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09177002 2025. 2. 1. 17:22
728x90
반응형
SMALL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사업의 개요

SK스퀘어의 각 부문은 독립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법률적 실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① 투자사업, ② 온라인쇼핑몰 등의 커머스사업, ③ 플랫폼사업, ④ 모빌리티사업, ⑤ 기타사업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요약]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사업의 내용

사업구분 회사명 주요사업내용
투자사업 SK스퀘어 지주회사, 투자업
커머스사업 11번가 전자상거래 및 인터넷 관련 사업
플랫폼사업 원스토어 앱스토어 운용
SK플래닛 정보통신사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드림어스컴퍼니 온라인 음악서비스, 음반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모빌리티사업 티맵모빌리티 모빌리티 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FSK L&S 물류 BPO 서비스 및 ICT 솔루션 사업
기타사업 인크로스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투자사업]
SK
스퀘어

SK스퀘어는 2021 11 2 SK텔레콤으로부터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주회사 전환에 대한 심사결과 통지를 통해 2021 12 28일 당사의 지주회사 전환(지주회사 공시일 : 2021 12 30)을 승인하였습니다.


당사는 11번가, 티맵모빌리티와 같은 주요종속회사 및 SK하이닉스와 같은 주요자회사를 포함하여 반도체ㆍICT 섹터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및 지배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향후 사업 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 결정 체제의 확립 및 사업 부문별 전문화된 사업 역량 집중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주주가치 증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커머스사업]
11
번가
. 산업의 특성
e-Commerce(
전자상거래)는 재화 및 용역의 거래가 PC 등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해 전자적 형태로 처리되는 상행위로서, 통신판매중개업과 통신판매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신판매중개업은 판매자와 구매자간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경우에 해당되며, 통신판매업은 직접 재화를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e-Commerce
시장은 스마트폰 보급 확산 및 결제 편의성 향상 등에 기반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오프라인 소비의 온라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었고, 앤데믹 이후에도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 되며 빠른 배송, 여행 교통 서비스 및 음식료품 확대, AI 기반 개인화 / 추천 등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 성장성
국내 e-Commerce 시장 규모는 '23년 거래액 기준 228 8,607억원(전년비 +8.4%)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전체 유통시장에서 35.8%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01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단위: 조원) '23 '22 '21 '20 '19 '18
e-Commerce 거래액 228.9 211.1 190.2 158.3 136.6 113.3
성장률(YoY) 8.4% 11.0% 20.2% 15.9% 20.6% 20.3%

* 출처 : KOSIS, '온라인쇼핑동향조사'

그리고 e-Commerce 거래액 중 모바일 비중 역시 '16 50%를 돌파한 이후 '23 73.8%까지 지속 성장 중이며 음식료품, 의류/생활용품, 렌탈 등 전 영역에서의 모바일 Shift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쇼핑몰이라는 업의 특성상 경기의 변동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e-Commerce시장은 현재 고속 성장 중으로 경기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최근 거시경제 상황(경기침체, 고물가, 저성장 등)으로 인해 소비수요가 위축됨에 따라 e-Commerce 시장도 경기 변동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온라인 쇼핑 인구의 추가 성장 잠재력, 오프라인 사업자의 온라인 사업 강화, 모바일 Commerce 성장세 등에 힘입어 온라인 커머스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품을 넘어선 다양한 생활 서비스 비즈니스가 커머스 영역으로 편입되는 등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과 이에 따른 새로운 시장형성 및 확장이 예상됩니다.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영역에 대해 거래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는 점차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해주는 사업모델로 발전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국내 커머스 시장에서는 다양한 사업자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최근 경기 불황으로 인한 소비 양극화로 초저가 상품기반 중국 E-Commerce(알리 익스프레스, TEMU, Shein ) 및 균일가 샵(다이소 몰) 등이 등장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티메프 대규모 정산지연 사태로 인한 정산주기 단축 등 감독기관의 규제도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십일번가는 다양한 서비스, 사용 편의성 개선, 빠른 배송 경험 등을 통한 고객만족과 함께 티메프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안심정산' 서비스 도입 등 이커머스 업계 리딩 컴퍼니로서 상생을 위한 활동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영업 개황 및 경쟁력

'23년에는 수익성 개선 기조 아래, 전사 영업손실 규모는 축소하여 향후 수익 개선에 대한 실질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오픈마켓은 '24 3월 월간 흑자 전환 후 9월까지 7개월 연속 월간 흑자를 기록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의 흐름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다양한 신규 서비스 론칭 및 AI Tech. 도입, 마케팅 전략 변화를 통해 비용 효율화를 이뤄냈으며 절감된 비용의 전략적 재투자를 통해 건전한 수익성 개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먼저 다양한 버티컬 서비스 론칭을 통한 고객 경험 확장과 고객 체류시간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게임, 숏폼 등)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커머스 시장에서의 에코 시스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실행과제로는 카테고리별 쇼핑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Vertical Mall '신선밥상', '우아럭스', '키즈키즈', '리퍼블리', 'OOTD' 등을 론칭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특가 중심의 전문관인 '9,900원 샵', '쇼킹히어로'를 통해 초저가 트렌드를 리딩하였으며, Originality를 보유한 브랜드를 위한 오리지널샵인 '오리지널 픽'을 런칭하여 다양한 신규 셀러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측면에서는 고객 확보와 체류시간 증대를 위해 Gamification의 일환으로 '11 키티즈' '십일또'를 선보였고, 최근 트렌드인 숏폼 콘텐츠를 활용한 '11 플레이'를 론칭하여 고객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Traffic 확보를 기반으로 한 성장을실현하고자 합니다.

