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실적 분석 | 5G·AI·데이터센터 사업과 주가 영향
목표 전망 T1 주식 가격 역대 주가 지분 지배 구조 차트 배당금 SKT 실적 매출 발표일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연결실체의 각 부문은 독립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법률적 실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①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②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③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등의 기타사업부문으로 구별되어 있습니다.
[요약] 연결 대상 주요 종속회사 사업의 내용
사업부문 | 회사명 | 주요 사업 내용 |
무선 통신 사업 |
SK텔레콤㈜ |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음성/데이터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 |
피에스앤마케팅㈜ | 유/무선 통신상품을 판매하는 도/소매 및 온라인 유통채널 운용 | |
SK오앤에스㈜ | 기지국 유지보수 | |
서비스에이스㈜ | 고객센터 관리 및 운용 | |
유선 통신 사업 |
SK브로드밴드㈜ | 초고속인터넷, TV, 전화, 기업데이터, 기타 유선통신 기반ICT 서비스 제공 및 콘텐츠 전송시스템 관리, VOD를 포함한 채널 관리 등의 미디어사업을 영위 |
홈앤서비스㈜ | 초고속인터넷과 IPTV, 유선전화 서비스의 영업 및 개통/장애처리 등 업무 수행 | |
SK텔링크㈜ | 무선 국제전화 00700, MVNO(이동통신재판매) 사업 | |
기타 사업 |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
Atlas Investment | 투자업 | |
SK Telecom Innovation Fund, L.P. | 투자업 | |
에스케이엠앤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 |
SAPEON Inc. | 비메모리용 및 기타 전자집적회로 제조업 | |
주식회사 사피온코리아 | 비메모리용 및 기타 전자집적회로 제조업 |
가. 무선통신사업
무선통신 사업자들은 단말, 요금제, 네트워크, 콘텐츠 등의 본원적 경쟁력을 기반으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5G 시장에서 앞선 통신 기술력과 네트워크 운용 기술을 바탕으로 경쟁사가 결코 뛰어넘을 수 없는 프리미엄 네트워크 사업자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통해 5G 시대에도 변함없는 1위 사업자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통채널 강화를 위해 주요 종속회사 피에스앤마케팅을 통해 다양한 컨버전스상품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무선 통신상품 판매 플랫폼을 구축하고, 신규 판매채널 발굴과 상품개발을 지속하면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콜센터 운영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는 주요 종속회사인 서비스에이스를 통해 운영 중이며, 네트워크 운용을 담당하는 SK오앤에스를 통해 고객에게 최고의 이동통신 품질을 제공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운용기술 관련 노하우를 내재화하고 있습니다.
무선통신사업은 5G 가입자 기반의 안정적 매출에 더불어, 네트워크 투자/운용 효율화 및 시장경쟁 안정화로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5G 가입자 수는 2024년 9월 말 기준 1,658만 명을 기록하였고, 5G 고객 비중은 70%를 넘어섰습니다. 당사는 안정적인 시장 운영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면서도, 고 ARPU 요금제 유치 및 유지에 집중하여 매출 규모도 방어한다는 전략입니다.
또한 2024년 3분기 기준, 엔터프라이즈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약 8%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전용회선 실적과 더불어, 클라우드 사업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한국어 GPT-3 상용화 서비스인 'A.(에이닷)'은 지난 8월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과 다양한 에이전트를 통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며, 검색과 일상 편의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이에 힘입어 9월말 기준 누적 가입자가 5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나. 유선통신사업
SK브로드밴드는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조 2,878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3조 1,963억 대비 2.9% 증가한 금액으로 가입자 증가에 따른 미디어 사업 성장과 신규 데이터센터(DC) 중심의 B2B 사업 성장에 기인합니다.
SK브로드밴드의 사업은 IPTV와 CA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사업 부문과 초고속인터넷, 전화, 전용회선, 데이터센터(DC)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유선통신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미디어 사업 부문의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1조 4,352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유선통신 사업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1조 8,526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2024년 9월말 기준 962만 유료방송 가입자와 711만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를 확보하였습니다. 성숙단계에 접어든 유/무선 시장에서 고ARPU 요금제 및 high-tier 가입자 중심의 유치 활동을 통해 수익성도 동시에 개선해나가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따라,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하였습니다.
다. 기타 사업
에스케이스토아주식회사의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은 TV홈쇼핑과 데이터홈쇼핑이 합쳐진 양방향 서비스로서, 이전에 TV홈쇼핑에서 방송 중인 것만 구입 가능했던 것과 다르게 TV화면에 다양한 상품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TV 리모콘, 모바일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 구매하는 양방향형 서비스 입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매출 비중
사업부문 | 주요회사 | 매출유형 | 품목 | 구체적용도 | 주요상표 등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연결 매출액 (백만원) |
비율 (%) |
연결 매출액 (백만원) |
비율 (%) |
연결 매출액 (백만원) |
비율 (%) |
||||||
무선통신 사업 |
SK텔레콤㈜ 피에스앤마케팅㈜ SK오앤에스㈜ 서비스에이스㈜ |
서비스 |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 |
이동전화 | T, 5GX, T플랜 등 | 9,986,679 | 74 | 13,123,166 | 75 | 12,942,316 | 75 |
유선통신 사업 |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SK텔링크㈜ |
서비스 |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 서비스 등 | 유선전화, 인터넷방송 |
B tv, 00700 국제전화, 7mobile 등 |
3,041,080 | 23 | 3,928,020 | 22 | 3,812,989 | 22 |
기타사업 | SK스토아 에스케이엠앤서비스㈜ 등 |
서비스 |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 제공업 등 |
플랫폼 | 스토아ON 등 | 401,329 | 3 | 557,325 | 3 | 549,668 | 3 |
합계 | 13,429,088 | 100 | 17,608,511 | 100 | 17,304,973 | 100 |
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 현황
(1) 무선통신 사업
2010년 초당 과금이 도입되기 전, 일반요금제의 월정액(부가세포함)은 14,300원, 통화료(낮시간대 기준)는 22원/10초였고, 표준요금제의 월정액(부가세포함)은 13,200원, 통화료는 19.8원/10초였습니다. 분기말 당사에서 제공하는 표준요금제의 월정액(부가세포함)은 12,100원, 통화료는 1.98원/초입니다.
