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09177002 2025. 1. 29. 23:57
728x90
반응형
SMALL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 사업의 내용(요약)

당사는 발전→송전→배전→소비(부하)에 이르는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작하여 공급하는 제품들은 전력 공급의 단계에 따라 전력기기, 배전기기, 회전기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전력기기로는 발전ㆍ송전 단계(고압,통상 50kV 이상)에서 적용되는 전력변압기, 고압차단기 등이 있으며, (1kV~50kV 중압, 1kV미만 저압)에서 적용되는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등의 배전기기,부하로써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동기 등의 회전기기가 있습니다.
향후 전 사업에 걸친 전기화 및 탈탄소화가 전력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력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솔루션 사업 및
신ㆍ재생에너지를 활용해 마이크로그리드 단위의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용복합사업을 에너지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4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2,506,636백만원으로 제품 품목별 비중은 전력기기(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55%, 회전기기(회전기, 저압전동기 등) 17%, 배전기기등(배전반, 저압차단기, 전력제어, ICT ) 28%입니다. 그리고 당분기 누적 수출금액은 1,791,071백만원으로 수출 비중은 71%입니다. 연결매출 중 5%를 초과하는 주요 매출처는 사우디전력청,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 한국전력공사입니다.

향후 에너지시장은 전 산업에 걸친 전기화로 전력수요 증가, 신재생발전 증가와  
이에 따른 전력변환 및 에너지저장 시장 성장, IT 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아래와 같이 신규사업을 추진하여 기존의 전력기자재 제조회사를 넘어 토털 에너지솔루션 기업으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 4월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변환기기 강소기업인 HD현대플라스포()를 인수하여 전력변환 시장 공략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태양광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판매 확대 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으로 수전해, 연료전지,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공급까지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4 9월말 기준 누적 약 1.6GWh이상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설치, 운영해 온 우수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당사는 2022 12월 한국전력이 발주하는 계통안정화용 ESS 336MWh 수주에 성공하였고, 2024 6월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향후 국내 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미국, 일본, 유럽 등 ESS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는 해외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반응형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삼성생명 ESG 경영과 보험 산업의 지속 가능성 전략 전망 주식 목표 주가 자산규모 ir 배당금 지배

삼성생명 ESG 경영과 보험 산업의 지속 가능성 전략 주식 전망 목표 주가 자산규모 ir 배당금 지배구조 차트 기업 분석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지배회사(삼성생명보험)]삼성생명

09177002.tistory.com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2024.09.30 현재) (단위 : 백만원)

 

사 업 부 문 매출
유형
          매 출 액
(
  )
전 기 전 자
   
제품,
기타
전력기기 변압기, 고압차단기 外 1,381,699
(55.1%)
회전기기 회전기, 저압전동기 外 414,000
(16.5%)
배전기기 外 배전반, 전력제어, 중저압차단기 外 710,937
(28.4%)
      2,506,636
(100.0%)

※ 회사는 기준서 제111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의 주력제품인 전력변압기, 고압차단기의 경우 수주제품으로 수주 당시 제품의 성격, 기능, 옵션, 지역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상이하여 객관적인 자료에 따른 기재가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회사명 매입유형   구체적용도    
(
     )
주 요 매 입 처
전기전자
 
HD현대일렉트릭(),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원재료       변압기 제작 등 593,508
(36.0%)
신영중전기(), ()한빛케이에스이,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럭스코, 주식회사 은성전기, 신현기전()
    579,615
(35.2%)
()삼동, 티씨머티리얼즈(), 성도하이텍(), 럭스코,
주식회사 대영기계 ,동양산전()
      128,419
(7.8%)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항2공장, ()고아정공경주공장, 주식회사 포스코, ()조인코아 外
    31,080
(1.9%)
()삼동, 대한전선(),  가온전선(), 디에스이(),
티씨머티리얼즈(), TrafaE AE
      314,163
(19.1%)
 
        1,646,785
(100.0%)

※ 지배기업 및 주요종속회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내부 매입거래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해당단위)

 

        8
(2024
3분기 누적)
7
(2023
)
6
(2022
)
 
STEEL PLATE(TON) 975,383 1,130,193    1,221,663  
전기동(TON) 9,133$ 8,483$           8,815$

※ 상기 가격은 해당기간 평균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산출기준

   - STEEL PLATE :  스틸데일리 공시기준 (시중 유통가, SS275)
   - 전기동 :  LME 공시가


(2)
주요 가격변동원인

   - STEEL PLATE :  철광석, 유연탄 등 후판제조 원재료 가격 변화
   - 전기동 :  구리광석 원재료 가격 및 생산량 변화

 

. 생산능력

사업부문 주요 품목 사업소 8
3
분기(누적)
7 6
전기전자
 
전력변압기 HD현대일렉트릭() 270 360 360
배전변압기 2,250 3,000 3,000
고압차단기 600BAY 800BAY 800BAY
회전기,전동기 2,700 3,600 3,600
배전반 12,000 16,000 16,000
배전반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15,375 18,500 14,500
고압차단기 3,375Bay 4,000Bay 3,950Bay
저압차단기 41,250set 50,000set 65,000set
전력변압기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79 105 105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산출방법 등
 ① 산출기준 : 정취근무 기준 최대 생산능력
 
※ 최대생산능력은 생산성 향상 등에 따라 증가할 수 있습니다.
 