또한 상품 다양성 강화에 도움이 되는 중소형 셀러를 확대하고, 익일배송 역량을 기반으로 한 Fulfillment 서비스를 신규 론칭함으로써, 고객 배송경험 개선 및 물류 수익창출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신규광고 도입의 본격적 확대와 적극적인 영업을 통해 GMV 대비 광고 매출 비중을 개선하여 안정적 수익모델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노력을 통하여 십일번가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주관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조사에서 오픈마켓 부문 15년 연속 1위에 올랐으며,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부문에서도 16년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고객이 선택한 최고의 e-commerce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십일번가는 Tech. 기반의 다양한 쇼핑 경험 혁신과 SK ICT 관계사 Synergy를 활용한 고객 혜택 강화를 통해 Commerce Ecosystem을 지속 확장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상품 구색 확장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가격 자동화 적용, AI Tech 도입을 통한 고객 편의성 제고, 고객 Traffic 확보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론칭 등을 통해 고객 경험의 혁신을 이루고, 나아가 십일번가 만의 차별적 가치를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플랫폼사업]
1. SK
플래닛
. 산업의 특성
SK
플래닛은 OK캐쉬백과 시럽이라는 강력한 고객 접점(PoC)을 통해 실명/비실명 Big Data Marketing Solution을 활용해 고객사를 대상으로 Reward 기반의 Segment Marketing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Digital Marketing Platform 사업' ICT Family 사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기획/개발/운영을 수행하는 'ICT Synergy 사업' 및 이를 통해 축적해 온 S/W 엔지니어링 역량을 토대로 IoT, 미디어, AI 영역 등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Business Solution 사업'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성장성
Digital Marketing Platform
사업은 OK캐쉬백 포인트의 Reward로서의 역할 확대 및 마이데이터 사업 추진을 통해 'Data 기반의 Performance Marketing Platform'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모바일 시장 내에서 Big Data, AI 등의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시도들에 대한 즉각적인 결과 측정이 용이해지면서 고객의 특정 행동이 완료되었을 때 대가를 지불하는 'Digital Performance Marketing' 형태의 Reward 광고 및 쇼핑 허브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Web 3.0 서비스 도입으로 컨텐츠 Creator에게 고객간 교류의 확장에 기여한 만큼 실질적 Reward를 제공하는 내부 커뮤니티 기반의 C2C 플랫폼으로 진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국내 Business Solution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46조원(당사가 영위 중인 패키지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영역 기준)에서 2025년 약 55조원으로 연 평균 3%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의 핵심 성장 영역인 IoT Solution의 시장규모는 2019 12조원에서 2023년 약 25조원으로 연 평균 20%에 달하는 고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환경/안전영역의 '공공/건설/교통', 제조영역의 'Smart Factory/SHE(Safety, Health, Environment)'를 중심으로 자체 발굴 솔루션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TV UI 중심의 미디어 솔루션 사업은 Global Partnership을 통한 시장 확대를 모색중에 있습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Digital Marketing Platform
사업은 시장경기에 영향을 받으나(광고 집행 등), 별도의 계절성 특징은 없습니다. Business Solution 사업(IoT/AI 시장 중심)의 경우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정부 주도 사업비중이 커서 정부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과거 4대 매체에 집중되었던 광고비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신규 미디어로 빠르게 이전되었으며, 고성능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기술력 확대로 모바일 광고시장 성장세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 '포인트 제휴 및 멤버십카드/쿠폰 제공' 사업모델이었던 당사의 OK캐쉬백과 시럽 서비스는 마케팅/제휴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Marketing Platform PoC(고객접점)'로의 변신을 적기에 이루어냈습니다. 활동성 높은 다수의 고객과 다양한 Marketing Tool을 제공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시장 성장세에 편승하여 광고매출을 꾸준히 상승시키고 커머스 등 연관 사업을 발굴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가 새로운 성장 축으로 전략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Business Solution 시장은 '기술력의 향상/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환경 조성/환경 및 4차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정부의지'로 인해 고속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하는 사업이므로 경영실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SK
플래닛은 2018 11번가 사업부문 분할 및 SK테크엑스㈜와의 합병을 통한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Digital Marketing Platform영역으로의 집중 및 IoT/Media/AI 등 다양한 신규 Business 솔루션의 확장과 비용 절감으로 2020년부터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흑자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OK캐쉬백과 시럽은 Mobile App내 마일리지/멤버십 분야의 최선호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경제적 혜택'이 커 고객 충성도(Stickiness)에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Business Solution
사업은 아직 주도적인 사업자가 없는 시장 상황에서 SK플래닛은 다년간 축적해온 S/W 엔지니어링, 다양한 Industry에 대한 Domain Knowledge, Data 수집/분석, Project Management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입증해 왔습니다. 특히, IoT Solution의 경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0%에 달하는 성장세를 보이는 등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였습니다.

2. 원스토어
. 산업의 특성

중이며, 통신 3사 협력 모델의 장점을 잘 활용하여 국내 판매 Android 계열 단말기에 선 탑재(Preload)를 진행, 3 8백만대의 설치 단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22만개의 게임/앱과 전자책 등 디지털콘텐츠를 유통하는 국내 대표 앱마켓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외 확장을 준비 중이며, 글로벌 멀티OS 콘텐츠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업종 측면에서는 사업 운영 방식에 따라 통신판매중개업, 통신판매업 및 운영대행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앱마켓을 통해 게임, App을 유통하며 개발사(또는 콘텐츠 제작자)와 일반 고객(소비자)을 중개하여 수수료를 수취하는 경우 '통신판매 중개업'으로 구분
2)
콘텐츠(웹툰/웹소설 등)의 공중송신권 및 커머스 관련 상품을 직사입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는 '통신판매업' 으로 구분
3)
공동사업자인 KT LGU+로부터 운영대행에 대한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으며, LGU+로부터는 마케팅 업무까지 추가로 위탁 받아 마케팅 대행수수료를 추가로 수취 (운영대행업)
4)
원스토어를 광고 매체로서 원스토어 앱 내의 일부 지면을 개발사에게 광고지면으로 판매 (광고업)

. 성장성
22~23
년에는 엔데믹 등 영향으로 모바일 관련 시장이 축소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중장기 관점에서 보면 국내 및 세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앱마켓은 과거 양적, 질적 확대를 이루어 왔으며.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추세에 따라 이러한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23년말 모바일 게임, 웹툰 및 웹소설 등 모바일 환경에서의 콘텐츠 시장이 꾸준히 성장해왔고, 엔데믹으로 인한 시장 정체도 '23년말을 기점으로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합니다. 더불어 OTT 시장의 확대, 화상회의 도입, 클라우드 서비스 등장, 앱기반 서비스 이용 확대 추세에 따라 비대면, 모바일 시장의 반경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엔데믹 상황을 예외로 하면, 기본적으로 앱마켓 시장은 기타 경기변동과 계절성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시장입니다. 앱마켓에 입점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가 모든 카테고리와 분야를 아우르고 있고, 그 수도 매우 많아 경기 변동과 계절성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습니다. 전 세계 안드로이드 앱마켓 매출 대비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비중이 2023년 기준 67% 가량을 차지하는 등 모바일 게임의 영향이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은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경기 불황 시에는 결제 건수가 증가하고 경기 활황 시에는 결제 금액이 증가하여 경기 변동의 영향이 상쇄되는 구조를 보입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Business of Apps의 통계에 따르면 애플 App Store에 등록된 비게임 앱의 평균 가격은 1.32달러, 구글 Play Store에 등록된 경우 0.94 달러에 불과하였습니다. 단일 결제 금액이 매우 소액이며 결제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발생하는 시장의 구조를 고려할 때, 경기 변동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전 세계 및 국내 앱마켓 시장은 소수의 Player들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앱마켓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성상,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하는 데에 필요한 다수의 개발사와 사용자를 플랫폼 안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어려워 진입장벽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앱마켓 사용자의 구매 결정 과정에서 구매하는 앱 및 콘텐츠의 내용과 속성에 비해 이를 중개하는 성격의 앱마켓이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한 번 유입된 소비자는 사용하던 앱마켓을 변경할 유인이 적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을 기준으로 구글의 Play Store, 원스토어 및 애플 App Store 등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당사는 개발사와 이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정책 운영을 통해 플랫폼의 이용자 확대 및 거래액 성장을 가속화하여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합니다. 국내 앱마켓 시장의 후발주자였던 원스토어는 2018 7월 앱 유통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는 정책을 발표하여 기존 30%의 인앱결제 정률 수수료를 20%로 인하하고, 자체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수수료 5%를 적용하였습니다. 수수료 인하 이후 2022년까지 4년 연속 거래액 성장을 기록하였고, 2023년은 수수료 인하 전 2018년 대비 약 2배 규모의 거래액으로 성장했습니다. 2019년 이후 모바일 인덱스 기준 거래액 시장점유율은 애플 App Store와 함께 국내 2위의 자리를 다투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형 업체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영세업자들에게 배너핏을 제공 중이며, 2022년 미디어 컨텐츠 앱 상생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OTT, 음원, 웹툰 등의 미디어 앱 입점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당사는 모바일 이용자들의 혜택과 편의를 위해 다양한 결제 및 할인수단을 제공하고 있어, 구매력이 높은 이용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구매력 높은 이용자들을 위해 주요 신작 게임 소싱에 집중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이용자군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게임 포트폴리오를 소싱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스토어 플랫폼은 단순히 앱이나 게임을 다운로드만 받는 플랫폼을 넘어서, 즐길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자 매거진 등의 다양한 큐레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모바일에서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PC기반의 크로스플랫폼 사업을 구축하여 유저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용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해외 국가의 확장을 통해 국내 시장 대상이라는 한계점 극복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당사는 수익성 제고를 통해 중장기 지속 가능 경영 기반을 확고히 하는 동시, 글로벌 앱마켓으로 확장하여 스케일을 넓혀서 주요 앱게임 타이틀의 입점 확대하는 전략의 전개로, 글로벌 멀티 OS 플랫폼 사업자로서 자리매김하면서 기업가치를 극대화해 나갈 것입니다.

