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산업의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주조/단조부터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및 연료전지 등 신재생 관련 기자재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발전설비 제작 및 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원전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 증기발생기, 냉각펌프 등과 핵연료 취급 설비, 핵연료 운반 용기(Cask) 및 원자로 계통 보조기기의 대부분을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고, 국내외 화력발전소에 핵심 주기기인 스팀 터빈, 가스 터빈 등을 제작/공급하고 있으며, 해수담수화의 다단증발법(MSF), 다중효용증발법(MED) 및 역삼투압법(RO) 세가지 프로세스 기술의 턴키방식으로 담수화플랜트를 공급하고있습니다. 플랜트의 설계에서 기자재 제작, 설치, 시공, 시운전까지의 전 과정을 일괄수행하는 EPC 사업과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수한 주조 및 단조 설비/ 역량을 바탕으로 발전설비 소재를 비롯 선박, 제철, 금형공구강 및 각종 산업설비용 대형 주단조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대형 가스터빈, 풍력, 태양광, 수소, 연료전지 등과 같은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 밖에 농업/조경용 소형장비, 이동식 전기 및 공압 생산장비, 지게차 제품군 산업차량에 대해 국내, 북미와 유럽에 주요시설을 두고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 부문별 사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7. 기타 참고사항'의 '가. 연결기업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현황', '나. 업계의 현황' 그리고 '다. 영업개황'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24년 반기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매출액은3,477,540백만원,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포함한 재무연결 기준 매출액은 8,248,354 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주요상표등 | 제62기 반기 | |
매출액 | 비율 | |||||
두산에너빌리티 | 제품 공사 |
NSSS, BOP, Turbine, 담수/수처리 설비, 주단조품, 플랜트설비 설치공사 등 |
발전설비, 담수설비, 건설 등 | 두산에너빌리티 | 3,477,540 | 42.16% |
두산밥캣 | 제품 | Compact 건설기계, Portable Power, 산업차량 등 |
CTL, MEX, Air Compressor, Generators 등 | Bobcat | 4,630,993 | 56.14% |
두산퓨얼셀 | 제품 용역 |
연료전지 주기기, 장기유지보수서비스 | 발전설비 | 두산퓨얼셀 | 118,179 | 1.43% |
기타 | 레저 등 | 회원제 골프장(27홀), 위탁운영업 등 | 골프운동시설, 골프장, 기숙사, 식당 위탁운영 등 |
두산큐벡스, 라데나골프클럽 |
21,642 | 0.27% |
합 계 | 8,248,354 | 100.00% |
※ 상기 매출액은 연결조정금액을 반영한 각 부문별 순매출액 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목 | 구분 | 제62기 반기 (2024년) |
제61기 (2023년) |
제60기 (2022년) |
비 고 |
두산에너빌리티 | 화력 BLR(주1) | - | - | 193 | 193 | 국내 한국전력공사 주기기 기준 단위 : USD/KW |
화력 T/G | - | 184 | 187 | 133 | ||
원자력 NSSS | - | 501 | 501 | 501 | ||
담수설비 | - | 7 / 3.5 | 7 / 3.5 | 7 / 3.5 | 단위 : USD/GALLON | |
주단조품(금형공구강 포함) | - | 5,093 | 4,830 | 4,269 | 단위 : 원/KG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S590 | 55 | 55 | 51 | 단위: 백만원/대 |
Portable Power 대표기종 | 대표기종(주2) | 232 | 228 | 228 | ||
산업차량(지게차 대표기종) (주3) |
소형 | 37 | 34 | 33 | ||
중형 | 81 | 76 | 70 | |||
대형 | 157 | 157 | 151 |
(주1) BLR(보일러) 사업은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24년 1분기부터 실적 미반영 (주2) Portable Power 대표 기종 : PA1170WCAT (주3) 지게차 대표 기종 : 소형(1~3톤) D30S-7, 중형(4~9톤) D70S-7, 대형(10톤~) D160S-7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1) 산출기준
- 당사 각 부문의 상기 제품은 단순평균가격으로 산출하며 해당연도 수주실적이 없는 경우 전년도 가격을 적용하였습니다.
* 발전설비는 계약금액을 총용량으로 나누어 산출
* 담수설비는 MSF / RO Type 담수플랜트에서 처리단가를 Gallon당 USD로 환산함
* 주단조품은 품목별 단순평균가격으로 산출
- 두산밥캣 부문은 국내 표준사양 가격 기준 및 해당 모델 최종 소비자가격
(권장소비자가격) 기준으로 산출을 합니다.
(2) 주요 가격변동원인
- 발전/담수설비 제품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이 크지 않으나, 환율, 유가, 원자재 가격 및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발주 사양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다만, 최근 러-우 전쟁, 이-팔 전쟁 등 지정학적 이슈로 인해 일시적인 운송료 등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 주단조품(금형공구강 포함)은 원자재 가격 변동 및 시장의 여건에 따라 다소
변동 폭이 있습니다.
- 정부 공사의 경우, 설계 변동성이 적으나 발주처의 요구사향을 고려한 플랜트 설계 적용으로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며, 민자발주 방식의 프로젝트에서는
발전 Plant 공급사와의 설계 조합 및 민간 발주사의 가격 산출 방식에 따라 전체
Plant의 가격이 변동됩니다.
- 두산밥캣 부문의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산업차량은 물가 인상분
(원자재, 운송비, 인건비, 창고임대료 등) 반영에 따라 변동됩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는 주로 발주처(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 특수목적법인(SPC) 등)가 진행하는 경쟁입찰 과정을 통하여 공급가격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통상적인 제품단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두산퓨얼셀㈜ 은 경쟁입찰 시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상시적으로 생산성 극대화 및 원가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세부 계약조건, 원자재 가격 및 시장 여건 등에 따라 공급가격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제62기 반기 | |
매입액 | 비율 | ||||
두산에너빌리티㈜ | 자재 및 외주비 | 철판류, 외주비 외 | 발전설비. 담수설비 제작 등 | 1,198,806 | 94.36% |
두산퓨얼셀㈜ | 원재료 | MBOP, EBOP, 셀스택류 외 |
연료전지 주기기 제작 | 71,682 | 5.64% |
합 계 | 1,270,488 | 100.00%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단위 : 내용참조) |
품 목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산출기준 | |
철판(원/KG당) -SS400/SM400 기준 |
국내 | 975 | 1,174 | 1,172 | (주1) |
해외 | - | - | - | ||
환봉(원/KG당) -SS400 기준 |
국내 | 1,263 | 1,320 | 1,377 | (주1) |
해외 | - | - | - | ||
형강류 (원/KG당) -SS400 기준 |
국내 | 1,079 | 1,253 | 1,278 | (주1) |
해외 | - | - | - | ||
PIPE (원,USD/KG당) [SGPW/A106B] |
국내 | 2,100 | 2,170 | 2,238 | (주1) |
해외 | 2 | 2 | - | ||
TUBE(원,USD/KG당) -T12 기준 |
국내 | 3,370 | 3,373 | 3,486 | (주1) |
해외 | 3 | 3 | - | ||
알루미늄 (원,USD/KG당) | 국내 | 2,912 | 2,630 | 2,719 | (주1) |
해외 | 2 | 2 | - | ||
고철 MA (원/KG당) | 국내 | 507 | 569 | 605 | (주1) |
해외 | - | - | - | ||
FE-MO (원/KG당) | 국내 | 39,652 | 36,390 | 35,110 | (주1) |
해외 | - | - | - | ||
FE-V (원/KG당) | 국내 | 27,015 | 35,959 | 35,335 | (주1) |
해외 | - | - | - | ||
NICKEL (원/KG당) | 국내 | 25,318 | 30,480 | 34,611 | (주1) |
해외 | - | - | - | ||
Hydraulics & Powertrain (USD/개) | 해외 | 1,119 | 1,142 | 1,142 | (주2) |
Steel & Weldment (USD/개) | 해외 | 695 | 700 | 800 | (주2) |
Petrochemical (USD/개) | 해외 | 1,053 | 1,087 | 1,270 | (주2)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1) 산출기준
(주1) 상기 재료의 단순평균 구입가격 혹은 공시가격 인상률을 반영한 조정가격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주2) 미국 기준이며, 원재료 별 대표 부품 품목에 대한 가격입니다. 부품별 대표매입처 구매계약가격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다음은 주요 원재료 별 대표 부품 품목입니다.
- Hydraulics & Powertrain : Motor Drive
- Steel & Weldment : Flat Coil 0.5000" NOM/60.0"/MS254
- Petrochemical : Track Rubber 450x60
(2) 주요 가격변동원인
2024년 반기는 미국 기준금리 방향성의 불확실성에 따른 철강경기 불확실성 심화 및 경기둔화의 우려 속에 시장이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철판 : 전방산업 수요침체에 따른 철강 수요회복 기대감 하락 및 중국 저가물량
유입에 따른 약보합 장세가 만들어졌습니다.
- 봉/형강류 : 철강수요 회복기대감 하락 및 국내 건설경기 부진, 유통사들의
현금유동성 확보를 위한 저가판매 기조에 따라 약보합세 모습을
보였습니다.
- PIPE/TUBE : 중국 양회에서 구체적인 경기부양책이 제시되지 못함에 따라 시장
기대감이 하락하였으며, 당분간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약보합세 모습을 보였습니다.
- 알루미늄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의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구리, 니켈 거래금지 제재 이후 수급문제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 고철 : 국내 고철 발생량 급감에도 철강경기둔화에 따른 수요부진에 따른 불황형
수급안정의 모습으로 약세장이 만들어졌습니다.
- Fe-Mo : 광산 생산차질로 인한 원료수급 및 국내 최대 Mo류 생산업체인
세아M&S 사고로 인한 수급상황 악화의 영향으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 Fe-V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으로 팔리지 않은 장기계약물량이 시장에 나오면서
약세장이 형성되었습니다.
- Nickel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의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구리, 니켈 거래금지 제재 이후 수급문제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공시대상기간 중 사업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재료의 가격변동은 없었습니다. 연료전지 1대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기준으로 2024년 평균 MBOP 가격은 전년대비 0.7% 상승하였고, EBOP 가격은 0.9% 상승하였으며, 셀스택류 가격은 1% 하락하였습니다. 원재료 가격은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거래물량 규모 등에 따라 변동되며, 당사는 생산 내재화 추진, Supply Chain 개선, 자재 국산화 및 내재화, 공급망 다각화 등을 통해 원가절감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능력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원자로, 증기발생기 | 국내 | 3,500 | 7,000 | 7,000 | 단위 : MW |
보일러 | 국내 | - | 3,500 | 3,500 | ||
해외 | - | 3,791 | 3,791 | |||
스팀터빈 | 국내 | 3,000 | 6,000 | 6,000 | ||
해외 | 492 | 853 | 1,380 | |||
가스터빈 | 국내 | 1,520 | 2,700 | 2,700 | ||
발전기 | 국내 | 4,500 | 9,000 | 9,000 | ||
BOP | 국내 | 1,750 | 3,500 | 3,500 | ||
풍력터빈 기자재 | 국내 | 56 | 111 | 111 | ||
담수설비(MSF) | 해외 | 6.0 | 6.0 | 6.0 | 단위 : 기 | |
담수설비(RO Rack, Pipe) | 해외 | 5,000 | 10,000 | 10,000 | 단위 : 톤 | |
운반설비(RMQC/ RTGC)(주1) | 해외 | 6 / 30 | 6 / 30 | 6 / 30 | 단위 : 기 | |
주조품 | 국내 | 11,000 | 22,000 | 22,000 | 단위 : 톤 | |
단조품/특수강 | 국내 | 72,150 | 144,300 | 144,300 | ||
플랜트, 토목 및 건축 건설 | 국내 | 31,225억원 (14 위) |
10,052억원 (42위) |
20,142억원 (22위) |
-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해외 | 62,300 | 120,200 | 119,600 | 단위 : 대 |
Portable Power | 해외 | 10,400 | 20,200 | 20,200 | ||
산업차량 | 해외 | 13,104 | 25,592 | 24,353 | ||
국내 | 2,178 | 4,668 | 5,244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익산 | 66.0 | 232.0 | 133.0 | 단위 : MW |
(주1) 운반설비를 RMQC와 RTGC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연간 생산능력 기준임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별도의 산출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반기 생산능력이 연중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연간생산능력을 경과한 사업기간에 비례하여 산출하였습니다.