4G 기반의 요금으로는 50,000원의 월정액(부가세포함)으로 4GB의 데이터와 무제한 음성통화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T플랜 안심4G' 요금제를 운영 중이며, 5G 기반의 요금으로는 49,000원의 월정액(부가세포함)으로 11GB의 데이터와 무제한 음성통화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베이직'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청년들의 데이터 이용 패턴/생활 트렌드를 적극 반영한 '5G 0(영) 청년 요금제'를 새롭게 출시, 2024년 3월 39,000원의 월정액(부가세포함)으로 5G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컴팩트'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앞으로도 여러 고객층에 진정성 있게 다가설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상기 요금제 외에도 고객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 중인 요금제는 당사 홈페이지(www.tworld.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유선통신 사업
SK브로드밴드㈜가 제공하는 서비스별 월정액 요금은
- 유선통신부분의 초고속인터넷은 무약정 30,800원(스피드인터넷) ~ 104,500원(기가프리미엄×10), 3년약정 22,000원(스피드인터넷) ~ 82,500원(기가프리미엄×10),
- 미디어부분의 IPTV는 무약정 11,000원(B tv 미니) ~ 50,600원(B tv All+캐치온+지상파),
- CATV(수원방송기준) 다이렉트케이블TV는 무약정 4,400원 이하(B tv cable20) ~ 16,500원 이하(B tv cable90), 3년약정 3,520원 이하(B tv cable20) ~ 13,200원(B tv cable90),
- 디지털케이블 TV는 무약정 13,200원 이하(B tv cable 100) ~ 26,400원(B tv cable 200), 3년 약정 10,560원(B tv cable 100) ~ 21,120원(B tv cable 200),
- 기술중립서비스 무약정 13,200원(B tv pop 100) ~ 19,800원((B tv pop 230), 3년 약정 7,700원(B tv pop 100) ~ 13,200원(B tv pop 230),
- 결합상품은 초고속인터넷+IPTV 3년약정 33,000원(스피드인터넷 +B tv 이코노미) ~ 111,100원(기가프리미엄×10 + B tv All+캐치온+지상파)이며, 제공하는 서비스 상품 및 약정기간과 결합상품 등의 가입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2024년 다양한 신규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3월에는 2030 고객을 위한 '2030 다이렉트 요금제'를 출시해 1년 단기 약정으로 3년 약정 수준의 저렴한 인터넷 요금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고, SKT망 알뜰폰과 결합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알뜰한 결합'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4월에는 다이렉트 케이블TV 상품에 약정 할인 제도를 도입했으며, 5월에는 B tv와 넷플릭스를 결합한 요금제를 출시하여 월 최대 2,000원 할인을 제공하였습니다. 9월에는 B tv와 B tv+ 월정액을 결합한 요금제를 출시하여 별도 월정액 가입 대비 최대 61%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AI와 4K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신규 셋톱박스 'AI 4 Vision'을 선보였습니다.
상기 요금제 외에도 고객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중인요금제는 홈페이지(www.bworld.co.kr)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1) 생산능력
1) 무선통신 사업
(단위: 개, 백만원) |
부문 | 품 목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회선보유능력 | 금액 | 회선보유능력 | 금액 | 회선보유능력 | 금액 | ||
정보통신 | 이동전화통신설비(망) | 47,880,000 | 12,075,106 | 45,880,000 | 15,482,807 | 48,880,000 | 16,794,190 |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 산출방법 등 : 이동전화 매출액 × {시설(회선)보유능력/회선보유수량}
※ 평균가동시간 : 연중 계속 가동
(2) 생산실적
1) 무선통신 사업
(단위: 개, 백만원) |
부문 | 품 목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회선보유수량 | 금액 | 회선보유수량 | 금액 | 회선보유수량 | 금액 | ||
정보통신 | 이동전화통신설비(망) | 34,187,000 | 9,583,437 | 33,662,000 | 12,589,220 | 32,836,000 | 12,414,600 |
※ 회선보유수량 및 금액은 MVNO가입자수 포함입니다.
나. 생산과 영업에 중요한 물적 재산
(1) 주요 시설 및 설비의 현황
1) 무선통신사업
지역 | 사업장 | 소재지 |
국내 15개 사업장 |
SK 텔레콤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5 |
SK 텔레콤 수도권CP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44 | |
SK 텔레콤 수도권Infra본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보라매로 5길 1 | |
SK 텔레콤 대구담당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1 | |
SK 텔레콤 중부담당/중부Infra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문정로 41 | |
SK 텔레콤 서부담당/서부Infra본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69 | |
SK 텔레콤 부산담당/동부Infra본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58 | |
SK브로드밴드㈜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4 | |
SK텔링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44 | |
홈앤서비스㈜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0 | |
피에스앤마케팅㈜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44 | |
SK오앤에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 |
서비스에이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로28길 25 | |
에스케이엠앤서비스㈜ | 서울시 중구 수표로 34 | |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 서울 마포 월드컵북로 402 | |
해외 1개 사업장 |
Atlas Investment | The Cayman Islands |
※ 상기 사업장은 SK텔레콤 주요 사업장 및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의 본사 사업장입니다.