② 산출방법 : 제품별 소요 공수와 보유 공수 비교

. 생산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8 3분기
(
누적)
7 6
전기전자 부문 변압기 外 울 산   2,506,636 2,702,799 2,104,499

※ 상기 생산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M/H, H)

 

    당분기 누적
가동가능시간
(
생산가능량)
당분기 누적
실제가동시간
(
실제생산량)
평균가동률
HD현대일렉트릭() 1,927,000 1,847,000 95.8%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68,320 65,800 96.3%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171,000 159,000 92.9%

《 가동률의 계산근거 》
-
당사의 가동률은 제품의 다양성으로 인해 일반 제조업체의 제품 생산과는 달리 공장 생산설비의 가동율로 측정하기는 곤란하여 지배기업 및 주요종속기업의 실정에 맞게 회사별로 생산직 직원의 최대 투입가능 공수(MAN HOUR)를 산정하고,
이에 대해 비작업 시간을 제외한 실투입 공수(M/H)비율을 평균 가동률로 계산하였습니다.
-
주요 종속기업 중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는 공장 생산설비의 최대
가동가능 시간(H) 대비 실제 가동시간(H) 비율을 평균 가동률로 계산하였습니다.

. 생산설비의 현황 등

당사는 성남시 분당구를 비롯하여 서울, 울산, 안성 등 국내사업장 및 미국, 중국, 헝가리, 스위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사업장에서 주요 제품에 대한 제조, 개발, 마케팅, 영업 등의 사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생산설비 현황

(단위:백만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건설중인자산 기타유형자산 합 계
취득원가 226,957 398,905 19,822 429,419 3,966 302,585 55,400 1,169 1,438,223
국고보조금 - (4,740) (512) (226) - (31) - - (5,509)
감가상각누계액 - (134,519) (7,485) (296,475) (2,277) (241,527) - (758) (683,041)
손상차손누계액 - (6,156) (338) (34,174) (148) (22,631) - (1) (63,448)
기말 장부가액 226,957 253,490 11,487 98,544 1,541 38,396 55,400 410 686,225

 

2) 생산설비 변동내역

(단위:백만원)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건설중인자산 기타유형자산  
기초 188,882 257,190 11,327 93,391 498 36,542 36,082 341 624,253
취득/대체 38,102 986 597 18,034 1,268 11,429 19,499 104 90,019
처분 - (73) (145) (38) - (11) - - (267)
감가상각 - (7,234) (351) (13,460) (213) (9,703) - (38) (30,999)
해외사업환산손익 (27) 2,621 59 617 (12) 139 (181) 3 3,219
기말 226,957 253,490 11,487 98,544 1,541 38,396 55,400 410 686,225

※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시가 판단이 어려워 시가 기재를 생략합니다.

 

.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1) 진행중인 투자

(단위 : 백만원)

 

사 업
부 문
회사명 투자 내용  
 
투자대상
     
투자효과 총투자액 기투자액
(
당기분)
 
투자액
비고
전기전자
부 문
HD현대일렉트릭() 300kV 변압기공장
노후환경 개선 공사
'22.10~'24.12 건물 外 품질개선 20,369 14,726
 (-)
5,643 -
변압기공장 철심가공설비 구축 '22.10~'24.12 건물 外 생산능력확충 11,875 6,925
(1,963)
4,950
변압기 철심공장 투자 '23.04~'24.12 건물 外 생산능력확충 27,200 19,454
(8,727)
7,746
중저압차단기 스마트팩토리
건축 및 설비구축
'24.04~'25.12 건물 外 생산능력확충 81,703 3,834
(-)
77,869
중저압차단기 자동화설비 '24.02~'25.12 기계장치 外 생산성 향상 11,724 1,691
(1,404)
10,033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변압기 적치장 및 자재창고 확장 '24.01~'24.12 건물 外 납기변경 대응 18,669 15,521
(15,521)
3,148
              계  171,540 62,151
(27,615)
109,389

※ 주요한 투자만 기재하였습니다.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회사명 투자 내용 예상투자총액 연도별 예상투자액 투자효과 비 고
자산형태 금액 2024 2025
전기전자
부 문
HD현대일렉트릭() (TR) 리액터 설비 증설(800kV) 구축물 17,900 - 17,900 생산능력확충 -
          17,900 - 17,900 -

※ 주요한 투자만 기재하였습니다.
2024년 및 이후 투자예상금액은 향후 기업여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8 3분기(누적) 7 6
전기전자
 
제 품
기타매출
변압기, 고압차단기
중저압차단기, 회전기
배전반, 전력제어 外
수 출 1,791,071 1,792,796 1,215,673
국 내 715,565 910,003 888,826
합 계 2,506,636 2,702,799 2,104,499

※ 상기 매출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주요 제품군별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구분 8 3분기(누적) 7 6
전력기기 1,381,699 1,571,748 1,096,837
회전기기 414,000 486,814 404,798
배전기기 外 710,937 644,237 602,864
    2,506,636 2,702,799 2,104,499


(2) 매출유형별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구분 8 3분기(누적) 7 6
    2,495,432 2,687,701 2,093,190
    11,204 15,098 11,309
    2,506,636 2,702,799 2,104,499

 

.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1)
국내 : 실수요자와의 직접매매 및 딜러(대리점)를 통한 매매 계약형태
   (2)
해외 : 실수요자와의 직접매매 및 종속회사를 통한 매매 계약형태

2)
판매방법 및 조건
   (1)
판매방법 - 개별 주문 생산, 수요 예측 생산, 제품공급계약에 의거 현금,
                         
외상, 위탁판매
   (2)
      - 연불, 기성불, 납품불

3) 판매전략
    -
원가절감 노력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로 수주 기회 확대 모색
    -
해외 거점별 판매 네트워크 및 물류기지 확대
    -
대형 Package 프로젝트 수주 추진
    -
신흥 시장 참여 강화 및 제품 Portfolio 다변화
    -
제품세미나 및 마케팅 활동 강화

4) 주요매출처

(단위 : 백만원)

 

매출처명 금액 비율
사우디 전력청 381,694 15.2%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 218,189 8.7%
한국전력공사 201,934 8.1%

※ 당분기(누적) 연결 매출의 5% 이상을 차지하는 매출처를 기재하였습니다.