1) 원자로, 증기발생기
① 기준용량: 1,400MW/호기(경수로형)
② 연간생산능력: 1,400MW/호기(경수로기준) x 5호기 x 2/4= 3,500MW
2) 보일러
① 기준용량: 5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베트남 연간생산능력 500MW/호기 x 4호기 x 2/4 = 1,000MW
인도 연간생산능력: 1,791MW x 2/4 = 896MW
※ BLR(보일러) 국내 사업은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당기부터 실적 미반영
3) 스팀터빈
① 기준용량: 1,0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국내 연간생산능력: 화력발전용 1,000MW/호기 x 6호기 x 2/4 = 3,000MW
(TBN Rotor Slotting 정삭가공 공정 기준으로 산정)
4) 가스터빈
① 기준용량 : 380MW/호기
② 연간생산능력 : 380MW/호기 x 8호기 x 2/4 = 1,520MW(조립 Stand 기준)
5) 발전기
① 기준용량: 1,0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연간생산능력 : 화력발전용 1,000MW/호기 x 9호기 x 2/4 = 4,500MW
(TBN Rotor Slotting 정삭가공 공정 기준으로 산정)
6) BOP
- 각 제품별로 용량이 상이하여 산출이 어려우나, 당사 공급 보일러와 같은
용량을 생산할 수 있다고 보이므로 보일러 생산능력과 동일하게 산출함
7) 풍력
- 기준용량 : 5.56MW/기 (당사 대표 해상풍력 모델 - WinDS5500)
- 연간생산능력 : 5.56MW x 20기 x 2/4 = 56MW
당사 대표적인 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5500(5.56MW)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육상/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3300(3.3MW)은 연간 33기를 제작 가능함 ('21년부터 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5500울 생산함)
8) 담수/수처리설비
- 담수/수처리설비는 기술에 따른 제품의 성격이 각각 상이하며, 제품(업종)별로 단위 설비의 용량 및 생산능력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기술별 생산능력을 일률적으로 계량화하기가 곤란하나 담수플랜트 대표적인 설비인 MSF 증발기와 RO Rack, Pipe 기준으로 Doosan Enerbility Vietnam Co., Ltd.에서 생산 가능한 호기/중량으로 산출함.('13년 이후 Water Shop 해외 이전에 따라 Doosan Enerbility Vietnam Co., Ltd.에서만 생산)
- 담수설비 (MSF)
① 기준용량 : 20 MIGD/호기
② 연간생산능력 : 20 MIGD x 6호기 = 120 MIGD (MSF 담수플랜트)
- 담수설비 (RO Rack, Pipe)
① 연간생산능력 : 10,000톤 = 300 MIGD (RO 담수플랜트)
9) 운반설비
- 연간 RMQC-6기, RTGC-30기 기준
- 운반설비는 RMQC, RTGC의 연간 생산능력임
10) 주단조품
① 주조품 : 연간 최대 조형생산중량(톤)
② 단조품/특수강 : 연간 최대 단조프레스 생산중량(톤)
11) 건설 부문
- 두산에너빌리티 건설부문은 2024년 7월 대한건설협회 토건업종 시공능령평가액 및 순위를 적용하였습니다. 괄호( )는 시공능력 순위임.
12) 두산밥캣 부문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각 공장별 연간 표준작업시간 및 가동형태(2교대, 3교대)등의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주공장이 아닌 Attachment 및 특수장비는 제외함.
13) 두산퓨얼셀 부문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일평균생산량 x 연간 가동일 수
② 기준용량(연료전지 Model 400) : 0.44MW/대
(2) 생산실적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보일러, 터빈, 원자력주기기 등 |
국내 | 118,706 | 227,895 | 312,938 | 단위 : M/H |
해외 | 455,678 | 1,370,212 | 1,352,823 | |||
소계 | 574,384 | 1,598,107 | 1,665,761 | |||
주조품, 단조품 금형공구강 |
국내 | 58,686 | 118,195 | 101,992 | 단위 : 톤 | |
해외 | - | - | - | |||
소계 | 58,686 | 118,195 | 101,992 | |||
소계 | 633,070 | 1,716,302 | 1,767,753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해외 | 47,600 | 99,800 | 89,100 | 단위 : 대 |
Portable Power | 해외 | 3,000 | 6,900 | 5,500 | ||
산업차량 | 국내 | 8,095 | 21,423 | 23,036 | ||
해외 | 1,808 | 4,111 | 4,602 | |||
소계 | 60,503 | 132,234 | 122,238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국내 | 52.6 | 89.7 | 115.7 | 단위 : MW |
소계 | 52.6 | 89.7 | 115.7 |
※ 생산실적 : 공장별 직영인원의 누계 생산실적 - 발전설비 : 국내 창원공장 및 해외공장의 생산실적 합계 - BLR(보일러) 사업 :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당분기부터 실적 미반영 - 주단제품 : 국내외 주단조공장 생산중량임(단조프레스+조형 중량 기준) ※ 두산밥캣㈜ 의 경우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외주생산(OEM)을 통해 공급받고 있고, 주 공장이 아닌 Attachment 및 특수장비는 제외. Compact Equipment 내, 기존의 Skid Steer Loader, Compact Track Loader, Mini Excavator, Telescopic Handler, Backhoe Loader에 추가로 Mover가 포함 |
(3)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목 | 당기생산능력 | 당기생산실적 | 평균가동률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보일러,터빈,원자력 등 | 835,717 | 574,384 | 68.7% | 단위 : M/H |
주조품,단조품,금형공구강 | 83,150 | 58,686 | 70.6% | 단위 : 톤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해외) | 62,300 | 47,600 | 76.4% | 단위 : 대 |
Portable Power(해외) | 10,400 | 3,000 | 28.8% | ||
산업차량(국내) | 13,104 | 8,095 | 61.8% | ||
산업차량(해외) | 2,178 | 1,808 | 83.0%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66.0 | 52.6 | 79.7% | 단위 : MW |
※ 평균가동율 = 해당기간생산실적 ÷ 해당기간생산능력 |
※ 주단제품의 당기생산능력은 당해 사업연도 근무일수 및 근무형태에서 당기 내 생산 가능한 조형생산중량 및 단조프레스 생산 중량임 |
라.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당사는 국내 창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서울, 성남, 인천, 익산 등에 국내
사업장이 있으며, 유럽, 미국, 인도, 중국 등 해외 공장과 사업소에서 사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 사업장 | 소재지 |
두산에너빌리티㈜ | 국내 | 성남, 창원 |
해외 | 미국, 인도, 체코, 베트남 | |
두산밥캣㈜ | 국내 | 성남, 인천 |
해외 | 미국, 체코, 독일, 프랑스, 인도, 중국 | |
두산퓨얼셀㈜ | 국내 | 서울, 익산 |
당사의 생산에 중요한 시설 등으로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중장비,
차량운반구, 공기구ㆍ비품 등의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중인 유형자산의 현황 및 기중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토지 | 건물및구축물 | 기계장치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사용권자산 | 합계 |
기초 | 3,014,696 | 751,800 | 679,917 | 99,783 | 356,349 | 322,604 | 5,225,149 |
취득/자본적지출 | - | 4,160 | 49,593 | 9,747 | 128,137 | 31,828 | 223,465 |
대체 | - | 7,254 | 23,380 | 3,000 | (37,933) | (2,232) | (6,531) |
처분(주1) | - | (1,562) | (3,025) | (290) | - | (8,539) | (13,416) |
감가상각 | - | (25,304) | (80,370) | (16,785) | - | (40,461) | (162,920) |
연결범위변동 | - | - | (426) | (206) | - | (1,312) | (1,944) |
외환차이 등 | 4,188 | 30,340 | 30,034 | 3,118 | 12,884 | 15,260 | 95,824 |
반기말 | 3,018,884 | 766,688 | 699,103 | 98,367 | 459,437 | 317,148 | 5,359,627 |
취득원가 | 1,460,299 | 1,692,660 | 2,659,018 | 436,786 | 496,799 | 536,930 | 7,282,492 |
감가상각 및 손상차손누계액 | (118) | (925,972) | (1,959,915) | (338,419) | (37,362) | (219,782) | (3,481,568) |
재평가손익누계액 | 1,558,703 | - | - | - | - | - | 1,558,703 |
(주1) 사용권자산의 계약해지로 인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생산과 영업에 관련된 자산 중 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담보제공자산 | 담보설정금액 | 관련 차입금 등 | 담보권자 |
두산에너빌리티㈜ | 유형자산 | 1,255,253 | 993,186 | 한국산업은행 외 |
두산밥캣㈜ | 유형자산 등 | 156,335 | 109,936 | 신한은행 외 |
두산퓨얼셀㈜ | 유형자산 | 90,000 | 100,000 | 한국산업은행 외 |
두산큐벡스㈜ | 수익권 등 (주1) | 24,000 | 20,000 | 우리은행 외 |
합계 | 1,525,588 | 1,223,122 |
(주1) 유형자산에 대한 부동산담보신탁 수익권입니다.
(2) 설비의 신설, 매입 계획
당사는 가스터빈 및 중소형원자로 등 전략제품의 경쟁우위 유지, 미래시장고부가가치 전략 아이템 발굴을 위해 지속적인 R&D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풍력,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기술개발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진행중인 투자내역
(단위 : 백만원 / 밥캣은 천USD) |
사업부문 | 구분 | 투자대상 자산 | 투자효과 | 제62기 반기 (2024년) |
제61기 (2023년) |
제60기 (2022년) |
두산에너빌리티㈜ | 공장 신증설/ 개보수 |
건물, 구축물,기계장치 | 생산능력 증대 | 13,881 | 53,335 | 37,826 |
기술개발 | 무형자산 | 핵심기술 국산화/신제품개발 등 | 45,709 | 110,235 | 122,855 | |
정보화 | SW, HW | 디지털 경영기반 구축 | 8,034 | 17,008 | 11,572 | |
관리/지원부문 | 구축물, 비품 | 복리후생 증진/공장환경 개선 | 3,760 | 4,073 | 15,381 | |
소계 | 71,385 | 184,650 | 187,634 | |||
두산밥캣㈜ | 밥캣 | 유형자산투자 | - | 114,071 | 208,516 | 210,391 |
무형자산투자 | - | 34,869 | 72,690 | 51,748 | ||
소계 | 148,940 | 281,206 | 262,139 | |||
두산퓨얼셀㈜ | 전략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제품 및 기술 개발, R&D 환경 개선 | 5,354 | 17,377 | 27,352 |
시설투자 | 유형자산 | 생산시설 증설, 생산공정 개선 | 20,125 | 95,665 | 78,433 | |
운영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EHS, IT 시스템 구축 | 398 | 492 | 2,760 | |
소계 | 25,877 | 113,534 | 108,545 | |||
두산큐벡스㈜ | 유지/보수 | 건물 | 노후 설비 및 자산 보완 | - | - | 413 |
토지, 건물, 구축물 | 설비 보완 및 노후자산교체 | - | 43 | 148 | ||
신규 |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회원권 |
936 | 1,115 | 1,412 | ||
소계 | 936 | 1,158 | 1,973 |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 밥캣은 천USD) |
사업부문 | 계획명칭 | 예상투자총액 | 연도별 예상투자액 | 투자효과 | |||
자산형태 | 금액 | 제62기 (2024년) |
제63기 (2025년) |
제64기 (2026년) |
|||
두산에너빌리티㈜ | 공장 신증설/ 개보수 |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
577,746 | 105,818 | 270,206 | 201,722 | SMR 설비투자 등 |
기술 개발 |
무형자산 | 259,913 | 136,475 | 83,354 | 40,084 | 대형 GT개발, IT 시스템 구축 등 | |
정보화 | SW,HW | 28,209 | 7,287 | 11,385 | 9,537 | 양산시설 구축, R&D설비 | |
관리/ 지원부문 |
구축물, 비품 | 9,795 | 3,565 | 3,735 | 2,495 | ERP 시스템 구축 등 | |
합계 | 875,664 | 253,145 | 368,680 | 253,838 | |||
두산밥캣㈜ | 공통 | 건물 및 기계 등 | 894,474 | 350,171 | 306,817 | 237,486 | 제관/조립 품질 향상용 설비 개선, 양산시설 구축, R&D설비 구입 등 |
제품 개발, 구매 형치구 및 유지보수, capa, IT 등 | 84,911 | 26,552 | 29,253 | 29,106 | |||
합계 | 979,385 | 376,723 | 336,070 | 266,592 | |||
두산퓨얼셀㈜ | 전략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47,579 | 22,297 | 19,782 | 5,500 | 제품 및 기술 개발, R&D 환경 개선 |
시설투자 | 유형자산 | 79,287 | 79,287 | - | - | 생산시설 증설, 생산공정 개선 | |
운영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9,580 | 4,430 | 2,500 | 2,650 | EHS, IT 시스템 구축 | |
합계 | 136,446 | 106,014 | 22,282 | 8,150 | |||
두산큐벡스㈜ | 유지/보수 | 건물, 구축물 | - | - | - | - | 노후 설비 및 자산 보완 |
신규 | 토지, 건물, 구축물 | 100 | 100 | - | - | 설비 보완 및 노후기계교체 | |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 기구, 비품, 회원권 |
3,149 | 1,149 | 1,000 | 1,000 | |||
합계 | 3,249 | 1,249 | 1,000 | 1,000 |
※ 사업환경에 따라 향후 투자금액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제62기 반기 | 비중 | 제61기 | 비중 | 제60기 | 비중 | |
두산 에너빌리티 |
제품, 용역 | NSSS, BOP, Turbine, 담수/수처리 설비, 주단조품, 플랜트설비 설치공사, 도로공사 등 |
수출 | 1,925,826 | 23.35% | 4,413,543 | 25.09% | 4,363,525 | 27.10% |
내수 | 1,551,714 | 18.81% | 3,116,647 | 17.72% | 2,739,201 | 17.01% | |||
합계 | 3,477,540 | 42.16% | 7,530,190 | 42.81% | 7,102,726 | 44.12% | |||
두산밥캣 | 제품 | 각종 건설기계 및 소형장비 등 | 수출 | 4,457,989 | 54.04% | 9,376,903 | 53.31% | 8,228,280 | 51.11% |
내수 | 173,004 | 2.10% | 381,646 | 2.17% | 392,954 | 2.44% | |||
합계 | 4,630,993 | 56.14% | 9,758,549 | 55.48% | 8,621,234 | 53.55% | |||
두산퓨얼셀 | 제품, 용역 | 연료전지 주기기, 장기유지보수서비스 | 수출 | 1,523 | 0.02% | 1,698 | 0.01% | - | - |
내수 | 116,656 | 1.41% | 259,185 | 1.47% | 312,149 | 1.94% | |||
합계 | 118,179 | 1.43% | 260,883 | 1.48% | 312,149 | 1.94% | |||
기타 | 레저 | 골프장 운영 등 | 수출 | 1,757 | 0.02% | 1,113 | 0.01% | 8,213 | 0.05% |
내수 | 19,885 | 0.25% | 39,153 | 0.22% | 55,072 | 0.34% | |||
합계 | 21,642 | 0.27% | 40,266 | 0.23% | 63,285 | 0.39% | |||
