력 증가 | 3,920 | 2,619 | 1,301 |
이차전지소재 | (주)포스코퓨처엠 | 신/증설 | 2023-04~2025-08 | 포항 양극재 2-2단계 | 생산능력 증가 | 6,148 | 2,342 | 3,806 |
이차전지소재 | ZHEJIANG POSCO-HUAYOU ESM CO., LTD |
신/증설 | 2021-08~2025-06 | 중국 절강포화 양극재 2단계 | 생산능력 증가 | 1,769 | 1,081 | 688 |
이차전지소재 | POSCO FUTURE MATERIALS CANADA INC. |
신/증설 | 2022-05~2025-03 | 캐나다 양극재 1단계 | 생산능력 증가 | 9,187 | 8,150 | 1,037 |
이차전지소재 | POSCO FUTURE MATERIALS CANADA INC. |
신/증설 | 2023-06~2027-05 | 캐나다 양극재 2단계 | 생산능력 증가 | 10,005 | 879 | 9,126 |
*해외 자회사 투자건은 당사 자본금 납입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에 관한 사항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2024년 (제54기) 3분기 |
2023년 (제53기) 연간 |
2022년 (제52기) 연간 |
||
매출액 | 매출액 | 매출액 | |||||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 상품, 제품, 용역, 기타매출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수출 | 18,836 | 21,212 | 35,508 |
내수 | 370,074 | 520,254 | 516,149 | ||||
합계 | 388,910 | 541,466 | 551,657 | ||||
라임화성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수출 | 38,294 | 60,790 | 35,316 | ||
내수 | 591,511 | 795,816 | 776,672 | ||||
합계 | 629,805 | 856,606 | 811,988 | ||||
에너지소재사업 | 양극재, 음극재 | 수출 | 1,906,057 | 3,252,533 | 1,778,364 | ||
내수 | 51,925 | 109,266 | 159,907 | ||||
합계 | 1,957,982 | 3,361,799 | 1,938,271 | ||||
합 계 | 수출 | 1,963,187 | 3,334,535 | 1,849,188 | |||
내수 | 1,013,510 | 1,425,336 | 1,452,728 | ||||
합계 | 2,976,697 | 4,759,871 | 3,301,916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광양사업실 광양조업지원섹션, 포항사업실 포항조업지원섹션, 글로벌노재사업실 플랜트마케팅그룹, 글로벌노재사업실 글로벌마케팅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국내마케팅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해외마케팅1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해외마케팅2그룹
(2) 판매경로
직판매, 직수출, 대리점 - End User
(3) 판매방법 및 조건
제품판매의 경우에는 구매처로부터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수주하며, 정비작업 및 건설공사는 발주처를 직접 접촉하여 견적서를 제출한 후 수의계약 또는 견적 입찰을 통하여 수주하고 있습니다. 판매조건에 있어서 주요거래처인 포스코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후 1주일내 현금 50%와 전자구매카드 50%로 수령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에 의한 신규 수요창출로 고객만족 강화
- 해외설비투자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로 시장 점유율 증대
- 로보수 부분의 독점적 기술능력의 지속적 유지
(5) 주요매출처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연결)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Ultium Cells (35.3%), 포스코(21.6%), 삼성SDI(11.3%), LG에너지솔루션(11.1%) 등
다. 수주상황
당분기말 현재, 포스코퓨처엠의 수주잔고 10억원 이상인 계약의 수주잔고 총액은 약 48,011백만원입니다.