3. 드림어스컴퍼니

. 산업의 특성

[뮤직 부문]

음악 산업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음원 생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창작자와 제작사, 생산된 음원을 시장에 유통하는 음원 유통사, 음원을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음악 사업자 및 오프라인 매장 사업자 등이 음악 산업 영역 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이해 관계자입니다. 이 중 온라인 음악 사업자는 소비자들이 PC와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하여 디지털 음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음악을 감상하는 방식이 과거에 비해 매우 다양해지고 보편화 되면서, 각종 기기에서 고객이 원할 때 실시간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음악 사업자가 갖는 역할의 중요성은 점차 강화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MD 산업은 강력한 팬덤 기반 수요에 기반해 아티스트 브랜드 강화 및 수익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아티스트 이미지와 스타일을 반영하는 MD는 팬들과 강한 정서적 유대 관계를 형성하여 기업 및 아티스트의 브랜드 가치를 증진시킵니다. 공연은 '일정한 무대 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직접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을 말하며, 공연 산업은 '공연의 기획, 제작, 공연, 유통과 관련된 모든 산업' 을 뜻합니다. 공연은 공연장을 매개로 하여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서비스 상품의 성격으로, 아티스트와 관객이 같은 장소에 존재함으로써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현장성', 공연이 실연되는 순간 생명력을 지니는 '일회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산업은 디지털 음원 보급 및 스마트폰 활성화에 의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중심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통합 스마트 기기 중심으로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음질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고음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커지고, 이런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국내외 다수의 기업들은 고음질 재생 기기를 출시하고 있습니다.휴대용 고음질 기기가 시장 전반에서 주요 차별 요소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전통적인 거치형 하이파이 오디오 애호가들을 휴대용 고음질 기기 시장으로 끌어들이며 mp3로 음악을 가볍게 즐기던 사람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고음질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성장성

[뮤직 부문]

국제음반산업협회(IFPI)가 발표한 'Engaging with Music 2023 Report'에 따르면, 2023년 매주 평균 음악 감상 시간은 20.7시간으로 전년(20.1시간)과 비교했을 때 0.6시간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1주당 3분짜리 노래 13곡을 추가로 듣는 것과 같으며, 오늘날 음악 팬들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음악을 즐기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73%의 사람들이 유료 구독 서비스(광고 기반 포함)를 통해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한편, 글로벌 음악 시장은 디지털 음원시장의 급성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024년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음원 스트리밍 수익은 전년 대비 연평균 3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세계 음반 수익은 2002년 이후로 전년 대비 연평균 9% 감소되는 추세였으나,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년 대비 연평균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음악시장도 2024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표한 음악 산업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음원 유통업 매출액은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26.3%, 2019년부터 3년간 연평균 1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 음반 시장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약 50.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써클차트 2023년 연간 결산 자료, Top400) 이는 인기 아이돌 가수들의 지속적인 등장과 글로벌 팬덤 성장을 비롯해 과거 음반을 음악 감상의 수단으로 활용하던 데에서 벗어나 아티스트 관련 애장품으로 활용되면서 제품의 소비 방식 변화가 구매 증가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3년 음반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5.5%가량 성장 하였는데, 이는 독일, 영국 등의 유럽 및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영어권 지역에서의 시장 점유율 증가에 따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대로 중국 및 주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 점은 향후 K-POP 시장 성장에 있어 주요 변수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타 부문]

MD 산업은 K-POP의 급부상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뚜렷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문화 콘텐츠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K-POP 관련 상품 수출은 전년 대비 29.2%가 증가했는데, 포토카드, 응원봉 등 굿즈가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MD산업은 음악 산업 매출 증가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팬덤의 확장에 기인하여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공연사업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4년 상반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상반기 누적 대중음악공연 티켓 판매액은 전년 대비 57.5% 증가한 3,008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대중음악 공연 시장은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음에도 초대형 인기 아티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의 부재로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한편, 미디어, SNS 등 매체 특수성과 별개로 세계는 K-콘텐츠에 집중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장르도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도 이에 따라, 콘텐츠, 음악, 아티스트 등 IP 개발을 통한 사업 성장 및 수익 창출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의 경우 음원과 글로벌 스트리밍 업체들의 지속적인 고음질 서비스 제공에 힘입어 스트리밍을 통한 음악 감상이 주류를 이루면서 이와 관련된 고음질 전문 재생 기기인 당사의 제품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뮤직 부문]

경기가 좋지 않으면 댄스 장르의 음악이 인기를 얻고, 봄과 가을에는 발라드 음악을 즐겨 듣는다는 등의 데이터로 확인되지 않는 속설들이 있었으나, 최근과 같이 음악 이외의 사회 문화적 트렌드,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한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노출 등 다양한 음악 외 외부 영향 변수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몇 가지 단순한 논리로 규정짓기는 어렵습니다.