소 계 | 수출 | 6,387,095 | 77.43% | 13,793,257 | 78.42% | 12,600,018 | 78.26% | ||
내수 | 1,861,259 | 22.57% | 3,796,631 | 21.58% | 3,499,376 | 21.74% | |||
합계 | 8,248,354 | 100.00% | 17,589,888 | 100.00% | 16,099,394 | 100.00% | |||
중단사업조정 | 제품 | 화공기자재 등 | 수출 | - | - | - | - | (666,729) | - |
내수 | - | - | - | - | (11,607) | - | |||
합계 | - | - | - | - | (678,336) | - | |||
합 계 | 수출 | 6,387,095 | - | 13,793,257 | - | 11,933,289 | - | ||
내수 | 1,861,259 | - | 3,796,631 | - | 3,487,769 | - | |||
합계 | 8,248,354 | - | 17,589,888 | - | 15,421,058 | - |
※ 상기 매출액은 연결조정금액을 반영한 각 부문별 순매출액 입니다. ※ 제59기 중 Doosan Bobcock Ltd.와 그 종속기업은 매각계획이 확정되어 중단영업으 로 분류 되었으며, 제60기 중 매각이 완료되었습니다. ※ 제60기 중 두산메카텍㈜는 매각이 완료되어 중단영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매각 이후 범한메카텍㈜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1) 판매조직
사업별 영업팀, 해외생산법인 및 지사의 판매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판매경로
전세계 전진배치 되어 있는 영업지점과 본사에서 입찰정보를 접수하여 발주처로부터Inquiry를 접수하게되면, 견적제출 후 협상을 통해 수주합니다. 수주 후에는 설계, 자재구매, 제작의 공정을 거쳐 출하하여 발주처에게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기자재의 경우, 수주형태가 국내외의 대형 EPC사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기계설비 중 단품 위주로 제작, 납품하는 형태입니다. 금형공구강의 경우 판매점을 통한 위탁 판매 및 직접 판매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주로 발주처(국내외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의 발주서를 접수하여, 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발주처와의 공급계약을 맺어 판매합니다. 발전설비 수요업체(한국전력공사 등)과 상호계약 형식을 통해 공급하는 경우도 있으며, 주단 제품의 경우 판매점 (금형공구강) 및 실수요 업체와 계약형식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Type별/발주처별로 상이하나, 선급금, 중도금, 유보금 등으로 지급되는 Milestone 방식, 공정별 진행에 따른 Progress 방식, 납품 후 일괄지급 등의 수금조건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당사는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전문 제작업체로서 기술력 우위를 바탕으로 품질 및 가격에서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변화된 국내시장의 여건에 신속 대처하여 기존의 시장점유 우위를 적극 고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해외시장개척을 통해 국가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략 아이템을 선정, 중점 추진함과 동시에 세계 유수의 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해외시장에 적극적인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영업활동을 추진하던 기존의 소극적인 영업 전략에서 벗어나 프로젝트를 미리 발굴하고 발주처와의 Network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통한 영업 인력의 현지 전진배치를 실행하였으며, Roadshow를 통해 고객 추가발굴과 동시에 신뢰성을 확보하는 보다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하에서 수익확보를 실현하고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분야의 경쟁력은 최적의 가격으로 플랜트 성능, 납기 등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술 및 가격 경쟁력으로써 당사는 한국, 중동, 미국 및 유럽의 R&D 센터를 통한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품질 및 가격에서 수요자의 만족을 실현하고 국내 외 설비 시장의 빠른 환경변화에 신속 대처하여 기존의 시장점유율 우위를 고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 부문】
(1) 판매조직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주요 판매 채널은 딜러망, 렌탈 업체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문 판매
딜러를 통하여 개인 및 법인 고객들에게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NA, EMEA 및 ALAO 지역별 담당 전문 판매 딜러를 선정하여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딜러는 두산밥캣㈜이 규정한 구역별로 판매권한을 부여받으며, 각각의 딜러는
정해진 구역내에서 두산 또는 밥캣 브랜드의 독점권을 갖게 됩니다. 대부분의 딜러는동일한 제품군 내에서 타 브랜드의 제품을 취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를 강제로
규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 딜러의 경우 동일 제품군 내에서 두산밥캣㈜과 타사
브랜드를 모두 취급하기도 합니다.
딜러 선정은 재무적인 역량과 사업적인 역량을 고려하고 일관된 평가방식에
의거하여 1차 필터링을 하며, 경영진이 최종 승인을 합니다. 두산밥캣㈜은 매년
사업 계획에 근거하여 선정된 딜러에게 딜러별 목표를 부여하고,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등하여 부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부여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사전통보 후 일정기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합법적인 기준 내에서딜러쉽을 해지합니다.
두산밥캣㈜은 딜러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별화된 딜러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딜러들에게 다양하고 뛰어난 유통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산업차량 부문
산업차량 부문의 내수 판매는 국내영업 조직에서 관리하며, 대부분 판매대리점을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출 판매는 북미를 'NA',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EMEA'로 구분하며, 해당 지역을 총괄하는 판매법인(관계사)에서 현지의 딜러와 직접 딜러십계약을 체결하고 본사로부터 차량을 매입 및 재판매하는 형태로 Sales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NA'와 'EMEA'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의 딜러와 산업차량 부문이 직접 딜러십계약을 체결하여 거래를 진행하며, 세부적인 지역별 관리 조직을 두어 판매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딜러 선정에 있어 지역적 특색을 반영함과 동시에 내부적인 기준에 따르고 있습니다.이에 대한 관리는 경영진 최종 승인에 기인합니다.
(2) 판매경로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판매 채널은 직접판매, 두산밥캣 소유의 판매대리점, 그리고 전문 판매 딜러 등 크게 세 가지 판매채널을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독일, 프랑스등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두산밥캣㈜이 소유하고 있는 판매 대리점을 활용하고, 정부, 군대, 대기업 등의 경우에는 직접 판매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외 대부분의
경우에는 두산밥캣㈜이가 규정한 지역별로 선정한 전문 판매 딜러를 통하여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 반기 누적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경 로 | 직접판매 | 판매대리점 | 전문판매딜러 |
비 중 | 11.7% | 1.4% | 86.9% |
※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판매 기준입니다. |
2) 산업차량 부문
- 내수 : 직접판매와 판매대리점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 직접판매 : 생산자(산업차량) → 소비자
ⓑ 판매대리점 : 생산자(산업차량) → 판매대리점 → 소비자
- 수출 : 'NA(북미)' 지역과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은 법인을 통해,
기타 지역은 딜러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 'NA' & 'EMEA'지역 : 생산자(산업차량) → 법인 → 딜러 → 소비자 ⓑ 기타지역 : 생산자(산업차량) → 딜러 → 소비자
(3) 판매방법 및 조건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판매 방법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며, 지역별로 자체 소유 판매 대리점 및 당사의 기준에 맞게 선정한 딜러를 통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지불조건은 60일에서 90일이며, 고객의 신용한도와 지불 담당자의 판단에 따라서 현금으로 선불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지방에서는 신용장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물비용과 같은 부대비용의 경우는 기본 명세서에 포함하거나 다른 명세서에 물건판매와 같은 조건으로 별도 청구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매출채권은 금융기관을 통하여 매입 자금 융자 방식(Floor Planning: 팔릴 때까지 상품을 담보로 하는 자금 차입 방식)으로 거래되며, 이러한 매출채권은 최초 판매일 이후 수 일 이내에 금융기관으로부터 현금으로 정산됩니다.
2) 산업차량 부문
지역별로 법인, 판매대리점, 딜러, 소비자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판매하며, 제품은 최종소비자에게 직송되고 청구서만 채널에 따라 발행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물류업체, 중기 임대업자 및 자가 업체들과 직접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현금판매, 금융기관을 통한 할부금융판매(12~60개월)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종속회사는 전세계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판매를 하기 때문에, 건설산업 지역별 특성에 따라 전략의 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인 판매전략의 핵심은 시장 커버리지를 늘리는 것과 커버하고 있는 시장 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입니다. 시장 커버리지 확장은 딜러의 신규 모집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구역별 신규 모집 또는 시장 커버리지 로드맵을 가지고 매년 신규 딜러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커버하고 있는 시장 내 점유율 향상을 위하여 딜러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Demo, Consignment, Advertisement 등 마케팅 활동 지원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별화된 딜러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딜러 네트워크의 신규 확보, 교육, 관계 유지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딜러 Training Center, "Boot Camp”Training, Bobcat University 등 다양한 딜러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밥캣에 대한 딜러들의 이해도를 넓히고, 딜러 계약을 맺은 지점에게 Big Data 기반 건설기계 산업 관련 데이터 분석툴과 대쉬보드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등 딜러망과 네크워크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북미 시장에서는 실적 부진 또는 목표치 미달 등의 사유로 딜러쉽이 해지되지 않는 한 딜러들의 이탈이 매우 낮아 딜러와의 계약기간이 평균 29년을 상회하고 있으며, 유럽 딜러와는 최초 계약시 계약기간을 5년으로 체결하는 등 딜러 네트워크와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2) 산업차량 부문
내수 판매대리점에게는 주기적으로 우수 판매 지점 및 딜러 포상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Dealer Traning 및 Product Manual을 통해 원활한 판매 및 After Service 지원을 진행함과 동시에 딜러미팅, 공장방문, 프로슈머 등 Communication 확대를 활용해 확고한 국내 M/S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는 강력한 Dealership, 전세계 Sales Network와 세계 Major급 및 Local 전시회 참여를 통한 해외시장에서의 Reputation을 바탕으로 Field Marketing 전략을 추진하여 신흥시장에서의 시장 Leading과 선진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1) 판매조직
두산퓨얼셀㈜의 판매조직은 영업/서비스본부의 영업팀, 영업기획팀과 서비스기획관리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업팀은 발전용 연료전지 경쟁입찰에 응찰하거나 SPC 사업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반적인 수주영업활동을 담당하며, 영업기획팀에서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 시행에 따른 수소발전 입찰시장 대상 사업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기획관리팀에서는 공급이 완료된 연료전지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 체결 및 서비스 관련 고객사 대응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의 판매는 주로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가 진행하는 경쟁입찰에 회사의 영업조직이 직접 응찰하여 선정된 후, 발주처와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외 SPC 사업의 경우 회사의 영업조직이 주주사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성 검토 및 Project Financing을 거쳐 최종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하에서는 수소발전 입찰시장(관리기관 : 전력거래소)이 개설되어 경쟁입찰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두산퓨얼셀㈜은 주기기 공급사로써 발전사업자 및 이해관계자들과 공동으로 사업을 개발하고, 해당 사업이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낙찰될 경우 최종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연료전지 공급 후에는 해당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공급한 주기기에 대해서 장기유지보수서비스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을 체결하여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판매조건
주기기 납품에 대한 대금 지급은 일반적으로 계약체결 후 발주사와 두산퓨얼셀㈜이 협의한 비율과 일정에 따라 선급금, 중도금 및 잔금으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두산퓨얼셀의 청구에 따라 협의된 비율의 선금을 지급받은 후, 주기기 납품에 따라 중도금을 지급받고, 최종 시운전을 통한 종합준공 시에 잔금을 지급받는 구조입니다.