(기준일 : 2024.09.30) (단위 : 백만원)
품목 | 수주 일자 |
납기 | 수주총액 | 기납품액 | 수주잔고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광양 2고로 2차 개수 | 2023-11-01 | 2025-07-31 | - | 30,000 | - | - | - | 30,000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CDQ 신설 내화물공사 | 2022-11-17 | 2027-04-30 | - | 18,373 | - | 5,414 | - | 12,959 |
광양 전기로 신설 TLC 축로공사 | 2024-05-24 | 2025-10-20 | - | 3,596 | - | 7 | - | 3,589 |
포항 6기 코크스 Oven Roof 내화물 보수 | 2024-05-27 | 2025-01-31 | - | 2,938 | - | 1,475 | - | 1,463 |
합 계 | - | 54,907 | - | 6,896 | - | 48,011 |
당사의 에너지소재 부문은 주로 거래처와 중장기 공급계약 체결후 납품하고 있으나, 공급물량 등이 고객의 실제주문 및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 대내외적 경제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주요 시장위험
연결실체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시장위험(환위험, 공정가치 이자율 위험, 현금흐름이자율 위험 및 가격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외환위험
연결실체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특히 주로 달러화와 관련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연결실체 내의 연결실체들이 각각의 기능통화에 대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2) 가격위험
연결실체는 재무상태표상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연결실체 보유 채무증권 및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상품 및 제품 가격위험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습니다.
(3) 이자율 위험
연결실체는 미래 시장의 이자율 변동에 따라 고정 금리부 조건의 예금 또는 차입금의 공정가치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연결실체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한 외부차입 최소화, 고금리 차입금 감축, 장/단기 차입구조 개선,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 유지, 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대응방안 수립 등을 통해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한편,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부채의 이자율 변동이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아니합니다.
나. 위험관리방식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당사의 환위험 관리와 관련한 정책 방향은 Natural hedge로써, 외화수입을 외화지출에 우선 충당하는 것입니다. Natural hedge 후 잔여 과부족에 대해서는 통화스왑 등 파생상품 체결 및 매출채권 할인 등을 통해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위험 관리 정책에 따라 환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외환 노출도를 축소해 나가고 있습니다. 외환거래는 실물거래에 국한하고 있으며, 투기적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매출채권액을 적정 선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결제 연기/지연 고객사에 대한 결제 독려와 담보 관리 강화를 실시하고 있고 , 부도 위험성이 높은 고객사에 대해서는 선제적 대응으로 매출채권의 부실화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다. 위험관리조직
회사는 내부적으로 환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외환 거래에 대해서 적절한 헤징을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환위험을 관리할 전문 인력으로 FX환율 관련 업무 2인, 송금 및 계좌관리 관련 업무 2인을 두고 상호 업무를 분리하여 내부적인 통제수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영기획실을 통해서도 전사적 통합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 파생상품계약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 포스코퓨처엠
회사는 환율변동에 따른 상품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24년 3분기말 환율기준 현재 재무제표에 반영된 손익은 14,576백만원입니다.
- 파생상품 계약현황 (단위 : USD)
구분 | 금융기관 | 통화 | 계약일 | 만기일 | 계약금액 |
통화스왑 | 우리은행 | USD | 2023-09-27 | 2025-09-26 | 300,000,000 |
통화스왑 | 국민은행 | USD | 2024-08-28 | 2027-08-28 | 60,000,000 |
- 파생상품 평가손익 및 거래손익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 평가이익 | 평가손실 | 거래이익 | 거래손실 |
통화스왑 | 10,002 | 1,029 | 5,603 | - |
- 옵션에 관한 사항
연결실체는 Inner Mongolia Sinuo New Material Technology Co.,Ltd 증자 계약
에서 연결실체의 보유 지분에 대하여 Inner Mongolia Sinuo New Material Technolo
gy Co.,Ltd 최대주주인 국민기술 주식유한회사와 풋콜옵션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
실체는 약정된 행사기간 동안 약정된 상황 하에서 약정된 행사가격으로 풋옵션을 행
사할 수 있습니다. 국민기술 주식유한회사는 증자 이후 3년간 연결실체가 의무매입
수량 총 1천톤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 한해서 연결실체 최초 지분매입시 지불가격
에 상응하는 가격으로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실체는 보유지분
감소와 더불어 이사회 선임권이 박탈될 수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GM Battery Raw Materials Corporation(이하 GM)과의 GP Shareho
lders Agreement에 의하여 본 계약 서명일로부터 2년째 되는 날 이전에 산업 기술의유출 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1단계 사업장, 공급계약 및 기술 승인과 관련하여 무조건적인 국가 핵심기술 수출 승인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 GM은 연결실체에 지분 전부(GM이 보유한 ULTIUM CAM GP INC. 및 ULTIUM CAM LIMITED PA
RTNERSHIP)를 매각할 수 있으며, GM은 본 계약 서명일로부터 27개월째 날까지 이러한 풋옵션 행사가 가능합니다. GM이 풋옵션 행사시 연결실체는 (i) GM의 지분 공정시장가액 또는 (ii) GM이 매각 마감 전에 수행한 자본 출자 총액의 125% 중 더 큰
금액으로 GM의 지분을 즉시 구매해야 합니다.