더불어 과거 여러 곡이 수록된 앨범을 발표한 후 상당 기간 홍보 활동을 이어가던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싱글 등 음원 중심의 다량 발매 환경이 일반화된 최근에는 계절, 트렌드, 이슈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식의 마케팅이 펼쳐지면서 경기 변동 및 계절 변화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스트리밍 방식의 이용 비중이 증가하며 이용자 스스로 구성하였거나 이용자의청취 패턴 또는 빅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한 음원 소비 방식이 증가하면서 최신발매 음원과 과거 발매 음원 간의 매출 차이 또한 점차 줄어 들고 있는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K-POP MD 산업은 아티스트의 활동과 일정에 맞춰 수요가 크게 변동합니다. 최근에는 특별한 날짜를 기념하는 상품 등 일정한 시기마다 계절성 수요도 높이고 있습니다. 한편, MD의 경우 경기 불황이나 글로벌 이슈로 소비자 지출이 줄어들면 판매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공연산업은 '현장성'이라는 특성으로 천재지변 및 전염병 등 사회이슈 발생 시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입니다. 여전히 수도권 지역에 공연이 집중 되거나, 특정한 시기에 공연 관람 수요가 올라가는 등 계절성, 지역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전국 투어 수요가 증가하고, K-POP 아티스트들이 앨범 발매 및 해외투어 시기에 따라 공연일정을 결정하기도 하며, 장르가 다양해지고, 관객층이 확대됨에 따라 계절의 차이는 서서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사업은 제품의 특성상 계절의 변화 또는 경기변동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적은 편에 속합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
뮤직 부문]

1. 온라인 음악 서비스

① 경쟁상황

가격할인 프로모션 중심 가입자 유치경쟁에서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음악 큐레이션,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UX, 기획사 및 유통사 친화적 데이터 Offering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중심의 차별화가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② 시장점유율 추이

당사의 FLO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오디오 콘텐츠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음악&오디오 플랫폼 시장은 스포티파이 등 국내외 다수의 회사가 경쟁하고 있으나 공신력 있는 해당 시장 점유율 자료가 부재합니다. 또한 회사 자체 또는 개별 온라인 리서치 기관이 제공하는 MAU는 산정 방식에 따라서 점유율 편차가 큰 관계로 보고일 현재 적합한 시장점유율 자료가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2. 음반 및 디지털콘텐츠 유통 사업

① 경쟁상황

해외 음악시장과 국내 시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국내의 경우 상위 디지털 음원 서비스 사업자들이 동시에 음원 및 음반의 B2B(기업간 거래) 유통 시장의 상위 사업자들이라는 점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국내 매출 점유율 기준 50%를 상회하는 디지털 음원 서비스인 '멜론(Melon)'을 운영하는 동시에 음원 유통사업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원 서비스 '지니(genie)'를 운영하고 있는 지니뮤직 역시 음원유통사업을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 이용자 접점의 디지털 음원 서비스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B2B 유통 경쟁력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② 시장점유율 추이

음원, 음반을 유통하는 각 유통사와 연관이 있는 아티스트의 활동 여부에 따라 음원과 음반의 시장점유율에 변동이 있습니다. 한편, 2018년 유통사업을 시작한 드림어스컴퍼니는 매년 평균 상위권에 속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1. MD사업

① 경쟁상황

K-POPSNS와 유튜브를 통해 K-Culture로 알려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확장을 가속화하고,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플랫폼 등의 발전으로 국내외 팬들과 소통이 더욱 활성화되고, 국내외 다양한 이벤트와 공연으로 K-POP MD 시장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② 시장점유율 추이

신뢰성 있는 시장의 통계자료가 공표되지 않아, 관련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2. 공연 사업

① 경쟁상황

스트리밍 시대에 진입하면서 음악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지고 음악 취향이 세분화됨에 따라 라이브공연은 소규모 내한공연이나 다양한 장르의 공연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에도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타겟향 IP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유기적 밸류 체인을 통해 지속적인 사업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IP 사업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High Risk, High Return' 성향을 띄고 있지만, 플랫폼의 발달로 인해 대중의 관심 분야 장벽이 무너진 만큼, 글로벌 시장 기반의 팬덤 확보는 지속 상승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② 시장점유율 추이

신뢰성 있는 시장의 통계자료가 공표되지 않아, 관련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3. 디바이스 사업

① 경쟁상황

디바이스 사업의 경우 최근 중국에서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앞세운 다양한 모델들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더 나아가 프리미엄 카테고리에도 진입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제품의 사양 및 마케팅 등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시장점유율 추이

신뢰성 있는 시장의 통계자료가 공표되지 않아, 관련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뮤직 부문]

1. 온라인 음악 서비스

2018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FLO는 차별화된 음악 추천과 UX로 개인 맞춤형 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음원 플랫폼 중 최초로 실시간 차트를 폐지하고, 24시간 누적 기준 차트에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한 '플로 차트(FLO Chart)'를 선보이며 차트의 공신력을 높였습니다. 이용자 취향을 기반으로 플레이리스트 재생 순서를 재정렬해 자신에게 최적화된 순서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한 '내 취향 MIX', '좋아요'를 누른 곡과 함께 듣기 좋은 플레이리스트를 홈에서 바로 보여주는 '방금 레이더', 이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음원이나 가수를 제외할 수 있는 '이 곡/아티스트 안 듣기' 등의 기능을 통해 개인화의 적용 범위를 서비스 구석구석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2년 하반기 FLO는 오디오만으로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FLO 크리에이터 스튜디오'를 성공적으로 오픈하며 타사와의 차별점을 갖춘 양방향 플랫폼으로 진화하였습니다. FLO의 이용자는 아티스트가 생산한 음원을 소비하는 역할에서 나아가 오디오 콘텐츠를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023 7월에는 원곡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다시 불러 공유할 수 있는 '커버곡 서비스'를 도입하였습니다. '커버곡 서비스' 2차 창작과 수익 창출이 어려웠던 커버곡을 저작권에 대한 걱정 없이 플로에서 공유하고 들을 수 있는 서비스이며, 원곡자와 동일하게 곡 재생 횟수당 수익 정산을 해줌으로써 원곡자 뿐 아니라 2차 창작자도 수익 창출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감상 수요 확대에 따라 2023 12월에는 음악의 분위기에 맞는 영상과 함께 빠르고 간편하게 플레이리스트를 고를 수 있는 '무드(Moood:)'서비스를 런칭 하여 이용자의 음악 감상 편의를 높였습니다. 무드 서비스의 플레이리스트는 자체 개발한 AI 언어모델인 조인트 임베딩 아키텍처('Joint Embedding Architecture')를 활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해당 AI 언어모델은 오디오와 텍스트를 동시에 학습하여 자연어 검색만으로도 텍스트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단어가 직접 언급된 곡 또는 단어를 포함하여 등록된 플레이리스트만 찾을 수 있었던 기존 검색엔진의 한계를 개선하였습니다. 한편, 2024 3월까지의 '무드'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일 평균 앱 방문 횟수가 30.8% 늘었으며 일평균 음악 재생 횟수가 42.1% 증가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권리 확보 노력을 통해 서비스 곡 수 7 8백만 곡을 돌파하며 이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FLO는 오디오 플랫폼 업계 최초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로 데이터 센터를 전면 이전 완료함에 따라 음악 서비스 이용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빠른 시간 내 만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습니다. 출퇴근 시간과 같이 이용률이 급증하는 시간대에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등 서버 수요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 해졌으며, AWS의 최신화된 기술력을 이용하여 앱 관련 신기능 개발 및 상용화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FLO의 클라우드 전환은 기후 위기 리스크를 대비한 활동이기도 합니다. 2021 8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소속 451리서치에서는 'APAC 지역의 클라우드 전환을 통한 탄소 감축 기회' 조사 보고서를 통해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클라우드인프라로 컴퓨팅 업무를 이전할 경우,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FLO의 서비스 제공 환경 변화는 동종 플랫폼 업계 내에서도 탄소 저감에 대한 월등한 조치이며 세계적 환경 책임 흐름과 어깨를 나란히 합니다.