. 수주상황
1) HD현대일렉트릭() 및 그 종속회사

  (단위 : 백만원)

 

    수주일자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금액 금액 금액
전기전자부문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저압전동기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전력변환 및 에너지
저장장치 등
2024.09.30 까지 9,687,306 2,506,636 7,180,670

※ 수주총액 : 전기 이월 수주잔고 + 당분기 누적 수주총액,
   
기납품액 : 당분기 누적 매출액
※ 상기 수주잔고는 주요 종속회사를 포함한 연결기준 수치이며,
   
당사가 추정하고 있는 예상 환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연결실체는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위의 위험에 대한 정보와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목표, 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는 연결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


. 금융위험관리

1)
위험관리 정책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감독할 책임은 이사회에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정책은 연결실체가 직면한 위험을 식별 및 분석하고, 적절한 위험 한계치 및 통제를 설정하고, 위험이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위험관리정책과 시스템은 시장 상황과 연결실체의 활동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관리기준, 절차 및 교육을 통해 모든 종업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엄격하고 구조적인 통제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감사위원회는 경영진이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정책 및 절차의 준수여부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감독하고, 연결실체의 위험관리체계가 적절한지 검토합니다. 내부감사는 감사위원회의 감독기능을 보조하여, 위험관리 통제 및 절차에 대한 정기 및특별 검토를 수행하고 결과는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실체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합니다. 주로 거래처에 대한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과 투자자산에서 발생합니다.

 

①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에 대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실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 충당금은 개별적으로 유의적인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손상차손과 손상차손의 발생이 예상되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은 손상차손으로 구성됩니다. 금융상품 집합의 충당금은 유사한 금융자산의 회수에 대한 과거 자료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있습니다.

② 투자자산

연결실체는 유동채권과 높은 신용등급을 가진 곳에만 투자를 함으로써 신용위험에의 노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높은 신용등급을 가진 회사는 채무불이행을 하지 않을 것으로 경영진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이란 연결실체가 금융부채에 관련된 의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연결실체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연결실체의 평판에 손상을 입힐 위험 없이, 만기일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연결실체의 영업활동 및 차입금 또는 자본 조달로부터의 현금흐름은 연결실체가 투자 지출 등에 필요한 현금 소요량을 충족하여 왔습니다. 연결실체가 자금을 영업활동을 통해서 창출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에는 외부차입 및 사채 발행 등을 통한 자금조달을 할 수 있습니다.

 

4) 시장위험

시장위험이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시장가격 관리의 목적은 수익은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가능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연결실체는 시장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 파생상품을 매입 및 매도하고 금융부채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거래들은 연결실체의 제정된 지침 내에서 수행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결실체는 수익의 변동성을 관리하기 위해 위험회피회계처리를 적용합니다.

 

① 환위험

연결실체의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판매, 구매 및 차입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USD, EUR,
CNY, JPY
등 입니다.

연결실체는 향후 판매와 구매 예상금액과 관련하여 환위험에 노출된 외화표시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환위험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환위험의 회피수단으로 주로 보고기간 말부터 만기가 3년 미만인 선도거래계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선도거래계약 만기를 연장합니다. USD 등 매출채권의 수금예정일에 만기가 도래하는 선도거래계약을 통해 환위험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외화로 표시된 기타의 화폐성 자산 및 부채와 관련하여 연결실체는 단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외화를 현행 환율로 매입하거나 매각하는 방법으로 순 노출위험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② 기타 시장가격 위험
연결실체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지분상품)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자본관리
연결실체 경영진의 정책은 투자자와 채권자,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고 향후 사업의 발전을 지탱하기 위한 자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연결실체는 부채 총계를 자본 총계로 나눈 부채비율 및 순차입금을 총자본으로 나눈 순차입금비율을 자본관리지표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의 부채비율 및 순차입금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채 총계 1,955,617 1,853,130
자본 총계 1,396,852 1,057,030
예금(*1) 366,632 200,735
차입금(*2) 368,151 715,493
부채비율 140.00% 175.31%
순차입금비율(*3) 0.11% 48.70%

(*1) 예금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장ㆍ단기금융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사채의 경우 사채액면가액에서 사채할인발행차금이 차감되어 있습니다.
(*3) (
차입금-예금)/자본 총계 입니다.