- 기타 계약과 관련된 사항
연결실체는 GM Battery Raw Materials Corporation(이하 GM)과의 GP Shareholders Agreement에 의하여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에 추가출자의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2025년까지 캐피탈콜(CapitalCall)방식으로 잔여약정금액 USD 787,845천을 추가 출자할 예정입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해당사항이 없음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명칭 | 조직형태 |
기초소재사업부 | 기초소재연구그룹 |
에너지소재연구소 | 양극재개발그룹 |
음극재개발그룹 | |
FullCell평가섹션 |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 제54기 3분기 | 제53기 | 제52기 | 비고 |
원 재 료 인 건 비 제 조 경 비 |
5,609 13,195 17,350 |
17,228 15,167 19,899 |
7,493 12,688 20,259 |
- |
합 계 | 36,154 | 52,294 | 40,440 | - |
정부보조금 | 264 | 527 | 556 | - |
자 산 계 상 비 용 계 상 |
4,344 31,810 |
11,932 40,362 |
1,137 39,303 |
-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1.2% | 1.2% | 1.3% | - |
(3) 연구개발 실적
▶ 2024년도
- 전기화학 촉매용(CO2 전환반응) 다공성 탄소 지지체 제조기술 개발
- Sagger 와 양극재 전구체 반응성 연구
▶ 2023년도
- Ultium 向 Ni 86% NCMA 양극소재 부품승인
- Ni 90% 고용량 High Ni NCMA 양산개발 완료
- Ultium 向 인조흑연 양산공정 개발 및 부품승인
- 제조조건에 따른 활성탄소 기공형성 연구
- 탄소중립 제철조업 대응 내화물 개발
▶ 2022년도
- Gen.3 EV용 Ni 86% NCMA 양극소재 개발
- Gen.3 EV용 Ni 86% 단결정 양극소재 개발
- xEV용 고출력 미립 천연흑연 음극재 개발
- 석탄원료 기반 활성탄 제조기술 연구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 국내외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유지 건수 (단위 : 건)
구분 | 국내 | 해외 | 계 | |
특허 (디자인 포함) |
기초소재 | 156 | 9 | 165 |
에너지소재 | 708 | 279 | 987 | |
상표 | 기초소재 | 16 | - | 16 |
에너지소재 | - | - | - |
보유중인 특허는 대부분 이차전지 제품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방법 등과 관련된 것으로 당사의 기술과 제품을 보호하고, 시장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당사 지식재산권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전담 조직인 IP전략센터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지식재산권의 전략수립, 출원 및 등록, 사후관리 및 분쟁 대응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나. 법률ㆍ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포스코그룹은 "독점규제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상호출자제한ㆍ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되어, 계열회사 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이 금지되는 등 관련 규정에 따른 규제를 적용받고 있습니다. 또한 동법 제 45조 제1항 제9호(불공정거래행위의 금지) 및 관련규정에 의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습니다.