 

2. 음반 및 디지털콘텐츠 유통 사업

당사는 2018 2월부터 음악 산업계 최상위 수준의 제작사들로부터 확보한 유통권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트와이스, ITZY, 스트레이 키즈 등이 전속되어 있는 제이와이피엔터테인먼트, 싸이, 크러쉬 등이 소속된 피네이션, 그리고 최근 루시, 빌리 등이 소속된 미스틱스토리 등과의 음악 유통 사업 추진과 더불어 주식회사 비욘드 뮤직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음악 콘텐츠 IP 투자 및 음반, 음원 유통권을 확보하는 등 유관사업과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1. MD사업

다수의 엔터사들과 협업하며 국내뿐 아니라 당사 일본법인을 통해 일본시장에 진출하여 다양한 MD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키오스크와 온라인 시스템을 연동하여 재고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결제 수단을 지원하여 국내외로 다양한 구매층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영웅 IP를 활용한 응원봉, 부가상품, 시즌그리팅 등을 제조하여 소비층 저변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하이브에서 제작한 소속 아티스트들의 포토북 유통을 통해 매출 증대와 신규 사업 확장에 힘쓰고 있습니다.

 

2. 공연 사업

당사는 내실 있는 아티스트와 콘텐츠를 보유한 파트너사(빅플래닛메이드엔터, 미스틱스토리, 브랜뉴뮤직, 리짐, 볼륨유닛, 그레이트엠 등)와 협력을 통해 공연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팬덤형 아티스트와 대중성 있는 아티스트, 그리고 K-POP 아이돌, 밴드, 힙합,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기획/제작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딩고뮤직 등과 같은 음악 콘텐츠를 보유한 파트너사(메이크어스)와의 협업으로 공연 IP를 개발/제작하고 있으며, 신해철 트리뷰트콘서트 '마왕 10th : 고스트 스테이지'를 공동기획하여 공연 분야의 전문성 강화와 더불어 IP의 가치를 높이는 비즈니스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라이브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작해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지속적이고 차별화된 사업 성장을 위해 콘텐츠 기획/제작, 투자, 국내/외 공연, 매니지먼트 등을 통한 밸류 체인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3. 디바이스 사업

아스텔앤컨은 휴대용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높은 브랜드 지위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혁신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인을 통해 출시하는 모델의 다수가 iF, Red Dot 디자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특히 2022년과 2023 2년 연속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최고 상인 Gold를 수상하고.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2(Reddot Design Award 2022)수상하며 그 저력을 빛내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높은 명성을 자랑하는 '왓 하이파이 어워드 최고 휴대용 재생기기 2024 (What Hi-Fi Awards 2024 Best Portable Music Player)' 및 다수의 '왓 하이파이' 5 stars(What Hi-Fi Awards 5 stars)를 수상하며, 아스텔앤컨은 전 세계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당사는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가격 대비 고성능 효율 및 타사 대비 기술 격차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압도적인 오디오 기술을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구성하여 시장 리딩 브랜드의 자리를 지켜 나갈 것입니다.


[모빌리티사업]
1.
티맵모빌리티
. 산업의 특성
1
세대 모빌리티 서비스로 일컬어지는 Ride Sharing/Hailing은 이미 보편화 되어 주요 도시 내 침투율이 70%를 상회하여 생활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동 전 플랫폼을 통해 경로와 이동 수단을 탐색하고 결제하여 이동하는 Scene이 자연스러운 이동의 패턴으로 자리 잡았으며, 주요 플랫폼사들은 버스, 렌터카,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이동 수단을 확대하면서 통합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사람의 이동 뿐만 아니라 사물의 이동 또한 이와 유사한 패턴으로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가 도입되어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이동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들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어 모빌리티 플랫폼사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사람과 사물의 이동을 넘어서 이동을 활용하거나 이동과 관련된 배달, 장소 예약 등 모빌리티 인접 서비스가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편입되고 있으며, 이동을 넘어 금융 등 이종 산업 간의 시너지 또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어, 모빌리티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성장성
국내 모빌리티 시장 규모는 약 130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동 서비스가 약 31조원, 사물의 이동이 약 37조원, 차량 관리 관련 서비스가 약 63조원으로 규모 측면에서는 매우 큰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성장 전망치는 조사 기관마다 수치는 상이하나, 지속 성장에 대한 의견은 동일합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가구당 소비 지출 중 교통이 3(평균 40.1만원, 전체 12.4% 비중)를 차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지속 증가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교통 지출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차량 구입의 경우, 구입에서 렌트와 공유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주유가 EV 충전으로 변화하는 등 다양한 변화 속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혁신과 성장이 진행 중으로, 이러한 흐름에서 티맵모빌리티의 사업 기회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모빌리티 산업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사람과 사물 이동의 수요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는 타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며, 팬데믹 등으로 인해 이동이 제약되는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편입니다.

관련하여,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이동 수요가 제약 및 정체되었던 모빌리티 산업은 엔데믹 이후 이동 수요가 상승 회복하며 꾸준한 성장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계절성 측면에서는 과거에는 명절, 연휴 등 휴일 중심으로 이동 수요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면, 최근에는 여가를 중시하는 경향이 확대됨에 따라서 평일의 이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는 Ride Hailing/Sharing 서비스에 다양한 교통수단을 추가하는 패턴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후 배달, 물류 등 인접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여 Multi-BM을 갖추고, 최근에는 여러 서비스를 엮어 구독 서비스를 내놓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내도 유사한 흐름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티맵모빌리티는 Multi-BM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플랫폼사로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티맵모빌리티는 국내 1위 내비게이션 TMAP을 기반으로 크게 3가지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지난 20여년간 내비게이션 및 지도 사업의 막대한 이동 Data를 기반으로 한 Mobility Data & Tech 사업 영역입니다. 실제 이동 Data를 활용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어디갈까'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취향과 패턴, 상황 등을 고려한 최적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량 탑재형 TMAP TMAP AUTO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행습관 점수에 따라 보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UBI 사업을 국내 최초로 시작하여 현재는 국내 99% 이상의 보험사와 협업하고, 이동 Data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API/Data 사업을 통해 국내 물류/유통사업자 뿐만 아니라 Global named 사업자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TMAP의 데이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이동 Data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성, 접합성 측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Mobility Data & Tech 영역은 향후 가파른 성장이 기대되는 영역으로,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로 금융, 커머스 등 고객의 저변을 넓혀 성장을 가속화 할 계획입니다.