2) 유선통신사업
구분 | 사업장 | 소재지 |
SK브로드밴드㈜ 국내 8개 사업장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4 |
서울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0 | |
수남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14 | |
수북 |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부토로 535 | |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58 | |
대구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1 | |
서부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11 | |
중부 | 대전광역시 서구 문정로 41 | |
홈앤서비스㈜ 국내 8개 사업장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0 |
서울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45 | |
수남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114 | |
수북 |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부토로 535 | |
부산 | 부산광역시 연제구 반송로 29 | |
대구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1 | |
서부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11 | |
중부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62 |
(2) 주요 시설 및 설비의 변동 현황
1) 무선통신사업
당사의 생산과 영업에 관련한 물적 재산으로는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의 유형자산이 있으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당기초 | 취득 | 처분 | 대체증(감) | 상각 | 당분기말 |
토지 | 1,248,200 | 11 | -322 | 18,714 | - | 1,266,603 |
건물 | 773,392 | 1,045 | -272 | 42,124 | -42,346 | 773,943 |
구축물 | 234,879 | 1,129 | -78 | 5,989 | -29,276 | 212,643 |
기계장치 | 7,890,654 | 266,842 | -3,256 | 1,026,537 | -1,701,797 | 7,478,980 |
기타의유형자산 | 485,157 | 270,213 | -11,224 | -293,251 | -63,723 | 387,172 |
사용권자산 | 1,611,951 | 246,155 | -45,963 | -21,702 | -299,457 | 1,490,984 |
건설중인자산 | 761,963 | 638,608 | -1,316 | -892,615 | - | 506,640 |
합계 | 13,006,196 | 1,424,003 | -62,431 | -114,204 | -2,136,599 | 12,116,965 |
2) 유선통신사업
SK브로드밴드㈜는 생산과 영업에 관련한 물적 재산으로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의 유형자산이 있으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 | 당기초 | 취득 | 처분 및 폐기 | 대체 | 감가상각비 | 당분기말 |
토지 | 392,833,830 | - | - | 499,852 | - | 393,333,682 |
건물 | 152,289,271 | 319,368 | (20,357) | 238,339 | (7,474,805) | 145,351,816 |
구축물 | 740,559 | 250,000 | - | 54 | (23,970) | 966,643 |
기계장치 | 2,650,144,607 | 219,031,521 | (2,781,413) | 107,216,409 | (515,767,641) | 2,457,843,483 |
차량운반구 | 547,741 | - | - | - | (133,232) | 414,509 |
기타의유형자산 | 14,275,486 | 4,078,486 | (30,062) | - | (5,322,681) | 13,001,229 |
건설중인자산 | 99,913,753 | 210,017,016 | - | (127,438,052) | - | 182,492,717 |
합 계 | 3,310,745,247 | 433,696,391 | (2,831,832) | (19,483,398) | (528,722,329) | 3,193,404,079 |
※ 작성기준일 현재 토지면적은 290,909.74㎡이며, 이에 대한 공시지가 총액은 490,934백만원입니다.
다. 생산과 영업에 대한 투자 현황
(1) 진행 중인 투자 및 향후 투자계획
1) 무선통신사업
(단위: 십억원) |
투자 목적 | 투자 대상 및 내용 | 투자 기간 | 총 소요자금 | 기 지출금액 | 향후 기대효과 |
증설/신설 | 네트웍,시스템 등 | 2024년 | 미정 | 728 | 기존 서비스 고도화 및 5G 등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제공 |
증설/신설 | 네트웍,시스템 등 | 2025년 | 미정 | - | 기존 서비스 고도화 및 5G 등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제공 |
증설/신설 | 네트웍,시스템 등 | 2026년 | 미정 | - | 기존 서비스 고도화 및 5G 등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제공 |
2) 유선통신사업
(단위 : 억원) |
투자의 목적 | 투자 대상 | 투자 기간 | 기 투자액 | 향후 투자계획 | 향후 기대효과 |
커버리지 확대 미디어 플랫폼 고도화 |
네트워크, 시스템, DC 등 | 2024년 3분기 | 4,388 | 미정 | 가입자망 및 장비 확보 품질향상 및 시스템 개선 등 |
※ 상기 기 투자액은 별도 기준입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무선통신 사업 |
서비스 |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 |
수 출 | 170,244 | 169,885 | 140,642 |
내 수 | 9,816,435 | 12,953,281 | 12,801,674 | |||
합 계 | 9,986,679 | 13,123,166 | 12,942,316 | |||
유선통신 사업 |
서비스 |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 서비스 등 |
수 출 | 152,627 | 178,824 | 183,812 |
내 수 | 2,888,453 | 3,749,196 | 3,629,177 | |||
합 계 | 3,041,080 | 3,928,020 | 3,812,989 | |||
기타사업 | 서비스 |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등 |
수 출 | 0 | 0 | 0 |
내 수 | 401,329 | 557,325 | 549,668 | |||
합 계 | 401,329 | 557,325 | 549,668 | |||
합 계 | 수 출 | 322,871 | 348,709 | 324,454 | ||
내 수 | 13,106,217 | 17,259,802 | 16,980,519 | |||
합 계 | 13,429,088 | 17,608,511 | 17,304,973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무선통신사업 | 유선통신사업 | 기타사업 | 소계 | 조정 | 합계 |
총 영업수익 | 11,117,310 | 3,930,183 | 448,648 | 15,496,141 | -2,067,053 | 13,429,088 |
내부 영업수익 | 1,130,631 | 889,103 | 47,319 | 2,067,053 | -2,067,053 | - |
외부 영업수익 | 9,986,679 | 3,041,080 | 401,329 | 13,429,088 | - | 13,429,088 |
감가상각비 | 2,015,182 | 726,338 | 19,573 | 2,761,093 | -92,845 | 2,668,248 |
영업이익(손실) | 1,355,093 | 262,241 | -39,090 | 1,578,244 | -8,984 | 1,569,260 |
금융손익 | -319,090 |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관련이익 | 24,685 | |||||
기타영업외손익 | 8,781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283,636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무선통신사업
1)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판매조직도 |
2) 판매방법
위탁대리점을 통해 이동전화 서비스(음성 및 무선 데이터 상품)와 유선상품(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일반전화)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효과적·효율적 대응을 통해 당사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중입니다. 고객만족경영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기본적 판매기능과 함께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CE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중심형 위탁대리점 및 직영망을 확대 중입니다. 무선데이터 관련 상품 등 신상품 출시 확대에 따라 대리점 등 영업접점의 교육 강화, 고객체험과 상품 Portfolio 강화, 이업종과의 Convergence, 전문매장 운영 등 판매 실적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유선통신사업
(1) 판매조직 및 경로
당사는 상담채널(콜센터, CRM센터), 직접채널(통신 설계사), 전국 및 지역 위탁영업망(전문 대리점), 홈앤서비스(마트, 사내유치)를 통해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2) 판매방법, 조건 및 판매전략
당사의 초고속인터넷, 전화, IPTV, CATV 등 서비스 이용요금은 전액 현금조건으로하고 있으며, 요금은 가입비용, 장비 임대료, 장비 판매료, 서비스 기본 이용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시장/고객의 요구에 대한 분석 및 이해를 기반으로 상품/서비스를 기획하고,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판촉 활동 및 판매망 운영 등을 통해 고객의 편익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판매전략을 수립/시행하고 있습니다.