 

당분기와 전분기의 이자보상배율과 산출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1. 영업이익 502,652 190,578
2. 이자비용 24,572 27,960
3. 이자보상배율(1÷2) 20.46 6.82

 

. 위험관리 정책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경영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방식 및 조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위험
 -
외화거래 계약체결 시점과 실제 수금 시점 사이의 환율 변동으로 인한 영업이익의 불확실성
2)
위험 관리의 목적 및 방법
 -
환율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영업이익 확보
 -
통화선도계약(선물환)을 통하여 향후 외화수출대금의 원화 환산액을 확정
3)
위험 관리의 원칙 및 절차
 -
주기적으로 효율적인 환관리 방안 모색
 -
환율변동에 따른 손익의 불확실성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정적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헷지거래 실행
 -
실수요 거래에 맞춰 헷지거래를 실행하며 주관적 판단에 의한 투기거래를 배제


4)
위험관리조직

담당부서 담당인원              
HD현대일렉트릭()
재정팀
6 - POSITION 실시간 파악
 -
외환, 금리 HEDGE 거래
 -
외환 거래 손익 기록 유지 등
 -
파생상품 검토, 거래 실행
 

※ 기타 사항은 '. 재무에 관한 사항의 3. 연결재무제표 주석' '4. 위험관리'
   '34.
금융상품' 참조

 

. 생상품 거래현황

원자재 가격 변동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금융기관과 파생상품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모든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거래은행이 제공한 선물가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처리 개요

구 분 종 류 파생상품계약 및 위험회피회계처리 내용
현금흐름위험회피 상품선물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을 회피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체결한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USD)
거래목적 종 류 외화구분 계약금액 가중평균
약정환율()
평균
만기일자
계약건수
(
)
매도 매입
매매목적 통화선도 USD KRW 523,602 1,325.6 2025-04-12 76
현금흐름 위험회피 상품선물 KRW USD 8,156 - 2025-03-04 9

※ 대금수수방법 : 차액결제 또는 총액수수방법

② 전기말

(단위:USD)
거래목적 종 류 외화구분 계약금액 가중평균
약정환율()
평균
만기일자
계약건수
(
)
매도 매입
매매목적 통화선도 USD KRW 316,389 1,288.4 2024-06-01 59
현금흐름 위험회피 상품선물 KRW USD 6,087 - 2024-05-29 9

※ 대금수수방법 : 차액결제 또는 총액수수방법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파생상품 관련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거래목적 종류 당분기말 전기말
파생상품자산 파생상품부채 파생상품자산 파생상품부채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매매목적 통화선도 7,724 984 2,019 - 4,794 446 2,313 -
매매목적 전환사채조기상환권 - - - - - - 18 -
현금흐름위험회피 상품선물 579 - 91 - 169 - 50 -
합 계 8,303 984 2,110 - 4,963 446 2,381 -


(4)
당분기와 전분기 중 파생상품 관련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거래목적 종류 당분기 전분기
기타포괄손익(세전) 당기손익(세전) 기타포괄손익(세전) 당기손익(세전)
매매목적 통화선도 - (14,100) - (28,288)
매매목적 전환사채조기상환권 - 18 - -
현금흐름위험회피 상품선물 370 - (99) -
합 계 370 (14,082) (99) (28,288)

 

 기타 사항은 '. 재무에 관한 사항의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9.
파생금융상품' 참조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1) 경영상의 주요계약

-
플라스포社 주식 인수
당사는 2022 2 4일 이사회에서 ()뉴파워프라즈마 外 로부터 ()플라스포(
HD
현대플라스포㈜)의 주식을 인수하기로 결의하였으며, 2022 4 13일 거래가 종결되었습니다
.

 

계약상대방 계약금액 계약내용 계약기간
()뉴파워프라즈마 外 22,865백만원 () 플라스포 주식매매 및 신주인수 -계약체결일 : 2022.02.07


2)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및 연구개발비용
당사는 지배기업의 분당 글로벌R&D센터 및 용인 신뢰성센터와 종속기업인 헝가리연구소(HD Hyundai Electric Hungary Kft.), 스위스연구소(HD Hyundai Electric Switzerland Ltd.) 및 중국연구소(HD Hyundai Electric Shanghai Ltd.) 등을 통해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ICT 기반 전력 기기 등 전기ㆍ전자시스템과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시장 지향적인 최적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8 3분기 7 6 비 고
      14,876 18,406 8,924  
          25,629 30,684 24,532
        1,339 1,618 1,788
        14,621 11,781 10,402
              11,808 2,461 2,902
연구개발비용 계(*1) 68,272 64,950 48,548
(정부보조금) (15,416) (7,612) (5,043)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48,091 45,844 37,004
제조경비 - - -
개발비(무형자산) 4,764 11,494 6,501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2.7% 2.4% 2.3%

(*1)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3)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 구 조 직 비고
글로벌
R&D센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 477 ㆍ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배전반 등 핵심기술 및 신제품
   
연구개발
ICT 기반 전력기기 및
   
전력 엔지니어링 연구개발
ㆍ전력기기연구실
ㆍ배전반연구개발실
ㆍ중저차개발팀
ㆍ회전기 연구실
ㆍ전력시스템연구실
ICT솔루션연구실
ㆍ기술경영부
 
신뢰성센터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240번길 17-10
ㆍ품질 고도화 및 신뢰성 향상
   
기술 개발
ㆍ신뢰성센터  
헝가리
 
연구소
1145 Budapest, Bacskai utca 29/a ㆍ신제품 개발, 각종 프로그램 개발
ㆍ시제품 생산, Test
ㆍ특수제품 견적
ㆍ회전기팀
ㆍ변압기팀
ㆍ지분율 : 100%
중국
연구소
Room10102, Building10,NO.498,
Guoshoujing Road,China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Shanghai,China
ㆍ글로벌 및 중국 현지형 제품개발
ㆍ아웃소싱 부품개발 및 품질검증
ㆍ중국내 경쟁사 제품 벤치마킹
ㆍ제품개발팀
ㆍ신뢰성검증팀
ㆍ지분율 : 100%
양중법인
개발팀
NO.9 Xiandai Road, Xinba Scientific and
Technologic Zone,Yangzhong, Jiangsu.
China
ㆍ배전반, 고압차단기, 저압차단기
   