장기유지보수서비스는 발전소 종합준공 후 일반적으로 10년 혹은 20년 동안 제공하며, 두산퓨얼셀㈜이 공급한 연료전지 주기기 전체 대수를 대상으로 연간 매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4) 판매전략
두산퓨얼셀㈜은 현재 공급하고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의 원가 경쟁력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시장과 고객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두산퓨얼셀㈜ 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 시장확대 및 점유율 확보를 위하여 신규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차세대 수소 전소 모델(M500)의 개발 등 적극적인 기술 개발을 통하여 고객에게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장 확대 측면에서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하여 프로젝트 개발 및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1년 9월 중국 포산시 수소에너지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국내 최초로 발전용 연료전지를 수출하였으며, '22년에는 중국 현지 기업과 대규모 협력계약을 체결하여 중국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을마련하였습니다. 또한, '23년 2월에는 남호주 주정부와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 시장에서의 사업기회 학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1) 판매조직 및 경로
두산큐백스㈜의 골프장 운영 부문은 본사에 위치한 예약실을 통해 예약 업무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위탁사업 부문의 경우, 연강원은 길동에 위치한 두산연강원 內 식당을 위탁운영 하여 직접 판매하고 있고, 창원사업부문은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를 위탁운영 하고 있습니다. 업무대행 사업부문은 ㈜두산외 그룹 계열사의 급여/총무/복후/영상/MD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고, 건물관리대행 사업부문은 그룹 계열사 입주 건물에 대한 관리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판매방법 및 조건
골프 부분은 실수요 내장객과 계약형식 입니다. 위탁 사업부분에서 두산연강원 및 창원사업부분은 두산경영연구원, 두산에너빌리티㈜와의 상호계약 형식이며, 업무대행 사업부분은 ㈜두산 BG별외 계열사와의 상호계약 형식입니다. 건물관리대행 사업부분은 그룹 계열사내 건물 임대인과의 상호계약 형식입니다.
(3) 판매전략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탁운영 사업장(라데나골프클럽, 두산에너빌리티㈜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 위탁운영, 두산그룹 연수원 연강원식당 위탁운영)을 전문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습니다.골프장 클럽하우스를 비롯한 시설물 리모델링, 코스 및 그린 공사, 카트도로 리뉴얼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가치증대를 꾀하고 있으며, 2008년 부터 15회에 걸친 두산매치플레이 챔피언쉽의 성공적인 개최 및 골프다이제스트가 선정한 2022 강원권 베스트 코스 선정, 매일 경제신문과 한국리서치가 공동 조사한 2023 대한민국 골프장 평가에서 전국 회원제 8위와 강원권 회원제 1위에 선발되는 등의 골프장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해 가고 있으며 동종업계 Top Tier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다. 수주상황
(1) 당해년도 체결된 주요 신규 수주상황
(단위 : 억원) |
프로젝트 | 계약시기 | 발주처 | 계약금액 |
의왕월암 A-3BL 아파트 건설공사 2공구 | 1월 |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26 |
부산, 신인천 가스터빈 로터 수명연장 | 1월 | 한국남부발전(주) | 429 |
공주복합 STG | 2월 | (주)대우건설 | 484 |
Taiba & Qassim | 3월 | SEPCO3 | 1,468 |
IEM Fuel Conversion | 5월 | Engine energia Chile S.A. | 531 |
안동복합2 DGT LTSA | 6월 | 한국남부발전(주) | 786 |
삼척 교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 6월 | 대한토지신탁(주) | 1,086 |
보령신복합 DGT LTPM | 6월 | 한국중부발전(주) | 1,121 |
논산 취암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 6월 | (주)건우씨엠 | 1,171 |
분당열병합 가스터빈 | 6월 | 한국남동발전(주) | 2,398 |
※ 상기 내용은 당사의 수주인식 기준으로 실제 계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당반기말 현재 주요사업부문별 수주상황
(단위 : 억원) |
구분 | 주요 계약명 | 기초 | 증감 | 매출계상액 | 기말 |
두산에너빌리티㈜ | 신한울3,4 원자로설비 외 | 159,720 | 21,823 | 35,145 | 146,398 |
두산퓨얼셀㈜ | 위탁 운영서비스 계약 | 16,839 | (69) | 642 | 16,128 |
두산밥캣㈜ | 연장보증 외 | 5,822 | 2,298 | 187 | 7,933 |
합계 | 182,381 | 24,052 | 35,974 | 170,459 |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산업의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주조/단조부터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및 연료전지 등 신재생 관련 기자재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발전설비 제작 및 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원전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 증기발생기, 냉각펌프 등과 핵연료 취급 설비, 핵연료 운반 용기(Cask) 및 원자로 계통 보조기기의 대부분을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고, 국내외 화력발전소에 핵심 주기기인 스팀 터빈, 가스 터빈 등을 제작/공급하고 있으며, 해수담수화의 다단증발법(MSF), 다중효용증발법(MED) 및 역삼투압법(RO) 세가지 프로세스 기술의 턴키방식으로 담수화플랜트를 공급하고있습니다. 플랜트의 설계에서 기자재 제작, 설치, 시공, 시운전까지의 전 과정을 일괄수행하는 EPC 사업과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수한 주조 및 단조 설비/ 역량을 바탕으로 발전설비 소재를 비롯 선박, 제철, 금형공구강 및 각종 산업설비용 대형 주단조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대형 가스터빈, 풍력, 태양광, 수소, 연료전지 등과 같은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 밖에 농업/조경용 소형장비, 이동식 전기 및 공압 생산장비, 지게차 제품군 산업차량에 대해 국내, 북미와 유럽에 주요시설을 두고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 부문별 사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7. 기타 참고사항'의 '가. 연결기업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현황', '나. 업계의 현황' 그리고 '다. 영업개황'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24년 반기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매출액은3,477,540백만원,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포함한 재무연결 기준 매출액은 8,248,354 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주요상표등 | 제62기 반기 | |
매출액 | 비율 | |||||
두산에너빌리티 | 제품 공사 |
NSSS, BOP, Turbine, 담수/수처리 설비, 주단조품, 플랜트설비 설치공사 등 |
발전설비, 담수설비, 건설 등 | 두산에너빌리티 | 3,477,540 | 42.16% |
두산밥캣 | 제품 | Compact 건설기계, Portable Power, 산업차량 등 |
CTL, MEX, Air Compressor, Generators 등 | Bobcat | 4,630,993 | 56.14% |
두산퓨얼셀 | 제품 용역 |
연료전지 주기기, 장기유지보수서비스 | 발전설비 | 두산퓨얼셀 | 118,179 | 1.43% |
기타 | 레저 등 | 회원제 골프장(27홀), 위탁운영업 등 | 골프운동시설, 골프장, 기숙사, 식당 위탁운영 등 |
두산큐벡스, 라데나골프클럽 |
21,642 | 0.27% |
합 계 | 8,248,354 | 100.00% |
※ 상기 매출액은 연결조정금액을 반영한 각 부문별 순매출액 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목 | 구분 | 제62기 반기 (2024년) |
제61기 (2023년) |
제60기 (2022년) |
비 고 |
두산에너빌리티 | 화력 BLR(주1) | - | - | 193 | 193 | 국내 한국전력공사 주기기 기준 단위 : USD/KW |
화력 T/G | - | 184 | 187 | 133 | ||
원자력 NSSS | - | 501 | 501 | 501 | ||
담수설비 | - | 7 / 3.5 | 7 / 3.5 | 7 / 3.5 | 단위 : USD/GALLON | |
주단조품(금형공구강 포함) | - | 5,093 | 4,830 | 4,269 | 단위 : 원/KG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S590 | 55 | 55 | 51 | 단위: 백만원/대 |
Portable Power 대표기종 | 대표기종(주2) | 232 | 228 | 228 | ||
산업차량(지게차 대표기종) (주3) |
소형 | 37 | 34 | 33 | ||
중형 | 81 | 76 | 70 | |||
대형 | 157 | 157 | 151 |
(주1) BLR(보일러) 사업은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24년 1분기부터 실적 미반영 (주2) Portable Power 대표 기종 : PA1170WCAT (주3) 지게차 대표 기종 : 소형(1~3톤) D30S-7, 중형(4~9톤) D70S-7, 대형(10톤~) D160S-7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1) 산출기준
- 당사 각 부문의 상기 제품은 단순평균가격으로 산출하며 해당연도 수주실적이 없는 경우 전년도 가격을 적용하였습니다.
* 발전설비는 계약금액을 총용량으로 나누어 산출
* 담수설비는 MSF / RO Type 담수플랜트에서 처리단가를 Gallon당 USD로 환산함
* 주단조품은 품목별 단순평균가격으로 산출
- 두산밥캣 부문은 국내 표준사양 가격 기준 및 해당 모델 최종 소비자가격
(권장소비자가격) 기준으로 산출을 합니다.
(2) 주요 가격변동원인
- 발전/담수설비 제품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이 크지 않으나, 환율, 유가, 원자재 가격 및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발주 사양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다만, 최근 러-우 전쟁, 이-팔 전쟁 등 지정학적 이슈로 인해 일시적인 운송료 등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 주단조품(금형공구강 포함)은 원자재 가격 변동 및 시장의 여건에 따라 다소
변동 폭이 있습니다.
- 정부 공사의 경우, 설계 변동성이 적으나 발주처의 요구사향을 고려한 플랜트 설계 적용으로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며, 민자발주 방식의 프로젝트에서는
발전 Plant 공급사와의 설계 조합 및 민간 발주사의 가격 산출 방식에 따라 전체
Plant의 가격이 변동됩니다.
- 두산밥캣 부문의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산업차량은 물가 인상분
(원자재, 운송비, 인건비, 창고임대료 등) 반영에 따라 변동됩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는 주로 발주처(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 특수목적법인(SPC) 등)가 진행하는 경쟁입찰 과정을 통하여 공급가격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통상적인 제품단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두산퓨얼셀㈜ 은 경쟁입찰 시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상시적으로 생산성 극대화 및 원가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세부 계약조건, 원자재 가격 및 시장 여건 등에 따라 공급가격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제62기 반기 | |
매입액 | 비율 | ||||
두산에너빌리티㈜ | 자재 및 외주비 | 철판류, 외주비 외 | 발전설비. 담수설비 제작 등 | 1,198,806 | 94.36% |
두산퓨얼셀㈜ | 원재료 | MBOP, EBOP, 셀스택류 외 |
연료전지 주기기 제작 | 71,682 | 5.64% |
합 계 | 1,270,488 | 100.00%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단위 : 내용참조) |
품 목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산출기준 | |
철판(원/KG당) -SS400/SM400 기준 |
국내 | 975 | 1,174 | 1,172 | (주1) |
해외 | - | - | - | ||
환봉(원/KG당) -SS400 기준 |
국내 | 1,263 | 1,320 | 1,377 | (주1) |
해외 | - | - | - | ||
형강류 (원/KG당) -SS400 기준 |
국내 | 1,079 | 1,253 | 1,278 | (주1) |
해외 | - | - | - | ||
PIPE (원,USD/KG당) [SGPW/A106B] |
국내 | 2,100 | 2,170 | 2,238 | (주1) |
해외 | 2 | 2 | - | ||
TUBE(원,USD/KG당) -T12 기준 |
국내 | 3,370 | 3,373 | 3,486 | (주1) |
해외 | 3 | 3 | - | ||
알루미늄 (원,USD/KG당) | 국내 | 2,912 | 2,630 | 2,719 | (주1) |
해외 | 2 | 2 | - | ||
고철 MA (원/KG당) | 국내 | 507 | 569 | 605 | (주1) |
해외 | - | - | - | ||
FE-MO (원/KG당) | 국내 | 39,652 | 36,390 | 35,110 | (주1) |
해외 | - | - | - | ||
FE-V (원/KG당) | 국내 | 27,015 | 35,959 | 35,335 | (주1) |
해외 | - | - | - | ||
NICKEL (원/KG당) | 국내 | 25,318 | 30,480 | 34,611 | (주1) |
해외 | - | - | - | ||
Hydraulics & Powertrain (USD/개) | 해외 | 1,119 | 1,142 | 1,142 | (주2) |
Steel & Weldment (USD/개) | 해외 | 695 | 700 | 800 | (주2) |
Petrochemical (USD/개) | 해외 | 1,053 | 1,087 | 1,270 | (주2)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부문】
(1) 산출기준
(주1) 상기 재료의 단순평균 구입가격 혹은 공시가격 인상률을 반영한 조정가격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주2) 미국 기준이며, 원재료 별 대표 부품 품목에 대한 가격입니다. 부품별 대표매입처 구매계약가격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다음은 주요 원재료 별 대표 부품 품목입니다.
- Hydraulics & Powertrain : Motor Drive
- Steel & Weldment : Flat Coil 0.5000" NOM/60.0"/MS254
- Petrochemical : Track Rubber 450x60
(2) 주요 가격변동원인
2024년 반기는 미국 기준금리 방향성의 불확실성에 따른 철강경기 불확실성 심화 및 경기둔화의 우려 속에 시장이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철판 : 전방산업 수요침체에 따른 철강 수요회복 기대감 하락 및 중국 저가물량
유입에 따른 약보합 장세가 만들어졌습니다.