두번째, 이동과 이동의 전후 영역까지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Mobility Life 사업 영역입니다. '23.3Q에는 TAMP 하나의 앱을 통해 고객의 모든 이동 니즈가 충족될 수 있도록, 그동안 별도의 앱으로 제공되고 있었던 TMAP 대중교통 서비스를 TMAP으로 통합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다시 부상중인 Micro Mobility, 숙박 및 음식점 예약 등의 분야에서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Mobility Life 사업 영역에서는 주차, EV 충전 등 운전자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여러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 및 고도화 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Data를 기반으로 맞춤 혜택을 제공하는 광고(Ads) 사업 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세번째, 2천만명이 넘는 사용자에서 파생되는 이동 수요를 바탕으로 이동 영역 내 수요-공급 Matching Digital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모빌리티 플랫폼 중개 영역입니다. 티맵모빌리티는 사람의 이동 영역에서는 주로 대리운전 중개 방식을, 사물의 이동 영역에서는 미들마일 화물 중개방식을 적극적으로 DT(Digital Transformation)화 시키고 있습니다. 대리운전은 2023년 본격적인 J커브 성장 구간에 진입하여 급격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미들마일 화물 중개는 전국 단위의 Pricing 체계 구축, Dynamic Pricing, 배차 효율화 등을 통해 시장 점유율 1위를 공고히하고 타 사업자와의 격차를 벌려가고 있습니다. 전 사업 영역에서 추가적인 차별화를 통하여 성장 가속도를 더욱 높여갈 계획입니다.


2. FSK L&S
. 산업의 특성
물류정책기본법 상 물류업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 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 보관, 하역 등과 이에 부과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 조립, 관리 등 제반 업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물류산업에서는 시설과 장비, 인력이 시장 내 경쟁우위 요소였으나, 최근 IT 기술 발달 및 디지털화에 따라 산업간 영역 파괴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플랫폼, Big Data 등을 기반으로, 기존의 노동 집약적 물류 서비스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성장성
최근 물류산업은 단순 용역 제공에서 벗어나 AI, 플랫폼, 로봇 등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물류 Data는 기획·생산·서비스 영역과 연결되어 기업의 주요 경쟁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로 인해 조달·생산·물류에 걸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발생하면서, 물류 가시성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 또한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따라 대한민국을 '물류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통한 글로벌 물류강국'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1~2030 계획에 의하면, 첨단 스마트 기술 기반의 물류시스템, 디지털 전환, 공유연계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철도·공항·항만, 물류거점 등 인프라 확충에도 역점을 둠으로써 물류 산업의 디지털 기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물류서비스는 세계 경기 순환에 따른 물동량 변화에 직접적이고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경쟁의 강도, 세계 및 권역별 경기변동, 선박의 수급, 유가의 변동, 기후, 국제정세 등이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은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물류업체는 M&A를 통해 사업의 규모를 대형화하고 서비스지역과 사업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고객 Needs에 따라 IT플랫폼 등 신기술을 도입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물류 운영 외에 컨설팅, 공급망 물류 최적화 등의 4PL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정 품목 또는 지역을 기반으로 국제물류주선업을 영위하던 기존의 중소 포워더는 물량 및 자금의 영세성, IT 역량의 한계 등으로 경쟁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회사는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및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해 안정적이고 신속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장 출하부터 국제 운송, 도착지 통관, 창고 관리 및 내륙 운송까지 물류 全 영역에 대한 One-Stop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자체 물류 IT 플랫폼인 KEROL을 활용한 공급망 물류의 가시성 및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규모 물동량 기반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타사업]
1.
인크로스
. 산업의 특성
광고 산업은 전통 광고와 디지털 광고로 구분되며, 디지털 광고는 매체 유형에 따라 온라인 광고와 모바일 광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크로스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매체 판매 대행 및 미디어 플래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렙 사업과 동영상 애드 네트워크 '다윈(dawin)' 사업, SK텔레콤과 공동 개발한 AI 기반의 문자 커머스 '티딜(T deal)'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 마인드노크를 통해 검색광고 및 디지털 광고 대행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광고업은 뚜렷한 계절성을 띠고 있으며 경기 변동에 다소 민감한 경향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디지털 광고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접적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하며,광고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광고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 광고비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퍼포먼스 광고가 업계의 화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0년대 들어 모바일 기반의 비대면 콘텐츠 소비 및 구매활동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광고 및 모바일 커머스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최근 디지털 광고시장에서는 빅데이터를 접목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하는 기법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모바일 플랫폼의 확산 및 ICT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디지털 광고시장은 향후에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성장성
2023
년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는 9 21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하였습니다. 디지털 광고의 시장 점유율은 56.4%, 여전히 전체 광고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광고주들의 광고 집행이 보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용 대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퍼포먼스 광고와 검색광고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는 9 3,8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하고, 그 비중 역시 57.1%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T deal
사업이 속한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역시 비대면 쇼핑 수요 증가에 따라 매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연간 온라인 쇼핑 총 거래액은 2022년 대비 8.3% 증가한 227 3,47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모바일 거래액은 167 8,276억 원으로 2022년 대비 7.0% 늘었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 중 모바일 거래의 비중은 73.8%, 앞으로도 모바일 중심의 쇼핑 거래액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광고업은 다른 산업군에 비해 높은 탄력성을 보이는 편입니다. 경기 호황시에는 광고주들이 마케팅 예산을 확대함으로써 광고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하지만, 반면에 불황일 때는 마케팅 예산을 우선적으로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디지털 광고 사업 역시 경기 변동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으나 온라인과 모바일, IPTV 같은 디지털 광고 상품들은 광고효과가 데이터에 기반해서 즉각 리포팅된다는 특성 때문에 TV, 신문, 잡지, 라디오 등의 전통매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력이 적고, 민감도 역시 낮게 나타납니다.
 
. 국내외 시장여건
디지털 광고 시장은 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하나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급속도로 성장해 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디지털 광고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가 등장하고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광고주가 원하는 오디언스에게 정확하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타겟팅 광고 상품의 발달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한편, 최근 대외 경제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으로 광고시장 성장 정체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으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광고주가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캠페인 운영이 가능한 퍼포먼스 마케팅과 검색광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OTT 광고요금제, CTV 광고 등 다양한 신규 광고상품이 등장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전통 광고의 높은 주목도와 디지털 광고의 효율성을 겸비한 신규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동영상 광고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영업개황 및 경쟁력
당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24 3분기 누적 매출액 317억원, 영업이익 67억원, 당기순이익 7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6.2%, 29.4%, 25.0% 감소하였습니다. 2024 3분기 주요 사업부별 매출은 미디어렙 211억원, 티딜 운영 48억원, 검색광고 등은 58억원을 기록했으며 매출 비중은 각각 66.6%, 15.0%, 18.4% 입니다.

최근 디지털 광고시장에서 비용 대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퍼포먼스 마케팅과 효율적인 광고 운영이 가능한 검색광고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에 2022년 자회사 마인드노크를 통해 검색광고 시장에 진출한 당사는 자회사가 보유한 광고 솔루션을 기반으로 디지털 광고 기술력을 강화하고, 광고 기획, 제작 등 광고대행 역량을 확보하며 시장 경쟁력을 높여왔습니다. 향후 디지털 옥외광고 등 다양한 신규 디지털 매체사업을 추진하여 광고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T deal
사업은 2020년 출시 이후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SK텔레콤의 고도화된 AI 기술과 인크로스의 탁월한 운영 역량 및 AI 기술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주요 자회사>
[SK 하이닉스]

당사는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본사를 거점으로 4개의 생산기지와 3개의 연구개발법인 및 미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입니다.