다. 수주 상황
(1) 무선통신사업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주 계약은 없습니다.
(2) 유선통신사업
원가기준 투입법을 적용하여 진행기준 수익을 인식한 계약으로서 계약금액이 전기 매출액의 5% 이상인 계약은 연결/별도 각각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1) SK텔레콤
연구개발 담당 조직은 Global Solution Tech 산하의 미래R&D, AI DC R&D, Vision R&D, Open AIX R&D, Media R&D, Global Solution Synergy로 구성되어 있으며,
ICT Infra의 Infra기술에서도 해당 사업부와 관련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의 연구개발은 Customer사업부의 미디어Tech, Enterprise사업부의 ConnectivityCO, ICTInfra 등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의 기본방침은 기존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율적인 관리 기술개발 및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 핵심 선행기술 연구를통한 프로덕트 차별화 및 신기술 선행 검증시험, NGN(Next Generation Network)/BcN 망 진화 관련 기반 기술, IPTV 서비스의 품질 향상, 유무선통합 및 방송통신 융합기반 미디어 기술 등의 확보입니다.
(2) 연구개발비용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
과목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원재료비 | 478 | 48 | 23 | |
인건비 | 110,633 | 140,790 | 113,297 | |
감가상각비 | 100,097 | 137,264 | 135,604 | |
위탁용역비 | 27,571 | 51,749 | 46,447 | |
기타 | 54,418 | 61,992 | 78,989 | |
연구개발비용 계 | 293,197 | 391,843 | 374,360 | |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 | 0 | - | -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288,814 | 369,507 | 340,864 |
개발비(무형자산) | 4,383 | 22,334 | 33,495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2.18% | 2.23% | 2.16% |
(3) 연구개발실적
1) SK텔레콤
① 미래R&D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영상진단 Medical AI 기술 개발 | ㅇ Medical AI 사업을 위한 X-ray 기반 의료 영상 인식률 향상과 수의영상 진단 기술 개발 - 반려견 결석 4종 시각화 기술 개발 |
음성 및 정신질환 예측/진단/관리를 위한 AI 기술 개발 | ㅇ 음성 기반 음성질환/정신질환 진단 기술 개발 - 음성질환 진단 기술 임상 시험을 위한 IRB 승인 - 정신질환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전문업체 협력 MOU 체결 |
보이스피싱/스팸 탐지 AI 기능 고도화 개발 | ㅇ 문자/음성을 통한 신종 사기 행위 (스미싱/보이스피싱) 방지 및 스팸 AI 탐지 기능 고도화 ㅇ Global Telco 향 LLM 연계 보이스피싱 탐지 AI 개발 - LLM 연계 보이스피싱/스팸 탐지 Use Case 개발 (예 : 생성형 AI 기반 사칭 감지, 시나리오 기반 탐지 등) |
Data Center 전력 사용량 및 탄소 배출량 절감 솔루션 개발 | ㅇ 친환경 분산 전원 (태양광, ESS 등)을 활용한 Data Center 안정적 전력 공급 최적제어 솔루션 개발 ㅇ AI Infra (HPC 및 GPU 서버 등) 발열 대응, 냉방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Liquid Cooling 운영기술 개발 ㅇ Multi DC 통합운영 플랫폼 개발 및 상용 확대 적용 |
AI 기반 End-to-End 로봇 제어 솔루션 개발 | ㅇ ROS (Robot Operating System) 및 시뮬레이터 기반 로봇 제어 기술 개발 ㅇ Generative AI 및 Multimodal AI 기반 범용 물품 인식 모델 개발 ㅇ Vision AI 및 Edge Device 기반 로봇 제어 솔루션 고도화 및 상용 확대 적용 |
국내/외 유망 AI Tech 기업 분석 및 발굴 | ㅇ 당사 사업 경쟁력 제고에 필요한 기술 보유 Tech 기업 발굴하여 SKT와의 협력 관계 구축 및 투자 연계 등의 시너지 확보 |
미래 성장을 위한 Tech Intelligence 확보 | ㅇ 미래 유망 기술 관련 정기/수시 Sensing 및 Intelligence Report 발행을 통한 기술 Readiness 방향성 제시 |
② AI DC R&D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저전력/고성능 AI Appliance 개발 | ㅇ 저전력/고성능 AI DC Infra 솔루션 'Petasus Cloud' 기능 고도화 - 고성능 SXM타입 GPU 가상화 및 NVLink 가상화 기능 개발을 통한 AI Infra 효율성 증대 - 이기종 GPU 클러스터 가상화 기술 개발을 통한 AI 서비스 연산 성능 향상 |
AI 기반 Multi-Cloud FinOps 솔루션 개발 | ㅇ Multi-Cloud 환경의 비용/자원 통합 관리, 분석, 최적화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FinOps 솔루션 고도화 - Spot 자원 최적화, 자원 스케줄링, 약정 최적화 등 신규 FinOps 서비스 3종 출시 통해 SKT Cloud 상품 경쟁력 제고 ㅇ Cloud/GPUaaS 사업, 빌링 관리를 위한 Biz Process 자동화 관리 기술 개발 |
앱현대화 솔루션 개발 | ㅇ Hybrid Cloud 환경에서 Enterprise 기업 (금융사 등)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및 정책관리 기능을 갖춘 앱현대화 솔루션 개발 - SKT Cloud 사업 (MSP, 구축형 및 On-demand 사업) 매출 및 고객 확대 기여 |
GPU 자원과 AI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GPUaaS 솔루션 개발 | ㅇ GPU 자원과 AI 서비스 개발/학습/추론 환경을 데이터 과학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솔루션 개발 - GPU 성능 효율성 향상 및 GPU 자원 비용 절감 효과 달성 |
③ Vision R&D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Vision AI 기반 영상보안 솔루션 개발 | ㅇ Vision AI 기술 기반 AI Camera/Appliance 솔루션 개발 - CCTV 내 이상상황/행동인식 기술 개발 및 고도화 (상황/행동인식 성능 개선 및 Line-up 확대) - On-device AI 향 AI 모델 경량화/최적화 기술 개발 |
Vision AI 기반 Care 솔루션 개발 | ㅇ Vision AI 기술 기반 Barrier Free AI 서비스 개발 - 발달장애 AI 돌봄지원 숄루션 고도화 개발 및 확장 (행동인식 AI 모델 인식성능 개선 및 행동종류 확장) - 자폐 디지털 치료제 상호행동 AI 모델 개발 |
④ Open AIX R&D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Enterprise LLM 개발 | ㅇ Enterprise LLM 시스템 Fine-tuning 및 다양한 LLM 서비스를 B2B 향으로 쉽게 학습/구현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 |