다.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 12조에 따라 계획기간('21~'25년)의 총 배출권과 이행연도별 배출권을 할당 받았습니다. 2011년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을 최초 인증받았으며, 2023년 11월 재인증심사를 거쳐 지속적인 인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실적
구분 | 2024년(당기) 3분기 누적 실적(2024.1.1~9.30) |
온실가스(천톤) | 1,749 |
에너지(천TJ) | 13 |
※ 상기 배출량은 당사 산정 결과이며, '25년 6월 환경부 적합성 평가 후 확정 예정.
라. 사업에 관한 사항
1) 영업개황
당사가 주로 영위하는 에너지소재사업은 막대한 초기자본이 투하되는 산업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규모의 경제 달성을 위한 양산 설비 구축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며,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당사는 美IRA 세부내용 확정 후 지속적으로 신규시설 투자를 하며 경쟁사와 차별화된 경쟁력을 고객사에 보여주었으며, 이는 100조 원에 이르는 누적수주로 이어졌습니다.
당사는 계속되는 긴축기조와 원재료 가격의 등락이 반복되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에너지소재사업의 원재료부터 최종재에 이르는 완전한 밸류체인 구축, 기초소재사업의 지속가능 성장기술 개발 및 신규사업 확대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통하여 2024년 3분기말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2조 9,767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420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2) 산업의 특성
(1) 기초소재사업
노재정비, 내화물축조공사, 생석회 제조사업은 포스코의 조강생산량 증감과 손익이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내화물 제조
내화물(Refreactory products)이란 고온에서 연화가 되지 않고, 고온ㆍ고열에 견뎌내는 물질로서 1300℃ 이상의 열처리를 하는 모든 공업에 사용되는 세라믹스를 말합니다. 국내 내화물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중화학 공업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 성장을 이루어 설비투자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양적, 질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 세계 내화물업체의 과잉 설비로 인한 가동율 감소 및 저가의 중국산 제품의 유입 등 무한경쟁의 체제에 놓여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극한의 원가 경쟁력 확보와 고부가가치품의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입니다.
- 내화물정비
제철소 고로 및 각종 플랜트에 내화물을 시공하는 노재정비는 제철, 화학업종의 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내외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아 석유화학 및 플랜트 제조업체로의 매출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의 내화물 시공분야 국내 최고수준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고로건설과 개수, 철강, 비철, 소각로 및 석유화학 설비는 물론 해외 플랜트 내화물공사의 전문성까지 확보하고 있습니다.
- 라임(LIME)사업
당사는 (주)포스코의 포항제철소 및 광양제철소의 COG가스를 정제하는 화성공장을 위탁운영 중에 있으며, 동공정 중 발생되는 화성품을 매입 및 가공하여 판매하는 화성사업을 영위중에 있습니다. 생석회 시장은 포스코, 현대제철 제철용 생석회가 전체생석회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포스코로 공급을 하고 있는 당사와 현대제철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화성사업
당사가 포스코로부터 매입후 가공 판매하는 콜타르 및 조경유 등의 화성제품은 고로를 가진 제철소에서만 생산가능하며 국내에서는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입니다. 콜타르, 조경유 등 화성품 시장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석회 시장과 같이 소수 업체만이 경쟁하고 있는 과점 형태의 시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철 부산물로서 석탄화학 가공을 하는 수직계열화 시장의 특성이 존재합니다. 화성품 공급에 있어 당사는 관계사인 포스코엠씨머티리얼즈, OCI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화성품 시장은 당사 및 현대제철로부터 생산되는 화성품이 대부분인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에너지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0년 8월에 LS엠트론의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 하였고 2019년 4월에 양극재 회사인 포스코ESM 을 흡수합병하여 현재 이차전지 밸류체인에서 후방산업 성격을 띄고있는 고부가가치 소재인 음극활물질(음극재) 소재와 양극활물질(양극재) 소재를 모두 생산중에 있습니다.