원가절감 개발
ㆍ저압차단기설계부
ㆍ고압차단기설계부/CAD
   
개발팀
ㆍ배전반설계부/C-GIS
   
개발과
ㆍ지분율 : 100%
스위스
연구소
Hardturmstrasse 135, CH-8005 Zurich ㆍ요소기술 확보 및 기술이전
ㆍ신제품 개념/기본 설계
ㆍ선진 경쟁사 제품/기술 동향분석
ㆍ고압차단기연구실 ㆍ지분율 : 100%

 

4) 연구개발 실적
. 자체연구

연구과제명 조 직 명 개발착수일자 개발완료
 (
예정)일자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전력변압기 고객 대응 사양 확대를 위한 냉각기 설계기술 개발 글로벌 R&D센터 2024.02.05 2024.12.31 신규시장(OSS ) 대응을 위한 추가 냉각 설계기술 확보
GIS 차단설계기술/차단성능 예측모델 산출 알고리즘 고도화 글로벌 R&D센터 2024.02.02 2024.12.31 신속한 차단성능 확보를 위한 데이터 분석용 인공지능 기술 개발
영구자석 전동기 상세 설계 기술 개발 글로벌 R&D센터 2024.01.10 2025.06.30 사업 다각화를 위한 영구자석 전동기 상세 설계 기술 확보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대형 E-house 모델 개발 글로벌 R&D센터 2024.02.19 2024.12.31 해외프로젝트 스펙분석 역량 및 수주 경쟁력 향상
산업용 모터보호 계전기 HGMP 전력형 제품 개발 글로벌 R&D센터 2024.01.18 2025.08.31 전력형 모터보호계전기 라인업 추가로 시장 대응력 강화 및 매출 증대
CEMS 신규 컨텐츠 개발 및 운영 기술 고도화 글로벌 R&D센터 2024.01.11 2024.12.31 베이스라인 기반 에너지 관리 서비스 기술 확보
선박용 고압배전반 내아크 성능확보 글로벌 R&D센터 2023.10.20 2024.04.25 선박용 고압배전반 내아크 성능 및 Cerificate 확보
변압기 Clamp 신규 설계 표준 수립 글로벌 R&D센터 2024.01.17 2024.06.10 Clamp 신규 표준 대상 설계 검증 tool 개발
풍력발전 계통연계 적합성 평가 기술개발 글로벌 R&D센터 2023.06.02 2024.07.16 풍력발전기용 FRT 시험기준 및 평가 기술 개발
초고압 VI 절연 설계기술 개발 글로벌 R&D센터 2023.01.17 2024.09.04 초고압용 VI 접점의 절연 설계기준 확보

※ 주요 연구실적 위주로 기재하였습니다.

. 외부위탁연구

연구과제명 조 직 명 개발착수일자 개발완료
 (
예정)일자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소전류 접점 개폐 통전 신뢰성 평가 정립 및 개선안 연구 연세대 2024.03.01 2024.12.31 정량적인 통전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법 정립

 

7. 기타 참고사항

 

.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시장여건

(1) 산업의 특성
국가별 전력망은 전력의 생산부터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되기까지의 흐름에 따라 발전→송전→배전→소비(부하)의 단계로 구성되며, 전기전자기기 사업은 이와 같은 전력망 구성에 필요한 전기전자기기를 제작/공급하는 산업을 의미합니다.