당사 및 당사의 종속기업의 주력 제품은 DRAM NAND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Fab(S1, M10 일부)을 활용하여 시스템 반도체인 CIS(CMOS Image Sensor)생산과 파운드리(Foundry)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로 구분되고,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휘발성(Volatile)' '비휘발성(Non-volatile)'으로 분류됩니다. 휘발성 메모리 제품은 전원이 끊어지면 정보가 지워지는 반면, 비휘발성 제품은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정보가 계속 남아 있습니다. 당사는 휘발성 메모리인 DRAM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NAND Flash를 주력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생산시설은 국내와 중국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 소재한 Fab DRAM을 생산하는 M16, M14, M10(이천) NAND를 생산하는 M11, M12, M15(청주) M14(이천)이 있습니다. 이 중 M16 2021 2월 준공을 완료한 최신 Fab이며, M14 DRAM NAND를 혼용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소재한 Fab으로는 DRAM을 생산하는 C2, C2F(중국 장쑤성 우시)와 파운드리를 하는 S1이 있습니다. 또한, 인텔의 Non-Volatile Memory Solutions Group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NAND 사업 부문 전체의 인수 1단계 절차를 완료하면서, NAND를 생산하는 중국 다롄에 위치한 Dalian Fab이 있습니다.

당사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24 3분기(누계) 46 4,25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기타 참고사항

. 상표 관리 정책
당사는 PR, 브랜드 영역에서 통합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함으로써 SK스퀘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내용을 SK스퀘어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외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 사업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SK스퀘어]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종속회사>
[11
번가]
당사는 국내에서 등록 특허권 191, 등록 디자인권11, 등록 상표권 569, 저작권 5건 등(이상 타사와의 공동 소유 포함)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등 등록 
특허45(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 등 기타 국가에도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K플래닛]
당사는 국내에서 등록 특허권 1,820, 등록 디자인권 38, 등록 상표권 505, 저작권 4건 등(이상 타사와의 공동 소유 포함)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등록 특허 244, 중국 등록 특허 110, 일본 등록 특허 50, 유럽 등록 특허 47(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 및 해외 등록상표권 118건 등 기타 국가에도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원스토어]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63(타사와 공동소유 5건 포함), 해외 등록특허 4, 국내등록상표 167건 및 해외 등록 상표 76, 해외 출원상표 24(24 10 24일 기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드림어스컴퍼니]
- 해당 사항 없음

[티맵모빌리티]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167, 해외 등록특허 21(타사와 공동소유 포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57건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FSK L&S]
- 해당 사항 없음

[인크로스]

구분 명칭 / 등록번호 등록일
특허 가입자기반 서비스 환경에서의 소셜그래프 구축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관계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한 소셜 네트워크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2015.04.21
어플리케이션 배포 중계 서버 및 통신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중계 방법 2015.07.13
가입자기반 서비스 환경에서의 소셜그래프 구축을 위해 마켓 플랫폼과 콘텐츠 플랫폼에서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관계를 추적하여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관계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2015.07.10
정보수집서버 2016.11.01
상표권 41-0089772 (35) 2010.04.21
41-0089773 (42) 2010.08.03
41-0090754 (35) 2003.09.19
41-0090755 (42) 2003.09.19
41-0313011 (35) 2015.02.13
41-0287628 (35) 2014.05.07
41-0287656 (35) 2014.05.07
41-0287649 (35) 2014.05.07
41-0376790 (35) 2016.11.04
41-0376791 (35) 2016.11.04
41-0376792 (35) 2016.11.04
41-0376793 (35) 2016.11.04
45-0038221 (9, 35 42) 2012.02.03
45-0038920 (9, 35 42) 2012.03.09
18393533 (중국) 2016.12.28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2024 9 30일 기준 현재 당사는 총 19,439건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등록 권리는 해마다 증가하나, 존속기간 만료 또는 기 등록된 권리의 평가를 통해 포기된 권리로 인해 그 수치가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당사 지식재산권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전담 조직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당해 전문인력은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사후관리 및 분쟁 대응을 포함한 관련 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허권 및 상표권은 각국 특허법 및 상표법에 근거하여 보호됩니다.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고, 상표권은 등록일로부터 10년이며 상표권은 갱신등록절차를 통해 존속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 관련 법률 및 규정 등
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입니다(공정거래법 제2조 제7, 동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및 제2).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공정거래법 제18조 제2).

 
또한 당사가 속한 SK그룹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자 상호출자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입니다(공정거래법 제31조 제1, 동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및 제2). 당사는 공정거래법에 따라 특수관계인 관련 거래에 관한 공시의무 등을 부담하고, 계열회사에 대한 상호출자금지, 채무보증금지 등의 행위제한 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공정거래법 제21조 내지 제30).

. 사업과 관련한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SK스퀘어]
당사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중장기적 ESG 전략과 투자사들에 대한 ESG,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를 고려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영향 저감에 대한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
[11
번가]
-해당 사항 없음

[SK플래닛]
-
해당 사항 없음

[원스토어]
-
해당 사항 없음

[드림어스컴퍼니]
-해당 사항 없음

[티맵모빌리티]
티맵모빌리티는 운전자들에게 빠른길을 안내함으로써 길거리를 배회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과속, 급가속,  급감속을 줄이는 안전운전을 유도해 사고율을 줄여왔습니다. 지난 5년간 티맵모빌리티가 창출해낸 사회적 가치를 재무적으로 환산하면 약 6,572억원 (안전운전특약 가입자 x 사고감소율 x 교통사고 피해 처리비용) 정도로 추산되며, 저감된 온실가스 (CO2) 배출량은 지난 8년간 8885,726ton (운전습관 + 최적경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FSK L&S]
-해당 사항 없음

[인크로스]
-
해당 사항 없음

<주요 자회사>
[SK하이닉스]

(1) SHE(Safety, Health, Environment) 경영시스템 인증

당사는 국제 인증규격인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과 국내 인증규격인 KOSHA MS(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취득하여 유지관리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SHE 경영활동의 객관성 확보 및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SHE 담당 조직에서는 내부심사원을 양성하여 기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보건환경 영향요인을 모니터링하고, 국내외 인증규격에 따라 선행적/체계적인 SHE 경영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안전보건 및 환경 분야의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며,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2) 기후변화 협약 대응

당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유무형의 위험과 기회 관리를 위해 기후변화 관련 규제를 준수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및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고객 및 정부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환경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사적 수준의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Net Zero
달성을 위한 노력]

당사는 탄소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공정가스 배출량 저감, 에너지 효율 제고 등 온실가스 직간접 배출량(Scope1,2) 감축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가치사슬 배출량(Scope3)에 대한 배출량 산정방식을 개선하고 협력사 참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한 세부 로드맵과 이행 방안을 고도화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당사의 노력과 세부 실천 방안을 이해관계자와 투명하게 소통해 나갈 예정입니다.