- 봉/형강류 : 철강수요 회복기대감 하락 및 국내 건설경기 부진, 유통사들의
현금유동성 확보를 위한 저가판매 기조에 따라 약보합세 모습을
보였습니다.
- PIPE/TUBE : 중국 양회에서 구체적인 경기부양책이 제시되지 못함에 따라 시장
기대감이 하락하였으며, 당분간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약보합세 모습을 보였습니다.
- 알루미늄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의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구리, 니켈 거래금지 제재 이후 수급문제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 고철 : 국내 고철 발생량 급감에도 철강경기둔화에 따른 수요부진에 따른 불황형
수급안정의 모습으로 약세장이 만들어졌습니다.
- Fe-Mo : 광산 생산차질로 인한 원료수급 및 국내 최대 Mo류 생산업체인
세아M&S 사고로 인한 수급상황 악화의 영향으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 Fe-V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으로 팔리지 않은 장기계약물량이 시장에 나오면서
약세장이 형성되었습니다.
- Nickel :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의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구리, 니켈 거래금지 제재 이후 수급문제로 강세장 모습을
보였습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공시대상기간 중 사업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재료의 가격변동은 없었습니다. 연료전지 1대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기준으로 2024년 평균 MBOP 가격은 전년대비 0.7% 상승하였고, EBOP 가격은 0.9% 상승하였으며, 셀스택류 가격은 1% 하락하였습니다. 원재료 가격은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거래물량 규모 등에 따라 변동되며, 당사는 생산 내재화 추진, Supply Chain 개선, 자재 국산화 및 내재화, 공급망 다각화 등을 통해 원가절감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능력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원자로, 증기발생기 | 국내 | 3,500 | 7,000 | 7,000 | 단위 : MW |
보일러 | 국내 | - | 3,500 | 3,500 | ||
해외 | - | 3,791 | 3,791 | |||
스팀터빈 | 국내 | 3,000 | 6,000 | 6,000 | ||
해외 | 492 | 853 | 1,380 | |||
가스터빈 | 국내 | 1,520 | 2,700 | 2,700 | ||
발전기 | 국내 | 4,500 | 9,000 | 9,000 | ||
BOP | 국내 | 1,750 | 3,500 | 3,500 | ||
풍력터빈 기자재 | 국내 | 56 | 111 | 111 | ||
담수설비(MSF) | 해외 | 6.0 | 6.0 | 6.0 | 단위 : 기 | |
담수설비(RO Rack, Pipe) | 해외 | 5,000 | 10,000 | 10,000 | 단위 : 톤 | |
운반설비(RMQC/ RTGC)(주1) | 해외 | 6 / 30 | 6 / 30 | 6 / 30 | 단위 : 기 | |
주조품 | 국내 | 11,000 | 22,000 | 22,000 | 단위 : 톤 | |
단조품/특수강 | 국내 | 72,150 | 144,300 | 144,300 | ||
플랜트, 토목 및 건축 건설 | 국내 | 31,225억원 (14 위) |
10,052억원 (42위) |
20,142억원 (22위) |
-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해외 | 62,300 | 120,200 | 119,600 | 단위 : 대 |
Portable Power | 해외 | 10,400 | 20,200 | 20,200 | ||
산업차량 | 해외 | 13,104 | 25,592 | 24,353 | ||
국내 | 2,178 | 4,668 | 5,244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익산 | 66.0 | 232.0 | 133.0 | 단위 : MW |
(주1) 운반설비를 RMQC와 RTGC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연간 생산능력 기준임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별도의 산출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반기 생산능력이 연중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연간생산능력을 경과한 사업기간에 비례하여 산출하였습니다.
1) 원자로, 증기발생기
① 기준용량: 1,400MW/호기(경수로형)
② 연간생산능력: 1,400MW/호기(경수로기준) x 5호기 x 2/4= 3,500MW
2) 보일러
① 기준용량: 5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베트남 연간생산능력 500MW/호기 x 4호기 x 2/4 = 1,000MW
인도 연간생산능력: 1,791MW x 2/4 = 896MW
※ BLR(보일러) 국내 사업은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당기부터 실적 미반영
3) 스팀터빈
① 기준용량: 1,0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국내 연간생산능력: 화력발전용 1,000MW/호기 x 6호기 x 2/4 = 3,000MW
(TBN Rotor Slotting 정삭가공 공정 기준으로 산정)
4) 가스터빈
① 기준용량 : 380MW/호기
② 연간생산능력 : 380MW/호기 x 8호기 x 2/4 = 1,520MW(조립 Stand 기준)
5) 발전기
① 기준용량: 1,000MW/호기(화력표준형)
② 연간생산능력 : 화력발전용 1,000MW/호기 x 9호기 x 2/4 = 4,500MW
(TBN Rotor Slotting 정삭가공 공정 기준으로 산정)
6) BOP
- 각 제품별로 용량이 상이하여 산출이 어려우나, 당사 공급 보일러와 같은
용량을 생산할 수 있다고 보이므로 보일러 생산능력과 동일하게 산출함
7) 풍력
- 기준용량 : 5.56MW/기 (당사 대표 해상풍력 모델 - WinDS5500)
- 연간생산능력 : 5.56MW x 20기 x 2/4 = 56MW
당사 대표적인 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5500(5.56MW)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육상/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3300(3.3MW)은 연간 33기를 제작 가능함 ('21년부터 해상풍력용 발전기 모델 WinDS5500울 생산함)
8) 담수/수처리설비
- 담수/수처리설비는 기술에 따른 제품의 성격이 각각 상이하며, 제품(업종)별로 단위 설비의 용량 및 생산능력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기술별 생산능력을 일률적으로 계량화하기가 곤란하나 담수플랜트 대표적인 설비인 MSF 증발기와 RO Rack, Pipe 기준으로 Doosan Enerbility Vietnam Co., Ltd.에서 생산 가능한 호기/중량으로 산출함.('13년 이후 Water Shop 해외 이전에 따라 Doosan Enerbility Vietnam Co., Ltd.에서만 생산)
- 담수설비 (MSF)
① 기준용량 : 20 MIGD/호기
② 연간생산능력 : 20 MIGD x 6호기 = 120 MIGD (MSF 담수플랜트)
- 담수설비 (RO Rack, Pipe)
① 연간생산능력 : 10,000톤 = 300 MIGD (RO 담수플랜트)
9) 운반설비
- 연간 RMQC-6기, RTGC-30기 기준
- 운반설비는 RMQC, RTGC의 연간 생산능력임
10) 주단조품
① 주조품 : 연간 최대 조형생산중량(톤)
② 단조품/특수강 : 연간 최대 단조프레스 생산중량(톤)
11) 건설 부문
- 두산에너빌리티 건설부문은 2024년 7월 대한건설협회 토건업종 시공능령평가액 및 순위를 적용하였습니다. 괄호( )는 시공능력 순위임.
12) 두산밥캣 부문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각 공장별 연간 표준작업시간 및 가동형태(2교대, 3교대)등의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주공장이 아닌 Attachment 및 특수장비는 제외함.
13) 두산퓨얼셀 부문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일평균생산량 x 연간 가동일 수
② 기준용량(연료전지 Model 400) : 0.44MW/대
(2) 생산실적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보일러, 터빈, 원자력주기기 등 |
국내 | 118,706 | 227,895 | 312,938 | 단위 : M/H |
해외 | 455,678 | 1,370,212 | 1,352,823 | |||
소계 | 574,384 | 1,598,107 | 1,665,761 | |||
주조품, 단조품 금형공구강 |
국내 | 58,686 | 118,195 | 101,992 | 단위 : 톤 | |
해외 | - | - | - | |||
소계 | 58,686 | 118,195 | 101,992 | |||
소계 | 633,070 | 1,716,302 | 1,767,753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 | 해외 | 47,600 | 99,800 | 89,100 | 단위 : 대 |
Portable Power | 해외 | 3,000 | 6,900 | 5,500 | ||
산업차량 | 국내 | 8,095 | 21,423 | 23,036 | ||
해외 | 1,808 | 4,111 | 4,602 | |||
소계 | 60,503 | 132,234 | 122,238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국내 | 52.6 | 89.7 | 115.7 | 단위 : MW |
소계 | 52.6 | 89.7 | 115.7 |
※ 생산실적 : 공장별 직영인원의 누계 생산실적 - 발전설비 : 국내 창원공장 및 해외공장의 생산실적 합계 - BLR(보일러) 사업 : 당사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인력전환배치, 공정외주화의 사유로 당분기부터 실적 미반영 - 주단제품 : 국내외 주단조공장 생산중량임(단조프레스+조형 중량 기준) ※ 두산밥캣㈜ 의 경우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외주생산(OEM)을 통해 공급받고 있고, 주 공장이 아닌 Attachment 및 특수장비는 제외. Compact Equipment 내, 기존의 Skid Steer Loader, Compact Track Loader, Mini Excavator, Telescopic Handler, Backhoe Loader에 추가로 Mover가 포함 |
(3)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내용참조) |
사업부문 | 품목 | 당기생산능력 | 당기생산실적 | 평균가동률 | 비고 |
두산에너빌리티㈜ | 보일러,터빈,원자력 등 | 835,717 | 574,384 | 68.7% | 단위 : M/H |
주조품,단조품,금형공구강 | 83,150 | 58,686 | 70.6% | 단위 : 톤 | |
두산밥캣㈜ | Compact Equipment(해외) | 62,300 | 47,600 | 76.4% | 단위 : 대 |
Portable Power(해외) | 10,400 | 3,000 | 28.8% | ||
산업차량(국내) | 13,104 | 8,095 | 61.8% | ||
산업차량(해외) | 2,178 | 1,808 | 83.0% | ||
두산퓨얼셀㈜ | 연료전지 주기기 | 66.0 | 52.6 | 79.7% | 단위 : MW |
※ 평균가동율 = 해당기간생산실적 ÷ 해당기간생산능력 |
※ 주단제품의 당기생산능력은 당해 사업연도 근무일수 및 근무형태에서 당기 내 생산 가능한 조형생산중량 및 단조프레스 생산 중량임 |
라.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당사는 국내 창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서울, 성남, 인천, 익산 등에 국내
사업장이 있으며, 유럽, 미국, 인도, 중국 등 해외 공장과 사업소에서 사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 사업장 | 소재지 |
두산에너빌리티㈜ | 국내 | 성남, 창원 |
해외 | 미국, 인도, 체코, 베트남 | |
두산밥캣㈜ | 국내 | 성남, 인천 |
해외 | 미국, 체코, 독일, 프랑스, 인도, 중국 | |
두산퓨얼셀㈜ | 국내 | 서울, 익산 |
당사의 생산에 중요한 시설 등으로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중장비,
차량운반구, 공기구ㆍ비품 등의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중인 유형자산의 현황 및 기중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토지 | 건물및구축물 | 기계장치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사용권자산 | 합계 |
기초 | 3,014,696 | 751,800 | 679,917 | 99,783 | 356,349 | 322,604 | 5,225,149 |
취득/자본적지출 | - | 4,160 | 49,593 | 9,747 | 128,137 | 31,828 | 223,465 |
대체 | - | 7,254 | 23,380 | 3,000 | (37,933) | (2,232) | (6,531) |
처분(주1) | - | (1,562) | (3,025) | (290) | - | (8,539) | (13,416) |
감가상각 | - | (25,304) | (80,370) | (16,785) | - | (40,461) | (162,920) |
연결범위변동 | - | - | (426) | (206) | - | (1,312) | (1,944) |
외환차이 등 | 4,188 | 30,340 | 30,034 | 3,118 | 12,884 | 15,260 | 95,824 |
반기말 | 3,018,884 | 766,688 | 699,103 | 98,367 | 459,437 | 317,148 | 5,359,627 |
취득원가 | 1,460,299 | 1,692,660 | 2,659,018 | 436,786 | 496,799 | 536,930 | 7,282,492 |
감가상각 및 손상차손누계액 | (118) | (925,972) | (1,959,915) | (338,419) | (37,362) | (219,782) | (3,481,568) |
재평가손익누계액 | 1,558,703 | - | - | - | - | - | 1,558,703 |
(주1) 사용권자산의 계약해지로 인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생산과 영업에 관련된 자산 중 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담보제공자산 | 담보설정금액 | 관련 차입금 등 | 담보권자 |
두산에너빌리티㈜ | 유형자산 | 1,255,253 | 993,186 | 한국산업은행 외 |
두산밥캣㈜ | 유형자산 등 | 156,335 | 109,936 | 신한은행 외 |
두산퓨얼셀㈜ | 유형자산 | 90,000 | 100,000 | 한국산업은행 외 |
두산큐벡스㈜ | 수익권 등 (주1) | 24,000 | 20,000 | 우리은행 외 |
합계 | 1,525,588 | 1,223,122 |
(주1) 유형자산에 대한 부동산담보신탁 수익권입니다.