* 리튬이온전지(Lithium-ion Battery)
이차전지란, 방전이 되면 사용 불가능한 일회적인 1차전지와는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2회이상 반복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합니다. 리튬이온전지는 전지 작동 시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고, 자기방전이 적어 장시간 보관에 적합한 전지입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전지보다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EV, ESS(Energy Storage System), IT/Powertool 용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양극재(Cathode material)
양극재는 리튬이온전지의 4가지 핵심소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리튬의 공급원으로써, 전지 충/방전 시 양극재의 결정격자로부터 리튬을 방출/흡수하여, 전지 내에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리튬을 많이 포함한 양극재를 사용할수록 용량이 커지게 되고, 음극재와 양극재의 전위차가 크면 전압이 커집니다. 양극재의 주요 제품으로는 NCM, NCMA, NCA, LFP 등이 있습니다.
- 음극재(Anode material)
음극재는 리튬이온과 전자를 전지 충전 시 저장하였다가 방전 시 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전지가 충전상태일 때 리튬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며 방전 시 리튬이온은 전해액을 통해 다시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튬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음극재의 주요 제품으로는 탄소 기반의 천연흑연, 인조흑연 음극재가 있으며, 차세대 음극재로 실리콘 기반의 산화규소(SiOx)계, 탄화규소(SiC)계 음극재가 있습니다.
3) 산업의 성장성 및 국내외 시장여건
(1)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내화물 시장은 국내 업체들도 치열한 가격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 중국진출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세계시장에서도 충분한 원가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다국적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업체간의 과다한 경쟁을 자제하고 현재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국내 시장의 방어는 물론 경쟁력을 강화하여 세계시장으로의 확대도 가능하리라 여겨집니다.
- 라임화성사업
화성품의 경우 제철공업 및 화학공업의 대표 원료로서 그 수요가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 전극봉 및 인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침상코크스 사업, 전극재의 주 원료인 피치코크스 사업, 흑연블록 사업 등 석탄화학 사업의 기초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콜타르 수요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화성품, 석회의 품질 개선, 공급 확대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소성기술의 발전 및 신식 소성로의 도입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부가가치의 Down Stream사업(침상코크스, 음극재)의 성장에 따라 화성품 가치의 상승은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 하나의 주요 신소재로서 자리매김하면서 그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이차전지의 4대 핵심요소는 양극활물질(양극재), 음극활물질(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제조업체는 핵심 소재들을 매입 또는 자체 생산하여 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최종적으로 IT, 자동차, 에너지 업체들에 공급합니다. 주요 최종 적용 제품으로는 소형분야인 모바일기기와 중대형분야인 전동공구, E-bike, 전기차, 전력저장시스템(ESS) 등이 있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업체를 대상으로 이차전지 주요 소재를 납품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중국의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OEM업체들의 전기차 모델비중 확대 추세로 전기차 침투율은 2023년 16%에서 2030년에는 약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기조에 힘입서 전기차 판매량은 2023년 1,407 만대를 기록하였고, 2024년 1,641 만대, 2030년 4,070 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기차 시장 성장 수혜가 큰 사업입니다.