[RE100(Renewable Energy 100) 선언]

당사는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를 통해 Net Zero 달성 및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기여하고자 합니다. 2020 RE100 선언을 통해 2050년까지 글로벌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약속하였으며, 이를 위한 중간 목표로 2030년 재생에너지 33% 사용을 공표한 바 있습니다. 성공적인 재생에너지 조달을 위해서는 국가별 정책/제도 및 조달 인프라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기반한 국가별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탄소관리위원회를 운영하여 2050 Net Zero 계획 및 정부 에너지 정책과 연계한 중장기 RE100 이행 전략과 재생에너지 조달 방안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 2월에는 태양광 직접전력거래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을 당사 최초로 체결하는 등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조달 기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재생에너지 생태계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을 확대해 RE100 이행 수단을 점진적으로 다변화하여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실행력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습니다.

RE100: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조달하겠다는 선언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응]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각 기업에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권을 부여하고 기업들은 시장원리에 의해 형성된 배출권 가격을 토대로 각 기업별 한계저감비용에 따라 배출권을 매입하거나 매도하는 제도입니다. 당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4 9 12일 배출권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되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으로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저감 장치(스크러버) 측정 기술을 개발/운영하여 배출량 저감을 유도하고, 배출권 거래를 포함한 배출권 관리/감축 등의 전사 TF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24조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는 명세서 기재 내용을 기준으로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4,784,211 CO2e (tCO2e)입니다.


[CDP(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 탄소경영 최우수기업 명예의 전당 10년차 유지]
당사는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가 선정하는 탄소경영최우수 그룹인 '탄소경영 글로벌 리더스 클럽' 5년 연속 편입되어 국내 최초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이후 명예의 전당 10년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당사의 최근 3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2023(76) 2022(75) 2021(74)
온실가스 배출량(tCO2-eq) 4,784,211 4,979,251 4,388,175
에너지 사용량(TJ) 94,552 98,028 87,063

※ 대상은 국내 사업장 기준이며, 정부에 신고된 당사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정부의 배출량 적합성 평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3) 친환경 제품 및 사업장 구축을 위한 노력


[
화학물질 전과정 평가를 위한 SHE CHEMs 운영]

당사는 국내외 법규 및 협약을 기반으로 자체규제물질을 설정하고 화학물질 입고 관리 시스템 'SHE CHEMs(SHE Chemical Hazard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을 운영함으로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사후 관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MSDS, 화학물질보증서, LoC 와 같은 문서들을 안전/보건/환경 각 분야의 전문가가 검토를 진행하며 모든 분야의 검토가 완료된 화학물질만 당사 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당사는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위하여 당사의 화학물질 정책이 담긴 SK hynix RSC(Regulated Substances for Chemical management)를 발간하였으며, 매년 화학물질 공급사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물발자국/탄소성적/ZWTL인증/순환자원인정]

당사는 매년 DRAM NAND Flash 메모리의 주요 제품에 대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13년 환경부로부터 20나노급 4G DDR3 제품에 대하여 업계 최초 환경 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4년에는 20나노급 64Gb NAND Flash 제품까지 인증을 확대 하는 등 지속적으로 LCA 평가결과에 대한 제3자 인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국내 최초로 20나노급 4Gb DDR3 제품에 대하여 미국 UL社로부터 물발자국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환경부로부터 당사가 생산하는 10나노급 8Gb LPDDR3 제품에 대하여 업계 최초 물발자국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9년에는 10나노급 8Gb LPDDR4 DRAM 제품에 대하여 2021년에는 10나노급 6Gb LPDDR4 DRAM 제품과 3D-V4 NAND Flash 256Gb TLC 제품에 대한 물발자국, 탄소발자국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해외 카본트러스트 탄소발자국 인증을 완료하였으며, 2024년에도 10나노급 16Gb DDR5 DRAM 제품과 NAND Flash 512Gb TLC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및 물발자국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는 등 지속적으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탄소중립을 지원하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설립한 탄소감축인증센터 감축인증 표준 절차에 따라 HBM 제품과 eSSD 제품에 대해 탄소감축성과 크레디트를 인증받아 자발적 탄소감축시장(VCM)에도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2018년 국내 기업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화(ZWTL)'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9년에는 중국 사업장을 포함하여, 전사업장 인증 획득을 완료하였습니다. 2021년 국내 사업장 및 우시 사업장의 경우 '폐기물 매립 제로화(ZWTL)' Gold 등급(재활용률 95% 이상), 충칭 사업장은 Silver 등급(재활용률 90% 이상)을 획득하였습니다. 2022년의 경우 폐기물 재활용 Item 적용을 통해 국내 사업장은 ZWTL 최고 등급인 Platinum 등급(재활용률 100%)을 획득, 2023년에도 Platinum 등급 재인증을 받았으며, 우시 사업장도 2023 Platinum 등급을 획득하여 선도적인 폐기물 관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정부의 폐기물 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2019 '순환자원인정제도'를 대기업 최초로 적용하였으며, 폐기되는 IC-Tray를 자원화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여 '순환자원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Wafer, Wafer Carrier, Target 등 총 5종의 순환자원 인증 품목을 추가하였습니다. 회사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인증을 확대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친환경 정보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4) 기타 환경보호 정책

2009
5, 환경경영에 대한 투명성 및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대표적 NGO인 환경 운동연합 및 환경경영 전문가로 환경경영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당사 환경경영 성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여 환경경영검증위원회 보고서를 발행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는 검증위원회를 자문위원회로 변경, 환경경영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당사의 전반적인 환경경영 및 환경전략 관련 의견을 수렴하여 경영활동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년도에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산업보건검증위원회를 발족하여 당사의 작업환경 및 복지제도 등 보건 분야 진단을 통해 127개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추진하였습니다. 2017 11월부터 산업보건 검증위원회 주관 하에 각 개선과제에 대한 이행수준을 평가하였고 검증결과보고서를 2018 8월에 최종 수취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선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보건 선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7 6 'SK하이닉스 산업보건 선진화지속위원회'를 발족하였습니다. 현재 선진화의 핵심 가치인 '구성원의 건강, 안전한 환경, 정의로운 사회를 조화롭고 지속적으로 추구'의 취지에 맞게 건강-환경-정의 분과 별 세부 과제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주가 전망 2025 | 반도체·ICT 투자 성장성 분석
SK스퀘어 주식, 지금이 매수 기회일까? 실적·배당·목표 주가 정리
SK스퀘어 주가 하락 이유와 반등 가능성 | 장기 투자 전략은?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SK스퀘어 주가, 앞으로의 전망은? SK하이닉스와의 연관성 분석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텔레콤 주가 sk하이닉스 주가 sk바이오팜 주가 엘지전자 주가 sk케미칼 주가 skt 주가 삼성전자 주가 삼성전기 주가 sk텔레콤 sk스퀘어 주가 전망 기아차 주가 엘지화학 주가 sk스퀘어 배당금 엘지이노텍 주가 현대차 주가 삼성전자우 주가 삼성sds 주가 ls일렉트릭 주가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전망
sk스퀘어 배당금
sk스퀘어 지배구조
스퀘어에닉스 주가
sk스퀘어 채용
sk스퀘어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sk하이닉스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실적 분석 ❘ 반도체·핀테크·AI 투자와 주가 영향 목표 주가 전망 배당금 지배구조 채용 배당금 지급일 주식 마켓 실적 발표 매출일

 


sk스퀘어 배당
SK텔레콤 주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