(2) 설비의 신설, 매입 계획
당사는 가스터빈 및 중소형원자로 등 전략제품의 경쟁우위 유지, 미래시장고부가가치 전략 아이템 발굴을 위해 지속적인 R&D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풍력,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기술개발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진행중인 투자내역
(단위 : 백만원 / 밥캣은 천USD) |
사업부문 | 구분 | 투자대상 자산 | 투자효과 | 제62기 반기 (2024년) |
제61기 (2023년) |
제60기 (2022년) |
두산에너빌리티㈜ | 공장 신증설/ 개보수 |
건물, 구축물,기계장치 | 생산능력 증대 | 13,881 | 53,335 | 37,826 |
기술개발 | 무형자산 | 핵심기술 국산화/신제품개발 등 | 45,709 | 110,235 | 122,855 | |
정보화 | SW, HW | 디지털 경영기반 구축 | 8,034 | 17,008 | 11,572 | |
관리/지원부문 | 구축물, 비품 | 복리후생 증진/공장환경 개선 | 3,760 | 4,073 | 15,381 | |
소계 | 71,385 | 184,650 | 187,634 | |||
두산밥캣㈜ | 밥캣 | 유형자산투자 | - | 114,071 | 208,516 | 210,391 |
무형자산투자 | - | 34,869 | 72,690 | 51,748 | ||
소계 | 148,940 | 281,206 | 262,139 | |||
두산퓨얼셀㈜ | 전략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제품 및 기술 개발, R&D 환경 개선 | 5,354 | 17,377 | 27,352 |
시설투자 | 유형자산 | 생산시설 증설, 생산공정 개선 | 20,125 | 95,665 | 78,433 | |
운영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EHS, IT 시스템 구축 | 398 | 492 | 2,760 | |
소계 | 25,877 | 113,534 | 108,545 | |||
두산큐벡스㈜ | 유지/보수 | 건물 | 노후 설비 및 자산 보완 | - | - | 413 |
토지, 건물, 구축물 | 설비 보완 및 노후자산교체 | - | 43 | 148 | ||
신규 |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회원권 |
936 | 1,115 | 1,412 | ||
소계 | 936 | 1,158 | 1,973 |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 밥캣은 천USD) |
사업부문 | 계획명칭 | 예상투자총액 | 연도별 예상투자액 | 투자효과 | |||
자산형태 | 금액 | 제62기 (2024년) |
제63기 (2025년) |
제64기 (2026년) |
|||
두산에너빌리티㈜ | 공장 신증설/ 개보수 |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
577,746 | 105,818 | 270,206 | 201,722 | SMR 설비투자 등 |
기술 개발 |
무형자산 | 259,913 | 136,475 | 83,354 | 40,084 | 대형 GT개발, IT 시스템 구축 등 | |
정보화 | SW,HW | 28,209 | 7,287 | 11,385 | 9,537 | 양산시설 구축, R&D설비 | |
관리/ 지원부문 |
구축물, 비품 | 9,795 | 3,565 | 3,735 | 2,495 | ERP 시스템 구축 등 | |
합계 | 875,664 | 253,145 | 368,680 | 253,838 | |||
두산밥캣㈜ | 공통 | 건물 및 기계 등 | 894,474 | 350,171 | 306,817 | 237,486 | 제관/조립 품질 향상용 설비 개선, 양산시설 구축, R&D설비 구입 등 |
제품 개발, 구매 형치구 및 유지보수, capa, IT 등 | 84,911 | 26,552 | 29,253 | 29,106 | |||
합계 | 979,385 | 376,723 | 336,070 | 266,592 | |||
두산퓨얼셀㈜ | 전략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47,579 | 22,297 | 19,782 | 5,500 | 제품 및 기술 개발, R&D 환경 개선 |
시설투자 | 유형자산 | 79,287 | 79,287 | - | - | 생산시설 증설, 생산공정 개선 | |
운영투자 | 유형 및 무형자산 | 9,580 | 4,430 | 2,500 | 2,650 | EHS, IT 시스템 구축 | |
합계 | 136,446 | 106,014 | 22,282 | 8,150 | |||
두산큐벡스㈜ | 유지/보수 | 건물, 구축물 | - | - | - | - | 노후 설비 및 자산 보완 |
신규 | 토지, 건물, 구축물 | 100 | 100 | - | - | 설비 보완 및 노후기계교체 | |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 기구, 비품, 회원권 |
3,149 | 1,149 | 1,000 | 1,000 | |||
합계 | 3,249 | 1,249 | 1,000 | 1,000 |
※ 사업환경에 따라 향후 투자금액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제62기 반기 | 비중 | 제61기 | 비중 | 제60기 | 비중 | |
두산 에너빌리티 |
제품, 용역 | NSSS, BOP, Turbine, 담수/수처리 설비, 주단조품, 플랜트설비 설치공사, 도로공사 등 |
수출 | 1,925,826 | 23.35% | 4,413,543 | 25.09% | 4,363,525 | 27.10% |
내수 | 1,551,714 | 18.81% | 3,116,647 | 17.72% | 2,739,201 | 17.01% | |||
합계 | 3,477,540 | 42.16% | 7,530,190 | 42.81% | 7,102,726 | 44.12% | |||
두산밥캣 | 제품 | 각종 건설기계 및 소형장비 등 | 수출 | 4,457,989 | 54.04% | 9,376,903 | 53.31% | 8,228,280 | 51.11% |
내수 | 173,004 | 2.10% | 381,646 | 2.17% | 392,954 | 2.44% | |||
합계 | 4,630,993 | 56.14% | 9,758,549 | 55.48% | 8,621,234 | 53.55% | |||
두산퓨얼셀 | 제품, 용역 | 연료전지 주기기, 장기유지보수서비스 | 수출 | 1,523 | 0.02% | 1,698 | 0.01% | - | - |
내수 | 116,656 | 1.41% | 259,185 | 1.47% | 312,149 | 1.94% | |||
합계 | 118,179 | 1.43% | 260,883 | 1.48% | 312,149 | 1.94% | |||
기타 | 레저 | 골프장 운영 등 | 수출 | 1,757 | 0.02% | 1,113 | 0.01% | 8,213 | 0.05% |
내수 | 19,885 | 0.25% | 39,153 | 0.22% | 55,072 | 0.34% | |||
합계 | 21,642 | 0.27% | 40,266 | 0.23% | 63,285 | 0.39% | |||
소 계 | 수출 | 6,387,095 | 77.43% | 13,793,257 | 78.42% | 12,600,018 | 78.26% | ||
내수 | 1,861,259 | 22.57% | 3,796,631 | 21.58% | 3,499,376 | 21.74% | |||
합계 | 8,248,354 | 100.00% | 17,589,888 | 100.00% | 16,099,394 | 100.00% | |||
중단사업조정 | 제품 | 화공기자재 등 | 수출 | - | - | - | - | (666,729) | - |
내수 | - | - | - | - | (11,607) | - | |||
합계 | - | - | - | - | (678,336) | - | |||
합 계 | 수출 | 6,387,095 | - | 13,793,257 | - | 11,933,289 | - | ||
내수 | 1,861,259 | - | 3,796,631 | - | 3,487,769 | - | |||
합계 | 8,248,354 | - | 17,589,888 | - | 15,421,058 | - |
※ 상기 매출액은 연결조정금액을 반영한 각 부문별 순매출액 입니다. ※ 제59기 중 Doosan Bobcock Ltd.와 그 종속기업은 매각계획이 확정되어 중단영업으 로 분류 되었으며, 제60기 중 매각이 완료되었습니다. ※ 제60기 중 두산메카텍㈜는 매각이 완료되어 중단영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매각 이후 범한메카텍㈜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1) 판매조직
사업별 영업팀, 해외생산법인 및 지사의 판매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판매경로
전세계 전진배치 되어 있는 영업지점과 본사에서 입찰정보를 접수하여 발주처로부터Inquiry를 접수하게되면, 견적제출 후 협상을 통해 수주합니다. 수주 후에는 설계, 자재구매, 제작의 공정을 거쳐 출하하여 발주처에게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기자재의 경우, 수주형태가 국내외의 대형 EPC사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전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기계설비 중 단품 위주로 제작, 납품하는 형태입니다. 금형공구강의 경우 판매점을 통한 위탁 판매 및 직접 판매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주로 발주처(국내외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의 발주서를 접수하여, 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발주처와의 공급계약을 맺어 판매합니다. 발전설비 수요업체(한국전력공사 등)과 상호계약 형식을 통해 공급하는 경우도 있으며, 주단 제품의 경우 판매점 (금형공구강) 및 실수요 업체와 계약형식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Type별/발주처별로 상이하나, 선급금, 중도금, 유보금 등으로 지급되는 Milestone 방식, 공정별 진행에 따른 Progress 방식, 납품 후 일괄지급 등의 수금조건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당사는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전문 제작업체로서 기술력 우위를 바탕으로 품질 및 가격에서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변화된 국내시장의 여건에 신속 대처하여 기존의 시장점유 우위를 적극 고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해외시장개척을 통해 국가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략 아이템을 선정, 중점 추진함과 동시에 세계 유수의 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해외시장에 적극적인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영업활동을 추진하던 기존의 소극적인 영업 전략에서 벗어나 프로젝트를 미리 발굴하고 발주처와의 Network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통한 영업 인력의 현지 전진배치를 실행하였으며, Roadshow를 통해 고객 추가발굴과 동시에 신뢰성을 확보하는 보다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하에서 수익확보를 실현하고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분야의 경쟁력은 최적의 가격으로 플랜트 성능, 납기 등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술 및 가격 경쟁력으로써 당사는 한국, 중동, 미국 및 유럽의 R&D 센터를 통한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품질 및 가격에서 수요자의 만족을 실현하고 국내 외 설비 시장의 빠른 환경변화에 신속 대처하여 기존의 시장점유율 우위를 고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 부문】
(1) 판매조직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주요 판매 채널은 딜러망, 렌탈 업체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문 판매
딜러를 통하여 개인 및 법인 고객들에게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NA, EMEA 및 ALAO 지역별 담당 전문 판매 딜러를 선정하여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딜러는 두산밥캣㈜이 규정한 구역별로 판매권한을 부여받으며, 각각의 딜러는
정해진 구역내에서 두산 또는 밥캣 브랜드의 독점권을 갖게 됩니다. 대부분의 딜러는동일한 제품군 내에서 타 브랜드의 제품을 취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를 강제로
규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 딜러의 경우 동일 제품군 내에서 두산밥캣㈜과 타사
브랜드를 모두 취급하기도 합니다.
딜러 선정은 재무적인 역량과 사업적인 역량을 고려하고 일관된 평가방식에
의거하여 1차 필터링을 하며, 경영진이 최종 승인을 합니다. 두산밥캣㈜은 매년
사업 계획에 근거하여 선정된 딜러에게 딜러별 목표를 부여하고,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등하여 부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부여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사전통보 후 일정기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합법적인 기준 내에서딜러쉽을 해지합니다.
두산밥캣㈜은 딜러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별화된 딜러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딜러들에게 다양하고 뛰어난 유통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산업차량 부문
산업차량 부문의 내수 판매는 국내영업 조직에서 관리하며, 대부분 판매대리점을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출 판매는 북미를 'NA',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EMEA'로 구분하며, 해당 지역을 총괄하는 판매법인(관계사)에서 현지의 딜러와 직접 딜러십계약을 체결하고 본사로부터 차량을 매입 및 재판매하는 형태로 Sales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NA'와 'EMEA'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의 딜러와 산업차량 부문이 직접 딜러십계약을 체결하여 거래를 진행하며, 세부적인 지역별 관리 조직을 두어 판매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딜러 선정에 있어 지역적 특색을 반영함과 동시에 내부적인 기준에 따르고 있습니다.이에 대한 관리는 경영진 최종 승인에 기인합니다.
(2) 판매경로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판매 채널은 직접판매, 두산밥캣 소유의 판매대리점, 그리고 전문 판매 딜러 등 크게 세 가지 판매채널을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독일, 프랑스등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두산밥캣㈜이 소유하고 있는 판매 대리점을 활용하고, 정부, 군대, 대기업 등의 경우에는 직접 판매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외 대부분의
경우에는 두산밥캣㈜이가 규정한 지역별로 선정한 전문 판매 딜러를 통하여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 반기 누적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경 로 | 직접판매 | 판매대리점 | 전문판매딜러 |
비 중 | 11.7% | 1.4% | 86.9% |
※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판매 기준입니다. |
2) 산업차량 부문
- 내수 : 직접판매와 판매대리점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 직접판매 : 생산자(산업차량) → 소비자
ⓑ 판매대리점 : 생산자(산업차량) → 판매대리점 → 소비자
- 수출 : 'NA(북미)' 지역과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은 법인을 통해,
기타 지역은 딜러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 'NA' & 'EMEA'지역 : 생산자(산업차량) → 법인 → 딜러 → 소비자 ⓑ 기타지역 : 생산자(산업차량) → 딜러 → 소비자
(3) 판매방법 및 조건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판매 방법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며, 지역별로 자체 소유 판매 대리점 및 당사의 기준에 맞게 선정한 딜러를 통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지불조건은 60일에서 90일이며, 고객의 신용한도와 지불 담당자의 판단에 따라서 현금으로 선불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지방에서는 신용장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물비용과 같은 부대비용의 경우는 기본 명세서에 포함하거나 다른 명세서에 물건판매와 같은 조건으로 별도 청구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매출채권은 금융기관을 통하여 매입 자금 융자 방식(Floor Planning: 팔릴 때까지 상품을 담보로 하는 자금 차입 방식)으로 거래되며, 이러한 매출채권은 최초 판매일 이후 수 일 이내에 금융기관으로부터 현금으로 정산됩니다.