전기전자기기 제품은 전력 공급의 단계에 따라 송전 단계(고압, 통상 50kV 이상)까지 적용되는 전력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전력기기와 이후의 배전 단계(1kV~50kV 중압, 1kV미만 저압)에서 적용되는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등 배전기기, 그리고 부하로서 전기에너지를 이용,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동기 등 회전기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 국가별 전력계통의 특성과 공사 현장별 지리적, 기후적 특성 등에 따라 고객의 요구 사양이 매우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의 특성상 변압기 등 전력기기를 중심으로한 주요 제품들은 주문생산 방식의 수주형 제품의 성격이 강하나, 일부 배전용 저압제품(저압차단기, 저압전동기 등)의 경우 양산형 제품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다수의 발주 국가 정부들은 자국 산업 보호/육성 목적으로 프로젝트 입찰 진행 시 현지 생산 제품을 우대하는 경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주요 선진 공급사들은 성장성이 유망한 지역에 현지 자체 생산 거점 신설 또는 기존 현지업체에 대한 기술이전 및 License 생산 등의 방식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글로벌 전기전자기기 시장은 산업의 성장성 측면에서 성숙 단계 시장으로 볼 수 있으나,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전력계통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각국은 탄소 중립 달성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긴장감이 촉발한 에너지 안보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전원믹스 정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재생에너지 발전 증가로 전력계통의 안전성 확보가 화두가 되고 있으며, 전기차 확대 등 에너지 소비의 전기화(Electrification) 추세로 지속적인 송배전 인프라 투자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지역별로는 유럽/북미를 중심으로 선진국들의 노후 설비 교체 수요 및 신재생 인프라 투자 수요와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등 이머징 마켓의 신규 전력 인프라 증설 수요를 바탕으로 연평균 3~5%의 성장이 예상되며, 4차 산업혁명 및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ICT 융합 솔루션 및 친환경 기술 적용 제품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전력소모가 많은 인공지능(AI) 산업,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공장 건설 확대에 따른 대규모 전력기기 설비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전기전자기기의 주요 고객은 국가별 전력청 및 민간 Utility 사업자, EPC 업체 등이며, 이에 따라 전기전자기기 발주 규모는 각국 정부의 전력 정책 및 글로벌 건설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등
전력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고압 제품은 제품의 신뢰성이 매우 중시되는 특성에 따라 제품 선정 시 Track-record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에 따라 공급업체 선정에 상당히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그동안 Siemens Energy, GE Vernova, Hitachi Energy( ABB) 등 전력기기 산업 선진업체들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었으나, 중국, 인도 등 후발업체들이 점차 경험을 축적하며 해외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선별 수주 전략을 추진함과 동시에 품질/납기의 근원적인 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저압 제품은 수주생산 제품이 아닌 양산형 표준 제품으로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아 후발업체들의 시장참여가 활발하여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입니다. 이와 같은 경쟁환경 하에서 당사는 오랜 기간 시장에 구축된 '현대'라는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후발업체 대비 차별적인 인지도를 충분히 활용한 영업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술력 측면에서는 스위스연구소와 헝가리기술센터 등 글로벌 R&D네트워크와 국내 전력기기 업체 최초로 제품 품질을 연구하는 신뢰성센터 등 국내 연구소 간 유기적인 운영으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변환 사업 진출( HD현대플라스포 인수), 풍력사업 진출 등을 통해 제품 Line-up 확대와 신성장 동력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 영업개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국제 에너지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에너지 안보 위협의 증가에 따라 원전, 신재생 등 전력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 시행에 따른 전력망 인프라 확충과 중동 국가들의 신도시 건설붐으로 전력기기 수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력기기 뿐만 아니라 배전기기 및 회전기기도 신재생 연계 프로젝트 수요 증가 및 선박용 제품 수주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제품별 영업의 개황

[전력기기]
북미 시장의 경우,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 교체와 신재생에너지 및 데이터센터 연결을 위한 신규 전력망 구축이 겹쳐, 최근 전력기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는 AI 보편화에 따른 IDC 증설, 산업, 수송 및 건물 부문의 에너지 전기화 등으로 지속 증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50
년까지 넷제로를 목표로 하는 유럽 지역에서는 에너지 자립 및 탈탄소화 정책으로 인한 대형 해상풍력 발전 및 친환경 전력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노후 설비 교체 수요 또한 지속될 전망이나 유럽 선진사들과 중국, 인도 등 후발업체들의 공격적인 가격 및 납기 제시로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중동 지역의 경우 2030 엑스포 등 대형 국제행사 유치에 따른 인프라ㆍ친환경에너지 프로젝트 등 대규모 발주가 기대되는 사우디를 비롯하여 중동 국가들이 전력망 확충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단지 운영에 필요한 전력 발전 설비 발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경우, 경제 성장세 지속에 따른 동남아 지역 전력 인프라 투자 증가가 전망됩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에 따라 향후 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인한 송배전 인프라 투자 증가가 예상되어 당사 수주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당사는 친환경 전력기기에 대한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절연유 적용 변압기 및 SF6-Free 고압차단기를 개발 완료하여 탄소중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
회전기기]
전세계적인 선박 시장에서 컨테이너선, LNG선 등 대형선 위주의 선박용 전장품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메탄올 연료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과 암모니아 운반선 발주 확대에 따라 선박용 전장품 발주도 동반 확대될 전망입니다. 당사는 고품질의 선박용 회전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는 기존의 엔진 구동을 모터 구동으로 전환하는 전동화가 진행 중으로 회전기 시장의 확대가 진행 중입니다. 또한, 각국 정부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산업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활용, 저장하는 탄소포집(CCUS) 산업향 전동기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정부의 원전 및 해상풍력 확대 정책에 따라 관련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화력발전 프로젝트 관련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슈퍼프리미엄 효율(IE4) 저압전동기 및 대용량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를 개발하여 각종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배전기기]
수송수단의 전기화, 산업부문의 디지털화로 인해 최종 수요처의 전력 사용량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배전기기의 시장 수요도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분산 에너지 및 신재생 에너지 확대로 인한 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변환을 위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설비인 반도체 및 데이터센터 시설 투자 증가로 신규 배전 설비 투자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국내 철강업계 및 석유화학 산업에서의 노후설비 교체 및 증설 수요도 지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DC 차단기 및 대형 DC 배전 시스템, 친환경 배전반을 개발하여 마이크로그리드와 신재생 발전원을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는 전력 인프라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솔루션]
당초 신재생에너지 시장 성장과 함께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연관 ESS 프로젝트 발주가 예상되었으나, 잇따른 ESS 화재발생으로 인해 국내 시장이 위축된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REC 특례제도의 일몰로 산업용 ESS 수요 또한 단기적으로 축소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한국판 그린뉴딜 사업 추진, 신규 인센티브 정책 등 정부의 지원정책 발표로 태양광(수상태양광 포함)이나 풍력 발전 시장에서의 수요가 증가 중에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재생에너지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의 확대가 전망되어
ESS
시장 규모는 빠르게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신사업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의 소분류에 의한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ㆍ공급ㆍ제어 장치 제조업(분류번호: 281)'에 해당하며, 전기전자 부문의 매출액과 자산총액이 전체부문의 90%를 초과하는 지배적 단일 사업부문으로서 전기전자부문으로 통합기재 하였습니다.