Industrial Data Platform 상품화 개발 | ㅇ T-Observer/T-Fabric 통합 UI 개발 및 UI 기능 개선/고도화 (Data Source 연동 최적화 등) 개발 |
캠페인 플랫폼 개발 | ㅇ K-AI Alliance 협업 (w/ Moloco)을 통한 ASUM 2.0 상용화 ㅇ 내부 마케팅 및 외부 광고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캠페인 플랫폼 개선 개발 |
T딜 커머스 최적화 개발 | ㅇ T딜 커머스 최적화/자동화 기술 개발 - 고객 x 상품을 자동 매칭하는데 필요한 M/L 모델 및 커머스 소재 생성 자동화 개발 |
⑤ Media R&D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생성형 AI 기술 및 솔루션 개발 | ㅇ 생성형 AI 기술 기반 미디어 제작/변환 솔루션 개발 - 간추린 뉴스 제작 및 광고 자동 생성 솔루션 상용화 - B tv ZEM키즈 동화 서비스에 I2V (이미지를 비디오로 변환) 기술 적용 POC 완료 |
AI 반도체향 미디어 기술 개발 | ㅇ X330-SUPERNOVA 4K Live CH Up-Conveter 장비 B tv SPOTV 채널 적용 예정 (4Q) - IPTV/OTT 서비스 최초로 실시간 채널 대상 4K 업스케일링 기술 상용화 사례 |
AI Media studio 기능 고도화 | ㅇAI Media Studio 영상 콘텐츠 다국어 더빙 기능 구현 완료 - 방송 콘텐츠의 현지화에 필요한 더빙 기술을 허드슨 AI사와 협력하여 AI Media Studio 내 구현 완료 - AI 기술을 활용, 자막으로부터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음성 더빙 가능 - 이를 통해 현지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SKT CCaaS 상품 상용화 론칭 및 고도화 개발 | ㅇ SKT CCaaS 상용화 론칭 (8월) 및 AI 기술요소 내재화를 통한 본격적인 구독형 AICC 시장 공략 추진 - SK렌터카 및 PS&M 등 대형 기업고객 수주를 통한 구독형 AICC 시장 공략 가속화 - '24년 상반기 고도화 개발로 AI Engine 및 서비스 인프라 내재화를 완료하여 원가 및 서비스 경쟁력 지속 강화 |
⑥ Global Solution Synergy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Tech Alliance 시너지 창출 | ㅇ SK텔레콤 및 K AI Alliance 회원사 간 협력을 통한 AI 기술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 |
연구 성과물 품질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 연구 및 체계 구축 | ㅇ 전문화된 SW 기획/개발과 자산화 기반 HCI 연구, AI 안전성 및 품질 검증 체계 (QA)를 통한 R&D 프로젝트의 품질 제고 ㅇ R&D 프로젝트의 사업화를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및 연구 |
SK open API 운영 고도화 | ㅇ SK open API를 중소기업, 스타트업, 사회적 기업 등에 무상 제공함으로써, 고용 창출 및 동반 성장에 기여 ㅇ AI API 지원 기능 개발 및 고도화를 통해 당사의 신규 AI 상품 및 서비스 발굴 |
⑦Infra기술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유무선 N/W Infra 경쟁력 강화 | ㅇ 5G NSA 핵심기술(무선망, 코어망, 전송망, 단말) 개발 및 5G 상용망 성능 고도화 ㅇ 5G SA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 ㅇ 5G Multi-Carrier 활용을 위한 주파수 결합 기술(MC/CA) 개발 ㅇ Network 효율/용량 증대, Energy Saving을 통한 TCO 절감기술 개발 ㅇ Network Sharing을 통한 공동망 상용화 및 성능 고도화 ㅇ 음성/Data/RCS 서비스 고객 체감 품질 향상 기술 개발 ㅇ Voice Phishing/불법 접속 탐지 및 예방 기술 개발 |
유무선 N/W 중장기 핵심 기술 확보 | ㅇ Beyond 5G Infra 진화기술 연구 및 6G 핵심 후보 기술 탐색 ㅇ Network 가상화/Cloud 진화 기술 개발 및 상용화 ㅇ Open Interface 기반 Radio Network 실증 및 AI 기반 지능화 기술 연구 ㅇ 국내외 ICT 표준화 및 Global Alliance 활동 수행 (GSMA, 3GPP, ORAN, NGMN, IOWN, 5G포럼, TTA 등) ㅇ UAM 사업을 위한 상공망 기술 및 상용화 솔루션 개발 ㅇ 위성통신 기술 연구 및 위성 안테나 기술 연구 |
측위 기반 기술 및 플랫폼 개발 | ㅇ LBS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지국, Wi-Fi 기반 측위 성능 개선, 위성측위 기술 연구 및 측위플랫폼 고도화 ㅇ 실내 측위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센서/PDR 기반 융복합 측위 기술 연구 및 공간분석 AI 솔루션화를 통한 대/내외 사업지원 |
2) SK브로드밴드
주요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차세대 리모컨 상용개발 | - 신규 리모컨 디자인 적용을 통한 고객 편의성 개선 - 충전식 적용을 통한 ESG 제고 |
T-B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대행사 계약 |
- T-B 공동 Brand 시각 자산 구축 - T-B One Body 브랜드 이미지 달성 및 통합적인 브랜드 구축을 통한 AI Company 브랜드 이미지 제고 |
살아있는 동화 고도화 개발 | - AI/ChatGPT 기술을 활용한 홈 멘탈케어 키즈서비스 '마음친구' 개발 - AI 기반 서비스 경쟁 차별화를 통한 AI 서비스 만족도 및 이용자 증대 |
종합 인사시스템 고도화 개발 | - HR관리시스템(HRMS)Web 전환 개발 및 운영환경 고도화 - 노동법 관련 Compliance 준수 및 통합인력관리 기능 개발 |
B world 앱 챗봇 적용 | - AI 챗봇을 Bworld 앱에서 24시간 고객 응대 가능하도록 적용 |
AI Golf 고도화 및 신규기능 개발 | - 골프 Live 중계에 데이터 방송을 송출하여 부가 정보(선수프로필, AI하이라이트, 조편성, 홀/라운드별 스코어 등) 제공 |
AI3 Android 셋톱박스 상용화 개발 | - 고성능 CPU 탑재 및 DDR, Storage 용량 확대로 STB성능 항상 - NPU 탑재 및 AI사운드(AI음성/AI음량)기능 도입으로 서비스 고도화 |
탄소배출 관리시스템 구축 | - 시설 별 전력 사용량 Data의 정확한 수집/관리 |
유료방송품질평가 채널전환속도 개선 미들웨어 개발 | - 실시간 방송관련 STB 속도개선 및 품질 고도화 - 고객 체감 방송 품질 만족도 개선 |
B tv 5.4.2c UI/GUI 개발 | - 고객의 STB 사용성 개선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UI/GUI개발 - 큐레이션 블록 및 혼합형 라이브러리 블록 유형 등 고객 사용성 개선을 위한 UX개발 |
24년 Cloud X VoC 대응을 위한 S/W 유지보수 개발 |
- 통계/모니터링 DB분리 및 불필요한 애플리케이션 기능 이관으로 리소스 효율화 및 안정성 제고 - 로딩속도 성능 분석을 위한 APM기능 개발 |
7. 기타 참고사항
가. 상표관리 정책
(1) SK텔레콤