2) 산업차량 부문
지역별로 법인, 판매대리점, 딜러, 소비자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판매하며, 제품은 최종소비자에게 직송되고 청구서만 채널에 따라 발행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물류업체, 중기 임대업자 및 자가 업체들과 직접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현금판매, 금융기관을 통한 할부금융판매(12~60개월)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1)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두산밥캣㈜의 종속회사는 전세계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판매를 하기 때문에, 건설산업 지역별 특성에 따라 전략의 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인 판매전략의 핵심은 시장 커버리지를 늘리는 것과 커버하고 있는 시장 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입니다. 시장 커버리지 확장은 딜러의 신규 모집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구역별 신규 모집 또는 시장 커버리지 로드맵을 가지고 매년 신규 딜러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커버하고 있는 시장 내 점유율 향상을 위하여 딜러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Demo, Consignment, Advertisement 등 마케팅 활동 지원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별화된 딜러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딜러 네트워크의 신규 확보, 교육, 관계 유지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딜러 Training Center, "Boot Camp”Training, Bobcat University 등 다양한 딜러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밥캣에 대한 딜러들의 이해도를 넓히고, 딜러 계약을 맺은 지점에게 Big Data 기반 건설기계 산업 관련 데이터 분석툴과 대쉬보드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등 딜러망과 네크워크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북미 시장에서는 실적 부진 또는 목표치 미달 등의 사유로 딜러쉽이 해지되지 않는 한 딜러들의 이탈이 매우 낮아 딜러와의 계약기간이 평균 29년을 상회하고 있으며, 유럽 딜러와는 최초 계약시 계약기간을 5년으로 체결하는 등 딜러 네트워크와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2) 산업차량 부문
내수 판매대리점에게는 주기적으로 우수 판매 지점 및 딜러 포상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Dealer Traning 및 Product Manual을 통해 원활한 판매 및 After Service 지원을 진행함과 동시에 딜러미팅, 공장방문, 프로슈머 등 Communication 확대를 활용해 확고한 국내 M/S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는 강력한 Dealership, 전세계 Sales Network와 세계 Major급 및 Local 전시회 참여를 통한 해외시장에서의 Reputation을 바탕으로 Field Marketing 전략을 추진하여 신흥시장에서의 시장 Leading과 선진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1) 판매조직
두산퓨얼셀㈜의 판매조직은 영업/서비스본부의 영업팀, 영업기획팀과 서비스기획관리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업팀은 발전용 연료전지 경쟁입찰에 응찰하거나 SPC 사업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반적인 수주영업활동을 담당하며, 영업기획팀에서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 시행에 따른 수소발전 입찰시장 대상 사업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기획관리팀에서는 공급이 완료된 연료전지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 체결 및 서비스 관련 고객사 대응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의 판매는 주로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가 진행하는 경쟁입찰에 회사의 영업조직이 직접 응찰하여 선정된 후, 발주처와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외 SPC 사업의 경우 회사의 영업조직이 주주사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성 검토 및 Project Financing을 거쳐 최종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하에서는 수소발전 입찰시장(관리기관 : 전력거래소)이 개설되어 경쟁입찰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두산퓨얼셀㈜은 주기기 공급사로써 발전사업자 및 이해관계자들과 공동으로 사업을 개발하고, 해당 사업이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낙찰될 경우 최종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연료전지 공급 후에는 해당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공급한 주기기에 대해서 장기유지보수서비스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을 체결하여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판매조건
주기기 납품에 대한 대금 지급은 일반적으로 계약체결 후 발주사와 두산퓨얼셀㈜이 협의한 비율과 일정에 따라 선급금, 중도금 및 잔금으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두산퓨얼셀의 청구에 따라 협의된 비율의 선금을 지급받은 후, 주기기 납품에 따라 중도금을 지급받고, 최종 시운전을 통한 종합준공 시에 잔금을 지급받는 구조입니다.
장기유지보수서비스는 발전소 종합준공 후 일반적으로 10년 혹은 20년 동안 제공하며, 두산퓨얼셀㈜이 공급한 연료전지 주기기 전체 대수를 대상으로 연간 매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4) 판매전략
두산퓨얼셀㈜은 현재 공급하고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의 원가 경쟁력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시장과 고객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두산퓨얼셀㈜ 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 시장확대 및 점유율 확보를 위하여 신규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차세대 수소 전소 모델(M500)의 개발 등 적극적인 기술 개발을 통하여 고객에게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장 확대 측면에서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하여 프로젝트 개발 및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1년 9월 중국 포산시 수소에너지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국내 최초로 발전용 연료전지를 수출하였으며, '22년에는 중국 현지 기업과 대규모 협력계약을 체결하여 중국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을마련하였습니다. 또한, '23년 2월에는 남호주 주정부와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 시장에서의 사업기회 학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타 부문】
(1) 판매조직 및 경로
두산큐백스㈜의 골프장 운영 부문은 본사에 위치한 예약실을 통해 예약 업무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위탁사업 부문의 경우, 연강원은 길동에 위치한 두산연강원 內 식당을 위탁운영 하여 직접 판매하고 있고, 창원사업부문은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를 위탁운영 하고 있습니다. 업무대행 사업부문은 ㈜두산외 그룹 계열사의 급여/총무/복후/영상/MD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고, 건물관리대행 사업부문은 그룹 계열사 입주 건물에 대한 관리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판매방법 및 조건
골프 부분은 실수요 내장객과 계약형식 입니다. 위탁 사업부분에서 두산연강원 및 창원사업부분은 두산경영연구원, 두산에너빌리티㈜와의 상호계약 형식이며, 업무대행 사업부분은 ㈜두산 BG별외 계열사와의 상호계약 형식입니다. 건물관리대행 사업부분은 그룹 계열사내 건물 임대인과의 상호계약 형식입니다.
(3) 판매전략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탁운영 사업장(라데나골프클럽, 두산에너빌리티㈜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 위탁운영, 두산그룹 연수원 연강원식당 위탁운영)을 전문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습니다.골프장 클럽하우스를 비롯한 시설물 리모델링, 코스 및 그린 공사, 카트도로 리뉴얼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가치증대를 꾀하고 있으며, 2008년 부터 15회에 걸친 두산매치플레이 챔피언쉽의 성공적인 개최 및 골프다이제스트가 선정한 2022 강원권 베스트 코스 선정, 매일 경제신문과 한국리서치가 공동 조사한 2023 대한민국 골프장 평가에서 전국 회원제 8위와 강원권 회원제 1위에 선발되는 등의 골프장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해 가고 있으며 동종업계 Top Tier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다. 수주상황
(1) 당해년도 체결된 주요 신규 수주상황
(단위 : 억원) |
프로젝트 | 계약시기 | 발주처 | 계약금액 |
의왕월암 A-3BL 아파트 건설공사 2공구 | 1월 |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26 |
부산, 신인천 가스터빈 로터 수명연장 | 1월 | 한국남부발전(주) | 429 |
공주복합 STG | 2월 | (주)대우건설 | 484 |
Taiba & Qassim | 3월 | SEPCO3 | 1,468 |
IEM Fuel Conversion | 5월 | Engine energia Chile S.A. | 531 |
안동복합2 DGT LTSA | 6월 | 한국남부발전(주) | 786 |
삼척 교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 6월 | 대한토지신탁(주) | 1,086 |
보령신복합 DGT LTPM | 6월 | 한국중부발전(주) | 1,121 |
논산 취암동 공동주택 신축공사 | 6월 | (주)건우씨엠 | 1,171 |
분당열병합 가스터빈 | 6월 | 한국남동발전(주) | 2,398 |
※ 상기 내용은 당사의 수주인식 기준으로 실제 계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당반기말 현재 주요사업부문별 수주상황
(단위 : 억원) |
구분 | 주요 계약명 | 기초 | 증감 | 매출계상액 | 기말 |
두산에너빌리티㈜ | 신한울3,4 원자로설비 외 | 159,720 | 21,823 | 35,145 | 146,398 |
두산퓨얼셀㈜ | 위탁 운영서비스 계약 | 16,839 | (69) | 642 | 16,128 |
두산밥캣㈜ | 연장보증 외 | 5,822 | 2,298 | 187 | 7,933 |
합계 | 182,381 | 24,052 | 35,974 | 170,459 |
기타 참고사항
가. 연결기업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부문구성 | 구분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두산에너빌리티㈜ | 두산에너빌리티㈜, Doosan Power Systems S.A. Doosan Enerbility America Holdings LLC, Doosan Enerbility Vietnam Co., Ltd Doosan Power Systems India Privite Ltd., 등(주1,2) |
매출액 | 3,762,669 | 44.04% | 8,239,267 | 44.98% | 7,605,461 | 45.77% |
순매출액 | 3,477,540 | 42.16% | 7,530,190 | 42.81% | 7,102,726 | 44.12% | ||
영업이익(손실) | 146,249 | 20.39% | 225,069 | 13.94% | 167,236 | 13.45% | ||
총자산 | 16,413,585 | 55.01% | 16,278,525 | 57.60% | 15,901,517 | 59.51% | ||
두산밥캣㈜ | 두산밥캣㈜ 및 그 종속기업 | 매출액 | 4,631,222 | 54.21% | 9,758,907 | 53.28% | 8,621,912 | 51.88% |
순매출액 | 4,630,993 | 56.14% | 9,758,549 | 55.48% | 8,621,234 | 53.55% | ||
영업이익(손실) | 565,510 | 78.82% | 1,389,900 | 86.10% | 1,071,607 | 86.20% | ||
총자산 | 11,748,129 | 39.37% | 10,371,754 | 36.70% | 9,248,386 | 34.61% | ||
두산퓨얼셀㈜ | 두산퓨얼셀㈜ 및 그 종속기업 | 매출액 | 118,179 | 1.38% | 260,886 | 1.42% | 312,149 | 1.88% |
순매출액 | 118,179 | 1.43% | 260,883 | 1.48% | 312,149 | 1.94% | ||
영업이익(손실) | 3,817 | 0.53% | 1,642 | 0.10% | 7,222 | 0.58% | ||
총자산 | 1,131,983 | 3.79% | 1,070,843 | 3.79% | 1,026,930 | 3.84% | ||
기타 | 두산큐벡스㈜ 등 | 매출액 | 31,005 | 0.37% | 58,619 | 0.32% | 78,154 | 0.47% |
순매출액 | 21,642 | 0.27% | 40,266 | 0.23% | 63,285 | 0.39% | ||
영업이익(손실) | 1,853 | 0.26% | (2,402) | (0.14%) | (1,176) | (0.09%) | ||
총자산 | 545,702 | 1.83% | 542,586 | 1.91% | 544,639 | 2.04% | ||
소계 | 매출액 | 8,543,075 | 100.00% | 18,317,679 | 100.00% | 16,617,676 | 100.00% | |
순매출액 | 8,248,354 | 100.00% | 17,589,888 | 100.00% | 16,099,394 | 100.00% | ||
영업이익(손실) | 717,429 | 100.00% | 1,614,209 | 100.00% | 1,244,889 | 100.00% | ||
총자산 | 29,839,399 | 100.00% | 28,263,708 | 100.00% | 26,721,472 | 100.00% | ||
중단사업 조정 | 매출액 | - | - | - | - | (678,763) | - | |
순매출액 | - | - | - | - | (678,336) | - | ||
영업이익 | - | - | - | - | (1,059) | - | ||
총자산 | - | - | - | - | - | - | ||
연결조정 | 매출액 | (294,721) | - | (727,791) | - | (517,855) | - | |
순매출액 | - | - | - | - | - | - | ||
영업이익(손실) | (49,568) | - | (146,891) | - | (137,709) | - | ||
총자산 | (3,725,294) | - | (3,622,874) | - | (3,671,690) | - | ||
합계 | 매출액 | 8,248,354 | - | 17,589,888 | - | 15,421,058 | - | |
순매출액 | 8,248,354 | - | 17,589,888 | - | 15,421,058 | - | ||
영업이익(손실) | 667,861 | - | 1,467,318 | - | 1,106,121 | - | ||
총자산 | 26,114,105 | - | 24,640,834 | - | 23,049,782 | - |
(주1) 제59기 중 Doosan Bobcock Ltd.와 그 종속기업은 매각계획이 확정되어 중단영업으로 분류 되었으며, 제60기 중 매각이 완료되었습니다. (주2) 제60기 중 종속기업 두산메카텍㈜의 매각이 완료되어 중단영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매각 이후 범한메카텍㈜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
나. 업계의 현황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1) 산업의 특성
원자력설비 산업은 전 세계 전력 생산량의 약 11%을 담당하고 있는 주요 발전원인 원자력발전에 필요한 설비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전후방산업에 연관효과가 크고 장기간 기술개발 및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여 대부분 국가에서 국가기간산업 및 수출전략산업으로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입니다.