 

3) 시장점유율

'21.12.30 개정 공정거래법 시행에 따라 경쟁사와의 정보 공유가 불가하여, 시장점유율 추정치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4) 시장의 특성
전력망은 국가 에너지 안보 및 경제 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안정성과 신뢰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며, 제품 특성상 사고 발생시 고객에게 매우 큰 실패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전자기기 제품의 주요 고객들은 제품의 선택에 있어 Track Record와 브랜드 인지도, 제품의 신뢰도를 매우 중시하며, 만약의 사고 발생 시에도 즉각적이고 신속한 AS 대응이 가능한 업체 제품을 선호하는 등 아주 보수적으로 구매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에서의 검증이 부족한 신규 브랜드 제품의 시장 진입이 매우 어려운 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사는 40여년간 해당 사업을 영위하며 국내는 물론 북미, 중동 등 세계 주요 시장에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 모두에서 경쟁력을 갖춘 제조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7년 스위스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2018년에는 헝가리기술센터(H-TEC)를 확장 이전하는 등 글로벌 R&D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 전력기기 브랜드 '그린트릭(GREENTRIC)'을 론칭하여, 성장이 예상되는 친환경 제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미국에 위치한 종속법인인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를 활용하여 미국 정부의 자국우선주의/Buy America 정책에 적극 대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증가하는 미국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자 울산 변압기 철심공장 준공 완료 및 미국 알라바마 공장 변압기 전문보관장 증설 등 추가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전력기기 업계 최초로 제품 품질을 연구 개선하고 평가하는 신뢰성센터를 구축하여 제품 내구성과 내환경성, 안정성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5)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향후 에너지시장은

① 전 산업에 걸친 전기화(Electrification)로 전력수요 증가

② 신재생발전 증가 및 이에 따른 전력변환 및 에너지저장 시장 성장

IT 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

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아래와 같이 신규사업을 추진하여 기존의 전력기자재 제조회사를 넘어 토털 에너지솔루션 기업으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력변환)
당사는 2022 4월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변환기기 강소기업인 플라스포()HD현대플라스포)를 인수하여 전력변환 시장 공략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태양광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판매 확대 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으로 수전해, 연료전지,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공급까지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에너지저장시스템)
당사는 2024 9월말 기준 누적 약 1.6GWh이상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설치, 운영해 온 우수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 12월 한국전력이 발주하는 계통안정화용 ESS 336MWh 수주에 성공하였고, 2024 6월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향후 국내 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미국, 일본, 유럽 등 ESS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는 해외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해상풍력)
'
국가 탄소중립 목표(NDC)' 달성을 위해서 대규모 발전이 가능한 해상풍력 보급 확대는 필수적이며, 우리나라도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2036년까지 누적 약 34GW의 해상풍력 보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과거 육상풍력터빈 제조업 경험을 바탕으로, 2022 12월 글로벌 풍력 선도기업인 GE Vernova(, GE Renewable Energy)와 전략적 해상풍력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특별법의 국회 통과 지연, 송전력망 구축 지연 등으로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당초 계획 대비 지연되고 있는 바, 해상풍력 사업 진출을 위한 타당성 및 적정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그리드)
당사는 국내 주요 국가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스마트에너지관리시스템과 친환경 에너지인프라 공급을 추진하는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에 참여해, 국내 최대 국가산업단지인 반월시화산단에서 에너지관리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 중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 녹산산업단지, 울산 미포산업단지 등에서 추가 사업을 수행 중이며, 향후 전국 산업단지에 에너지관리플랫폼 기반의 에너지 절감 솔루션, RE100 솔루션 등을 제공-운영하는 산업단지용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지속 확대하고자 합니다.


.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및 부문비중
1)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단위: 백만원, %)

 

        8 3분기 7 6       비 고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전 기 전 자 부 문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저압전동기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전력변환 및 에너지저장장치 등
 
1.         2,506,636 100.0 2,702,799 100.0 2,104,499 100.0
2.       502,652 100.0 315,218 100.0 133,041 100.0
3.       3,352,469 100.0 2,910,160 100.0 2,435,030 100.0

※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의 소분류에 의한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ㆍ공급ㆍ
   
제어 장치 제조업(분류번호: 281)'에 해당하며, 전기전자 부문의 매출액과 자산총액이
   
전체부문의 90%를 초과하는 지배적 단일 사업부문으로서 전기전자부문으로 통합기재
   
하였습니다.
※ 상기 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연결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

(단위 : )

 

구분 특허(실용신안) 디자인    
국내 756(11) 71 60
해외 186(3) 13 60
942(14) 84 120

특허는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등 전력기기 및 전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당사 제품에 적용되거나 향후 활용될 예정으로, 사업보호의 역할 뿐만 아니라 당사 개발 고유기술의 경쟁사 사용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시장 선점을 위한 INTEGRICT 기반 에너지/자산관리 솔루션 개발 및 ICT 융합 지능형 제품 등과 관련된 선행특허 확보를 강화하여 미래기술분야 선점을 꾀하고 있으며, 친환경ㆍ고효율 제품 및 표준형/경제형 제품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허를 취득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저압차단기, 회전기 등 신규 제품의 외관에 적용된 고유의 디자인을 보호하고자 국내 및 중국 등에 디자인 특허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지식재산권 세부내용

관련 품목 취득일 제목 및 내용 근거법령 소요인력 상용화여부
변압기 2023 11 중신 하중 인가를 위한 고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리액터 특허법 1 상용 예정
고압차단기 2023 12 접지개폐기 특허법 1 상용화
회전기 2024 2 영구자석 회전기 특허법 3 상용 예정
배전반 2024 3 가스타입 배전반 특허법 2 상용 예정
중저압차단기 2023 11 전자 접촉기 특허법 3 상용화
전력제어 2023 11 직류 배전 전력변환장치 특허법 4 상용 예정

※ 주요 지식재산권만 기재하였습니다.