당사는 SK텔레콤 기업 브랜드 및 상품/ 서비스 브랜드의 가치 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PR 등의 영역에서 일관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인트라넷 시스템인 'Comm.ON'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개발, 심의, 등록 등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정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사업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1) SK텔레콤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3,249건, 해외 등록특허 1,803건 및 국내 등록상표 771건(표장 기준)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2) SK브로드밴드
작성기준일 현재 SK브로드밴드㈜는 국내 등록특허 235건, 해외 등록특허 63건(타사와 공동소유포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295건(표장 기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사의 대표 브랜드인 도안화된 알파벳 "B"는 국내 상표법에 따라 전 류(총 45개 류)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다. 관련 법률 및 규정 등
(1) SK텔레콤
당사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 및 전기통신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전기통신 사업자에 해당하고, 이를 성실히 준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 법령 이외에도 여러 가지 법률의 적용을 받고 있는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로서 저작권법, 수사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이용자의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과 관련된 통신비밀보호법, 청소년에 대한 유해 매체물(광고, 게시물 등)의 접근 및 이용 제한과 관련된 청소년보호법, 콘텐츠 제공업체 등 제휴사들과의 계약 체결 시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모바일 서비스를 통한 위치 정보 사용 서비스와 관련되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당사가 속한 SK그룹은 2024년 5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상호출자ㆍ채무보증 제한기업집단으로 정보통신, 에너지/화학, 건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상호출자ㆍ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은 공정거래법 등 관련 법규에 의해 계열사 간 채무보증 및 직접적인 지원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 대한 계열사의 직ㆍ간접적인 자금 지원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2)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는 유선통신사업을 영위함에 있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전기통신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전기통신사업자,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및 방송법의 적용을 받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에 해당하고 이를 성실히 준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위 법령 이외에도 수사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이용자의 통신 사실확인자료 제공과 관련된 통신비밀보호법, 청소년에 대한 유해 매체물(광고, 게시물 등)의 접근과 이용의 제한과 관련된 청소년보호법, 대리점 등 유통망과의 계약 체결 시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위치 정보사용서비스 등과 관련된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및 개인정보 보호법, 각종 정보통신공사업 수행을 위한 정보통신공사업법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상법,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소비자기본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도로법 등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라. 사업과 관련한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1) SK텔레콤
당사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명확히 인지하고, 체계적이고 실천적인 환경경영 전략체계를 구축해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AI 기반의 지속가능한 미래 구현'을 비전으로 2050 Net-zero 목표 달성을 위해 1)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 2) 환경경영 시스템 고도화 및 3) 친환경 Green Culture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실천으로 당사는 국내 IT 기업 최초로 RE100에 가입해 한국전력과 녹색프리미엄 계약을 체결하였고, 사옥 및 통신국사에 태양광 자가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등 재생에너지 도입을 전사적으로 이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통신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 기술을 통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사례를 창출하는 등 AI 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과 환경 보호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2)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환경물질의 배출은 없으며, 온실가스 배출의 99% 이상이 외부전력 사용으로 인한 간접배출에 해당합니다. 2015년부터 시행된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되었고, 할당대상업체로서의 의무를 적극적으로 이행하여 정부가 부과한 목표수준을 꾸준히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동참하고자 2021년 넷제로를 선언하고, 2045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넷제로 선언 이전, 2020년에는 이미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에 가입한 바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한국전력의 '녹색프리미엄'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 설비의 구축을 확대하여 자체 재생에너지 생산과 사용을 늘리고 있습니다.