에너지소재부문의 시장 점유율은 판매 제품의 다양성으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전 사업부문에서 계절적 영향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1)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내화물 산업의 매출비중은 제철, 제강산업이 약 70%, 시멘트, 요업산업이 약 10%로 2개 주요산업의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상기 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화물의 중요한 원.부원료는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라임화성사업
생석회 및 화성사업은 제철소의 조강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내외 건설경기 등 철강시황의 변동에 따른 조강생산량 증감에 따라 손익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내 철강시장의 치열한 경쟁속에서도 지속적인 원가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권 매각 이익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으며, 포스코 해외 제철소 사업에도 동반진출하여 관련사업을 영위 중에 있습니다. 생석회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당사와 포스코가 강원도 및 일본에서 공동구매 형식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이차전지소재사업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및 IT기기 시장의 성장확대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선진 국가들은 탄소저감을 위하여,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등의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는데 향후 국가별 정책변화에 따라 산업의 성장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양극재의 주원료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음극재의 주원료인 천연흑연은 중국이 최대 생산국이며 콜타르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인조흑연은 일본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5) 경쟁력
당사는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원료부터 소재, 폐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배터리소재 풀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고, 탈중국 난이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받는 흑연계 음극재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완성차, 배터리 기업들 대상 매출액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당사는 2022년 8월 GM과 합작사(Ultium CAM)를 설립하여 연간 3만톤 규모의 캐나다 공장의 착공에 돌입,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이는 2025년 하반기 완공 예정 및 2026년 상반기 생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또한, 양극재 원료인 리튬의 경우 당사의 최대주주인 포스코홀딩스(주)가 아르헨티나 염호, 호주 광산 투자 등을 통해 2024년 7만 1천톤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2026년에는 9만 6천톤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니켈 역시 포스코홀딩스(주)가 광석 채굴부터 제련, 리사이클링을 통한 니켈 확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2026년 4만 8천톤의 니켈 생산체제(전구체 합작 제외)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포스코홀딩스(주)는 '24년 4분기 광양에 고순도니켈 정제공장을 준공할 계획이며, 제련사와 합작 등을 통해 중간물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가 생산하는 천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흑연은 전세계적으로 중국의 시장지배력이 높으나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탄자니아 마헨지 흑연 광산에 투자함으로써 중국 외 흑연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인조흑연 음극재의 경우, 핵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인 (주)포스코엠씨머티리얼즈가 (주)포스코 제철 공장의 부산물 콜타르를 활용하여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부터 최종 소재 생산까지 수직 계열화 및 국산화를 추진중입니다. 음극재의 경우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전기차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업체가 중국을 제외하면 당사가 유일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 IRA 도입의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포스코그룹 차원의 배터리소재 밸류체인 구축이라는 강점을 기반으로 미국 IRA의 도입 후 배터리 소재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코그룹 내 리튬, 니켈, 흑연 등 배터리 소재 원료에 대한 생산량이 계획보다 축소되거나 지연될 경우 IRA의 강화된 원산지 규제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현 시점에서 전망되고 있는 수혜 규모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GM과의 합작사를 통한 캐나다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 건설 외에도 향후 IRA의 脫중국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규 시설 투자로 인한 자금 소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IRA의 전기차와 관련된 제재 및 보조금 도입 시점이 연기되거나, 세액 공제 규모가 축소되는 경우 동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마.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 품 목 | 구체적용도 | 2024년 3분기 (제54기) | 2023년 (제53기) | 2022년 (제52기) | ||||||||||
매출액 | 매출액 비율(%) |
영업손익 | 영업손익 비율(%) |
매출액 | 매출액 비율(%) |
영업손익 | 영업손익 비율(%) |
매출액 | 매출액 비율(%) |
영업손익 | 영업손익 비율(%) |
||||
기초소재 사업 |
내화물 사업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
388,910 | 13.1 | 13,357 | 31.8 | 541,466 | 11.4 | 13,770 | 38.4 | 551,657 | 16.7 | 7,347 | 4.4 |
라임화성 사업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
629,805 | 21.1 | 18,071 | 43.0 | 856,606 | 18.0 | 33,828 | 94.3 | 811,988 | 24.6 | 7,912 | 4.8 | |
에너지소재 사업 | 양극재, 음극재 | 배터리 소재 | 1,957,982 | 65.8 | 10,574 | 25.2 | 3,361,799 | 70.6 | (11,716) | (32.7) | 1,938,271 | 58.7 | 150,612 | 90.8 | |
합 계 | - | - | 2,976,697 | 100.0 | 42,002 | 100.0 | 4,759,871 | 100.0 | 35,882 | 100.0 | 3,301,916 | 100.0 | 165,872 | 100.0 |
* 공통 판매비와 관리비 및 자산의 합리적 배부 기준 적용
ㆍ공통 판매비와 관리비의 경우 각 사업부문 매출액에 비례하여 적절히 배부하고 있습니다.