. 환경 관련 규제 사항

 

당사는 국제표준인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에 따른 환경경영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생산, 설계, 구매, 연구개발 등 사업 전과정에 대한 HSE운영 현황을 내부 심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발견된 주요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선 관리하고 있습니다. 환경경영체제의 투명성과 객관성 보장을 위해 인증기관(로이드인증원)으로부터 ISO 14001 : 2015, ISO 45001 : 2018 최신 규격으로 사후관리 심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전사 환경경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 관리, 자원순환 등의 환경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추진을 통해 사업장 탄소배출 최소화와 자원순환관리체제 구축 등 보다 효율적인 친환경경영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1) 온실가스 관리

당사는 HGMS(전사온실가스관리시스템)를 통해 매월 사업장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사용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춰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계획을 수립, 운영하고 있으며 전기 절약 캠페인, 유틸리티 사용량 관리, SF6 GAS 대체물질을 적용한 친환경제품 개발 등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장별 에너지 사용실적 관리 및 노후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주요 항목인 전력에너지 감축을 위해 생산부문별 자율절감 계획을 수립하고 조직 목표 반영을 통해 지속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밸류체인 내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
대기 관리

당사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사전에 파악하여 오염물질별 법정 주기에 따라 대기자가측정(위탁) 및 운영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물질에 따른 사내 관리기준을 수립하여 배출허용기준 준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사업장으로서 관련 법률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에 대한 배출권을 할당받고 있으며, 할당된 배출허용 총량이하로 배출량을 관리하기 위한 저감 시설 투자를 완료했습니다. 대기오염 방지시설 운영 및 훼손에 대한 주기적인 환경기술인 순찰 점검과 환경설비 운전자 교육, 사업장 내/외부 악취측정 등을 통해 환경사고 예방 및 현장 운영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3) 수질 관리

당사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공정별 폐수저장탱크에 보관ㆍ관리되며 폐수수탁처리업체를 통해 전량위탁 처리하고 있습니다. 전체 폐수 처리량을 정부 운영의 전자인계인수관리시스템을 통해 실적 보고하고 있으며, 연간 발생량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4) 폐기물 관리

당사는 사업장 폐기물 보관장을 갖추고 수집된 폐기물의 성상 및 처리기준에 따라 적법한 폐기물 처리업체를 선정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배출자 의무에 따라 사내 폐기물 보관 및 위수탁 인계 과정을 관리하고 있으며, 폐기물 관리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순환경제관리 목표달성을 위해 폐기물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재활용률이 높은 업체에 폐기물을 위탁처리하고 있으며, 재활용품 분리수거, 각종 오일유 여과사용 등 매립되는 폐기물은 줄이고 재활용 비율을 늘려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정폐기물 처리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폐기물 유해성 정보자료를 제공하여 폐기물이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5) 유해화학물질 관리

당사는 국가에서 고시한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사용을 제한하고 대체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신규화학물질에 대하여 항시 모니터링을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위한 지속관리를 하고 있으며, 수입되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구매 전 수입신고를 통하여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모든 작업장에서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가 쉽게 보거나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MSDS를 비치하고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HMM 친환경 선박 도입과 ESG 경영으로 본 해운 산업의 미래 주식 전망 목표 주가 전망 하락 이유 실

HMM 친환경 선박 도입과 ESG 경영으로 본 해운 산업의 미래 주식 전망 목표 주가 전망 하락 이유 실적 발표일 2분기 배당금 지급일 매각 산업은행 채권단 인수    사업의 개요

09177002.tistory.com

 

 

 

현대일렉트릭 주가전망
hd현대일렉트릭 실적
HD현대일렉트릭 차트
HD현대중공업 주가 전망
ls일렉트릭 주가 전망
현대일렉트릭 실적발표
현대일렉트릭 변압기
HD현대일렉트릭 컨센서스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목표주가
HD현대일렉트릭 주가ㄸ
HD한국조선해양 주가
HD현대중공업 주가
HD현대건설기계 주가
HD현대일렉트릭 실적
현대일렉트릭 목표주가
hd현대일렉 주가
산일전기 주가
일진전기 주가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HD현대일렉트릭 기업 분석 | 글로벌 전력·에너지 솔루션 강자의 경쟁력
HD현대일렉트릭 실적 리뷰 | 전력기기·재생에너지 사업 성장 가능성은?
HD현대일렉트릭, 전력 산업의 핵심! 전력기기·변압기 시장 동향 정리
HD현대일렉트릭 배당·재무 분석 | 안정적인 수익성과 장기 투자 가치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2025 ❘ 전력·배터리 산업 성장과 투자 전략 목표 실적 차트 실적발표 변압기 컨센서스 배당금 기업 분석

 


hd 한국 조선해양주가 ls일렉트릭 주가 hd현대건설기계 주가 hd현대중공업 주가 삼성중공업 주가 현대로템 주가 hd현대에너지솔루션 주가 제룡전기 주가 효성중공업 주가 삼성전자 주가 hd현대 인프라코어 주가 현대건설 주가 한미반도체 주가 현대오토에버 주가 한화오션 주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