마. 각 사업 부문의 시장 여건 및 영업 개황
(1) 무선통신사업
1) 산업의 특성
통신서비스 산업은 통신서비스(유선통신, 무선통신, 회선설비 임대 재판매 및 통신서비스 모집/중개, 부가통신), 방송통신융합서비스(IPTV, 유무선통합서비스)로 구분됩니다. 또한, 전기통신사업법상 설비의 보유 여부와 제공하는 통신역무의 종류에 따라 기간통신(유/무선통신), 별정통신(설비보유 재판매, 설비미보유 재판매, 구내통신, 도매제공의무서비스 재판매), 부가통신(인터넷 접속 및 관리, 부가통신 응용, 콘텐츠 제공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내 통신서비스 산업은 사업지역이 국내로 한정되어 있어 내수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통신서비스 사용인구 및 소득 수준에 따른 통신비 지출 등 내수 기반에 산업의 규모가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인수 또는 직접 진출 등에 따라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해외의 통신서비스 산업은 해당 국가의 규제 및 수요 특성에 따라 국내의 통신서비스 산업과 다른 산업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성장성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는 총인구 대비 100% 보급률을 넘어선 성숙기에 진입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은 네트워크의 기술과 고사양의 스마트폰 기기의 확산을 바탕으로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바일 커머스, 모빌리티 등 데이터 네트워크에 기반한 New ICT 서비스를 통해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5G 네트워크의 초저지연과 대용량 특성은 AI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서비스 출시 및 IoT 기반 B2B 사업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천명) |
구분 | '24년 3분기말 | '23년말 | '22년말 | |
이동전화 가입자수 |
SKT | 31,762 | 31,276 | 30,452 |
KT/LGU+ | 37,190 | 35,643 | 32,676 | |
MVNO | 17,462 | 15,851 | 12,829 | |
계 | 86,413 | 82,770 | 75,957 |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24년 9월 말 기준)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경기변동 및 계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4) 국내외 시장 여건
① 시장의 안정성 등 특성
이동통신 시장은 이동통신 수요가 존재하는 대한민국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영업지역은 전국토를 대부분 포함하며, 성별/ 연령/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고른 사용자 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스마트폰 확산 및 초고속 무선 네트워크 활성화에 따라 데이터 관련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Solution을 개발/ 판매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B2B 사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통신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인허가 사업입니다.
② 경쟁상황
이동통신의 경쟁요인은 브랜드 경쟁력, 상품/서비스 경쟁력, 판매 경쟁력의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됩니다.
브랜드 경쟁력은 고객이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가치에 대해 총체적으로 체감하는 무형의 인식우위 및 로열티를 총칭합니다. 아울러 서비스 실체 외에 기업의 제반활동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한 이미지도 반영됩니다.
상품/서비스 경쟁력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본원적인 속성인 통화 품질 및 서비스 커버리지, 다양한 요금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다양성 및 접속 품질, 단말기 기능 및 가격, CS 수준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컨버전스 환경에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신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합니다.
판매 경쟁력은 새롭고 다양한 마케팅 기법, 대리점 및 지점 등의 유통망 경쟁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시장점유율 추이 (MVNO 제외)
구분 | '24년 3분기말 | '23년말 | '22년말 |
이동전화 | 46.1% | 46.7% | 48.2% |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24년 9월 말 기준)
5) 경쟁력
당사는 2021년에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인적분할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SKT 2.0을 출범하여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전체 기업가치 극대화를 도모했습니다. 2022년 11월에 SKT 2.0의 비전을 보다 뚜렷하고 명확하게 정리하며 본업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연결 기술에 AI를 더하는 SKT만의 차별화된 'AI 컴퍼니'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9월에는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위해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산업과 생활 全 영역을 혁신하는 'AI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AI 피라미드 전략은 자사의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AI 서비스를 만들어 고객과 관계를 밀접하게 만드는 '자강(自强)'과 AI 얼라이언스 중심의 '협력(協力)' 모델을 피라미드 형태로 묶어낸 전략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연결 매출은 4조 5,321억 원, 영업이익은 5,33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유무선통신의 견조한 체력 및 B2B 매출 증가를 기반으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 개선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인 SK텔링크는 합리적인 요금과 우수한 품질의 MVNO(이동통신재판매) 서비스인 'SK 7mobile'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비용 유통채널을 적극 발굴하고 외국인 근로자, 중장년층, 학생층 등 특정 계층의 고객을 중심으로 마케팅하여 틈새시장을 확보하는 전략을 추구하면서 사업기반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편, 기지국 운용부터 이와 관련한 전송/전력시설 운용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SK오앤에스를 통해 당사의 유무선 통신 고객에게 최고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에이스는 국내 최고 수준의 고객 서비스 제공과 함께 마케팅 회사로서의 역량 또한 키워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피에스앤마케팅은 유무선 결합상품 등 다양한 컨버전스 상품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SK텔레콤 및 SK브로드밴드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새로운 판매채널 구축과 상품 개발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유선통신사업
1) 산업의 특성
국내 통신서비스 산업은 사업 지역이 국내로 제한되어 있어 전형적인 내수 산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 인구 및 소득 수준에 따른 통신비 지출이 산업규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은 인수 합병 또는 직접 진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해외 통신 서비스 산업은 각 국가의 규제 및 수요 특성에 따라 국내와는 다른 산업적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방송사업은 방송프로그램을 기획, 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시청자에게 전기통신 설비를 통해 송신하는 과정으로, 방송법에 따라 지상파방송, 종합유선방송, 위성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 등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에 따라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사업자로 나뉩니다.