ㆍ공통자산의 경우 직접귀속이 가능한 자산(재고자산, 고정자산, 투자자산 등)은
해당 부서에 직접 귀속되나, 전사 공통관리가 필요한 자산 및 자산귀속이 불분명한 자산은 필요한 경우 합리적인 배부 기준(매출액비, 세전이익비 등)에 의거 각 부문에 배부하고 있습니다.
바. 종속회사의 사업현황
당사는 PT.KRAKATAU POSCO FUTUREM의 지분 80%, Zhangjiagang Pohang Refractories의 지분 51%, (주)피앤오케미칼의 지분 51%, ZHEJIANG POSCO-HUAYOU ESM CO., LTD의 지분 45.3%, POSCO FUTURE MATERIALS CANADA INC.의 지분 100%, ULTIUM CAM GP INC.의 지분 85%,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지분 85%를 보유 중입니다.
[PT.KRAKATAU POSCO FUTUREM ]
포스코의 인니제철소 사업파트너 PT-krakatau Steel의 자회사인 PT.Krakatau Sarana Infrastrutur사와 8:2(포스코퓨처엠 : 80%, PT.Krakatau Sarana Infrastrutur : 20%)의 비율로 지분을 투자하여 인니에 설립된 해외법인으로, 생석회를 생산하여 인도네시아 일관밀 PT-KP(PT.Krakatau Posco) 제강 공장에 공급중에 있습니다.
[Zhangjiagang Pohang Refractories]
중국 강소성 장가항시에 소재하며 내화재료 공급, 노재정비 작업 수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피앤오케미칼]
OCI(주)와 합작하여 설립한 법인으로 전남 광양에 소재하고 있으며, 과산화수소, 정제COG 등 각종화학제품 및 부산물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ZHEJIANG POSCO-HUAYOU ESM CO., LTD]
중국 절강성 가흥시에 소재하며 양극재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POSCO FUTURE MATERIALS CANADA INC.]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GM과 합작법인인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지주사입니다.
[ULTIUM CAM GP INC]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GM과 합작법인인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투자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양극재 제조 및 판매 예정입니다.
포스코홀딩스 주가 에코프로비엠 주가 포스코dx 주가 posco홀딩스 주가 엘앤에프 주가 lg에너지 솔루션주가 에코프로 주가 포스코엠텍 주가 포스코인터내셔널 주가 금양 주가 나노신소재 주가 포스코 홀딩스 삼성sdi 주가 삼성전자 주가 코스모신소재 주가 포스코퓨처엠 주가 전망 lg화학 주가
포스코퓨처엠 주가전망
●포스코퓨처엠주가
포스코퓨처엠 목표주가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홀딩스 주가
포스코인터내셔널 주가
포스코dx주가
포스코홀딩스 주가전망
포스코퓨처엠 전망
에코프로비엠 주가
포스코 퓨처엠 주가 전망
포스코홀딩스 주가
포스코 퓨처 엠 배당금
포스코 DX 주가
POSCO홀딩스 주가 전망
포스코 퓨처 엠 실적
윤성에프앤씨 주가
포스코 퓨처 엠 실적 발표
포스코퓨처엠 주가 전망 2025 | 2차전지 소재 성장성과 목표 주가
포스코퓨처엠 주식, 지금 사도 될까? 실적 분석과 투자 전략
포스코퓨처엠 주가 하락 이유는? 반등 가능성과 미래 성장성 체크
2차전지 대장株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음극재 사업과 주가 영향
포스코퓨처엠 주가 분석 | 배터리 소재 시장 전망과 투자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