종합유선방송사업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분야로, 법적 정의는 다채널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유선방송국설비와 종사자를 관리ㆍ운영하며, 전송 및 선로 설비를 이용해 방송을 행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은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양방향성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으로, 일정한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는 가운데 텔레비전 수상기 등을통해 실시간 방송프로그램과 데이터, 영상, 음성, 음향 및 전자상거래 등의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송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산업은 서비스 인허가부터 사업 운영 단계에 이르기까지 정부의 직간접적인 통제에 의해 성장성과 경쟁 강도가 규제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통신기술 및 장비의 발전을 통해 빠르고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가입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신규 서비스 개발 및 시장 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유선통신서비스는 일상재 및 필수재로 자리 잡아 다양한 결합 및 융합의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필수재적 성격은 안정적인 수요 기반을 확보하여 경기 민감도는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위한 소수의 사업권 허가로 인해 통신 시장은 높은 시장 집중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선 및 무선 부문에서 SK계열(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의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통신 기술 및 기기의 디지털화로 유선과 무선, 통신과 방송 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더욱 빠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이 진화하면서 경쟁 강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초고속인터넷은 모바일 기기 및 홈 IoT의 대중화와 동영상 스트리밍 같은 대용량 서비스의 확산으로 안정적이고 빠른 Wi-Fi 서비스를 위한 Giga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유료방송시장에서는 독자적인 콘텐츠를 보유한 대규모 OTT 사업자를 중심으로 콘텐츠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시청자들의 콘텐츠 소비 성향과 행태의 급격한 변화를반영하여 콘텐츠 차별화와 AI 및 빅데이터와 같은 ICT 융합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홈 플랫폼 영역에서 새로운 성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업 사업 부문은 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 등 새로운 기술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출현으로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와 전용회선과 같은 핵심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기존 회선 기반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유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추이>
(단위 : 명) |
구분 | 2024년 3분기 | 2023년 | 2022년 |
초고속인터넷 | 24,554,199 | 24,098,164 | 23,537,333 |
시내전화 | 10,519,753 | 10,973,838 | 11,621,413 |
IPTV | 20,925,902 | 20,870,152 | 20,384,330 |
케이블TV | 12,541,500 | 12,586,391 | 12,777,073 |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 2024년 3분기 가입자 수는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2024년 8월 기준, IPTV, 케이블TV 2023년 하반기 6개월 평균가입자 수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시장의 안정성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및 방송서비스는 사업자간 차별성이 크지 않으며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필수재 성격이 있고, 가입자 기반의 사업모델로서 경기변동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요소로 작용합니다. 소득탄력성이 낮은 통신서비스의 특성으로 전체적인 통신서비스 시장은 경기침체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①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 %) |
구 분 | 2024년 3분기 | 2023년 | 2022년 |
초고속인터넷 (SKT 재판매 포함) | 28.9 | 28.7 | 28.5 |
시내전화 (인터넷전화 포함) | 18.3 | 18.0 | 17.8 |
IPTV | 31.9 | 31.8 | 31.1 |
케이블TV | 22.5 | 22.4 | 22.2 |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 시내전화의 점유율은 KT, LGU+, 당사 가입자 합산 대비 점유율이며, 일반전화 + IP폰 가입자 기준입니다.
※ 2024년 3분기 가입자 수는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2024년 8월 기준, IPTV, 케이블TV 2023년 하반기 6개월 평균가입자 수입니다.
② 경쟁상황
SK브로드밴드는 전기통신사업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방송법 등 관계 통신법령을 토대로 초고속인터넷, 집전화, 기업사업, IPTV, 케이블TV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모든 사업은 서비스의 가격과 품질, 속도 등을 경쟁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IPTV 사업의 경우 새로운 기술 기반의 서비스 고도화 및 콘텐츠 차별화가 경쟁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간통신사업의 경우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가 필요한 진입난이도가 있는 산업특성으로, 당사를 포함하여 KT, LG유플러스의 과점구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바. 사업 부문별 주요 재무 정보
(1) 자산 및 비중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자산 | 비중 | 자산 | 비중 | 자산 | 비중 | |
무선통신사업 | 24,904,271 | 76% | 25,608,563 | 77% | 27,078,021 | 79% |
유선통신사업 | 6,895,664 | 21% | 6,825,342 | 20% | 6,588,076 | 19% |
기타사업 | 967,359 | 3% | 910,020 | 3% | 762,028 | 2% |
소계 | 32,767,294 | 100% | 33,343,925 | 100% | 34,428,124 | 100% |
조정 | -3,294,524 | -3,224,698 | - | -3,119,862 | - | |
합계 | 29,472,770 | 30,119,227 | - | 31,308,262 | - |
(2) 매출액 및 비중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무선통신사업 | 9,986,679 | 74% | 13,123,166 | 75% | 12,942,316 | 75% |
유선통신사업 | 3,041,080 | 23% | 3,928,020 | 22% | 3,812,989 | 22% |
기타사업 | 401,329 | 3% | 557,325 | 3% | 549,668 | 3% |
소계 | 13,429,088 | 100% | 17,608,511 | 100% | 17,304,973 | 100% |
(3) 영업손익 및 비중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41기 3분기 | 제40기 | 제39기 | |||
영업손익 | 비중 | 영업손익 | 비중 | 영업손익 | 비중 | |
무선통신사업 | 1,355,093 | 86% | 1,463,934 | 84% | 1,334,306 | 81% |
유선통신사업 | 262,241 | 17% | 329,072 | 19% | 311,083 | 19% |
기타사업 | -39,090 | -2% | -42,771 | -2% | -2,102 | 0% |
소계 | 1,578,244 | 100% | 1,750,235 | 100% | 1,643,287 | 100% |
조정 | -8,984 | - | 2,969 | - | -31,216 | - |
합계 | 1,569,260 | - | 1,753,204 | - | 1,612,070 | - |
sk스퀘어 주가 sk텔레콤 주가 배당금 kt 주가 sk하이닉스 주가 네이버 주가 sk케미칼 주가 sk텔레콤 배당금 우리금융지주 주가 삼성전자 주가 sk텔레콤 주가 전망 lg 유플러스 주가 kt&g 주가 sk이노베이션 주가 기업은행 주가 현대차 주가 sk텔레콤 목표주가 현대자동차 주가 삼성물산 주가
sk텔레콤주식회사 주가
sk텔레콤 주가전망
삼성전자주가
sk하이닉스주가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주가
KT 주가
기업은행 주가
SK 주가
하나금융지주 주가
sk텔레콤 주가 전망
SKT T1 주식
T1 주식 가격
sk텔레콤 역대 주가
sk텔레콤 지분구조
SK텔레콤 차트
sk텔레콤 고객센터 114
SK텔레콤 배당
SK텔레콤 주가 전망 2025 | 배당 매력과 AI 사업 성장 분석
SK텔레콤 주식, 지금 사야 할까? 목표 주가·배당·투자 전략
SK텔레콤 주가 하락 이유는? 반등 가능성과 장기 투자 포인트
SK텔레콤 실적 분석 | 5G·AI·데이터센터 사업과 주가 영향
배당주 SK텔레콤, 투자 가치 있을까? 배당률·PER·실적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