주단 산업은 조선용 기자재, 발전/제철/화공/시멘트 플랜트/해양 플랜트 등의 핵심소재, 가전/자동차 프레임 생산용 기초소재 등을 공급하는 산업으로 기본적으로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일종의 장치 산업입니다. 따라서 초기 설비투자 및 기술부문투자에 비해 투자비 회수기간이 길고 제조기술력이 중요한 경쟁력이며, 대량생산에 따른 Cost 절감효과가 큰 것이 특징입니다.
발전설비 산업은 전후방산업에 연관효과가 큰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장기간의 기술개발과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여 선진국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주문생산 산업입니다. 현재는 대부분 국가에서 국가기간산업 및 수출전략산업으로 채택하여,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중요한 산업입니다. 발전서비스 산업은 개별 발전소를 대상으로 한 현지화 중심의 산업으로, 발전소 운영 전 기간에 걸쳐 수요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산업입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은 탈탄소화 등 친환경에너지 중요성의 증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제 10차 전력수급계획에서도 원자력 확대와 더불어 신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확대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기존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 달리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분산형 전원은 송배전망 투자 필요성이 작고, 전력 수요에 따라 배치가용이하여 국가 전력 계통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36년까지 태양광, 풍력 위주의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 구축이 전망됩니다.
복합화력 발전소는 부하 변동에 따른 빠른 조정이 가능해, 전력 수요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력망의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높은 효율과 유연한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특정 연료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연료로 전환할 수 있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복합화력 산업은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전력 생산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과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풍력 산업은 풍황 자원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Global 국가들의 탈탄소 선언 및 신재생 확대정책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23년 말 기준 전세계적으로 총 1TGW 설치되었습니다. 풍력터빈 발전기는 초기 대비 지속적으로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해상풍력 사업은 육상대비 설치 부지의 제한이 적고 풍속이 높으며, 비교적 균일한 풍황으로 이용률이 높기 때문에 발전기 모델의 대형화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또한 해상 풍력은 부지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근해에서 원해에 프로젝트가 개발 중에 있으며 그에 따른 프로젝트 대형화 추세에 있습니다.
지구의 물 대부분(97%)은 바닷물이고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은 1%도 되지 않습니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물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사업에 집중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해수담수화 산업은 지역별 해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다양한 처리 기술을 통해 음용수로 전환하고 잔여 농축수 처리 설비까지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매우 고도화된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입니다. 동 산업 분야는 플랜트 건설을 위한 엔지니어링, 제작, 시공 및 유지/보수 기술 이외에도 Financing, 계약관리 등 사업과 관련된 일련의 역량을 필요로 하는 등 고도의 기술/지식 집약적 산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원자력발전은 전 세계 발전량의 약 10% 가량을 담당하는 안정적인 기저부하 전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건설이 위축되었으나 최근 탄소중립의 주요한 발전에너지원으로 인식되면서 국내뿐 아니라 일본, 미국 등 원전 선도국들이 원전산업을 재개하고 있습니다. 중국,인도,영국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신규원전 건설이 본격화되어 2040년까지 267GW규모의 신규원전이 건설 예정이며, 폐로되는 원전을 고려하더라도 총 518GW(2017년 413GW에서 105GW 증가)까지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에서도 정부가 원전건설 재개 및 수출지원을 발표하면서 신한울#3,4 건설 재개와 더불어 가동원전 계속운전 예상되고 있습니다.
주단 산업은 발전, 제철, 화공, 시멘트, 선박엔진부품, 선박부품, 해양플랜트 산업 설비에 소요되는 주단조품과 자동차 및 수송기계, 가전, 전기, 건축자재 등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소재인 금형공구강재를 생산ㆍ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련사업의 핵심소재를 생산함에 따라 국내 연관 산업과 동반하여 성장세를 유지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꾸준히 수출량을 확보해오고 있습니다. 세계 경기침체의 여파로 주단조품 관련 수요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나 조선, 해양, 자동차 등 관련 시장의 장기적 성장세가 전망되어 주단사업의 전방산업 수요 또한 안정적인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가스복합의 경우, EU-Taxonomy에 추가 발전원으로 포함되며 에너지안보 대응을 위한 핵심 발전원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30년 이후부터는 기존 석탄, LNG 가스 복합화력의 수소혼소 전환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요 가스발전 시장으로는 아시아의 베트남 Gas to Power 정책을 중심으로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27년까지 50GW 발전량 확대가 예상되며, 중동 사우디 중심으로 쿠웨이트, 카타르 등 '27년까지 32GW 추가 설비 확대가 전망됩니다. 종합적으로, Global 기후변화 움직임에 따라 석탄화력 시장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가스복합 및원자력, 신재생에너지가 주요 발전원으로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전망됩니다.
지난 10년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에 힙입어 연평균 20% 수준의 빠른 성장을 이뤄왔으나, 여전히 Net Zero 및 NDC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꾸준한 설비용량 확대가 필요합니다. 최근 정부는 에너지안보를 위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제 10차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전원 Mix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신재생에너지는 '36년까지 연평균 10%의 설비용량 확대가 예상되며, 대외적으로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및 배출권 유상할당 증가 등에 따라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확대가 전망됩니다. 또한 2023년 3월, EU는 RED-II(Renewable Energy Directive-II) 개정을 통해 구속력을 갖는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를 32%에서 42.5%로 상향 조정하고, 세부 이행 목표를 제시함에 따라 의무적 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세계 400 개 이상의 기업이 자발적 RE100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여 협력사 또는 부품, 서비스 제공사에도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24/7 Carbon Free와 같이 연중 무탄소 전원 100% 달성을 위한 글로벌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점차 커져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Electricity 2024: Analysis and forecast to 2026'에 따르면 2023년 세계 전력 수요 증가율을 2.2%로 전년(2.4%) 대비 낮아졌지만, 신흥국의 수요 증가와 에너지 집약적인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가상화폐에서의 전력 수요 증가가 계속되면서 2024~2026년에는 연평균 3.4%로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가 2025년에 세계 전력의 1/3 이상을 공급하면서 석탄을 누르고 최대 전력 공급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원자력 발전량 또한 2025년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전력부문 탄소 배출량은 재생에너지 보급 증가, 석탄화력발전 감소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감소는 예상되며 2024~2026년 세계 배출량 감축 기여도는 중국 50%, 미국 25%, EU 20% 등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전력 공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력 안보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습니다.
풍력산업의 경우 2023년 신규 해상풍력 설치 용량은 9.8GW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아시아에서는 18곳, 유럽 7곳 등 총25곳의 새로운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운전 개시하여 전 세계 누적 설치용량은 67.4GW에 도달하였습니다. 2023년말 기준 건설 중인 해상풍력 용량은 중국이 6.3GW로 가장 많고 영국 3.9GW, 대만 2.4GW가 다음입니다. 한국은 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 (100MW)를 건설 중으로 한국 내 최대 규모입니다. 2023년에는 22.9GW 규모의 터빈 공급계약이 체결되었으며 2032년까지 누적 해상풍력 용량은 414GW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Data source - 풍력 : GWEC global offshore wind report 2024, 전력 : IEA의 Electricity 2024: Analysis and forecast to 2026
기후변화 가속화로 인해 강수량의 지역간 편차가 커지면서 물 부족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 발전에 따라 산업용수 수요가 증대되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이 전세계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수담수화 산업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해수담수화 설비는 기존의 사회간접자본사업은 정부 발주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민간자본 투자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사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해수담수화 설비 투자는 각국 정부의 중장기 수자원 확보 계획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통상 마찰이나 규제가 적어 국내ㆍ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담수시장 규모는 '26까지 연평균 5.2%의 생산용량 확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며(Global Water Intelligence, DESAL DATA 자료), 물수요의 경우 국민소득 수준에 따라 비례하는 특성이 있어 선진국 및 중동 시장뿐 아니라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 인도, 중남미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시장 확대와 더불어 탈이온수(Demi Water) 생산 설비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탈이온수 설비 시장은 현재 8천억원 규모에서 '28년 기준 2.8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어, 수처리 사업의 새로운 먹거리로 급 부상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원자력설비 산업은 계획부터 완공까지 10년 이상 소요될 정도의 장기적인 건설 사업으로 경기 변동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국가별 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중장기 관점의 에너지, 전원 계획에 따라 원전의 건설 여부가 결정되어 특정 경기변동보다는개별 환경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사례에서 유가가 높을 경우 원전의 수요가 증가하고, 낮을 경우 원전의 수요가 감소하는 등 유가변동에 일부 영향이 있으며 최근에는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원전에 추가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단 산업은 SOC, 발전, 선박 및 엔진부품, 산업 플랜트, 자동차, 가전, 전기, 건축관련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최종수요자가 매우 다양하며 특히 발전, 시멘트, 제철 부품 및 금형소재는 국내외의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경기 변동에 따라 그 수요가 좌우되고 있습니다.
발전설비 사업은 경제활동의 원동력인 중간 생산재(에너지)를 생산에 관여하는 산업으로 투자규모가 크고 자본의 회수기간이 길어 전반적인 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 등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결정됩니다. 즉 기업생산성 유지와 가정의 기본생활 지속을 위한 대표적인 필수 에너지원으로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중장기 전원공급계획에 의거한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수적이며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으로 변동성이 제한적인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전소 운영/유지보수, 자산관리 등의 발전서비스 산업에 대한 수요는 경기변동과는무관하게 꾸준히 존재합니다. 다만, 해외사업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별 경제 성장률, 유가 변동 등 대외적인 경제 흐름과의 관련성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복합화력 산업은 경기 변동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전력 수요와 연료 가격의 변동성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경제 활동이 활발할 때, 즉 경기가 좋을 때는 산업, 상업, 주거용 전력 수요가 증가합니다. 복합화력 발전소는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발전소의 가동률 상승 또는 신규 프로젝트 추가 발주가 확대가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복합화력 발전소 운영 비용은 연료(천연가스)의 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발주 시점의 연료 가격에 따라 발전소 시장 규모의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연료의 가격에 대한 신중한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산업은 정부 정책에 따라 성장성 및 사업성이 민감하게 반응하며,경기변동의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12년 정부의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 도입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장초기 보급활성화를 이뤘으며, 이후 재생에너지 3020이행계획, NDC 상향안 등 정부 주도의 정책 하에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왔습니다. 그리고 '22년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타 전원 대비 가장 큰폭으로 확대될 예정으로, 여전히 빠른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바다에 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여 발전하는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입지제약에서 자유롭고, 대규모 단지 개발로 더 많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상풍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 환경문제를 방지하고, 바다의 강한 바람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높은 발전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재생에너지가 그렇듯 경기변동 보다는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11차 실무안 동일하게 향후 보급 확대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담수/수처리 설비 산업은 대규모 설비를 제작, 설치하는 사업으로 원자재 구매 및 설비구축에 대형 초기자본이 요구되고, 프로젝트 종료 시점까지 분할 수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본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등 외부의 영향이 큰 환경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담수설비 산업은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고 국내외 경기변동과 정부정책, 환율, 원자재, 유가 등 예상할 수 없는 원가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나 수자원은 필수재로서 국가별 중장기 개발 계획에 의해 진행되므로 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최근 유가 상승 기조의 영향으로 인한 중동 국가들의 산업 인프라에 대한 투자 증대 전망으로, 중동 지역 대형 해수담수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발주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원자력설비 기술은 국가 안보 및 경쟁력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 노형을 보유한국가는 자국 기업을 선호하여 독점 체계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자 노형을 보유하지 않은 국가는 안전성이 검증된 Major Player사 노형을 도입하는데 노형 선택시에는 안전성, 가격 경쟁력, 납기 준수여부 외에도 국가 간 외교적 이해관계가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국내 원자력 산업은 발전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을 중심으로 종합설계(한국전력기술), 핵연료 공급(한전원자력연료), 발전소 주기기 제작/공급(당사) 역무가 구조화되어 수의계약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엄격한 품질보증과 실증설계 등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유자격업체만이 원자력 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단 산업의 경쟁력은 다품종 소량의 제품을 고객 요구조건에 부합되게 생산할 수 있는 역량에 의해 좌우되며, 이를 위해서는 고철/합금철 등 양질의 원재료 적기 확보, 경쟁력 있는 Outsourcing 업체 보유, 시장이 요구하는 신기술 개발, 그리고 각 공정의 생산성에 기초한 원가경쟁력 등이 요구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사업능력제고 활동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으며, 특히 Plate Mill용 Backup Roll, 원자력/산업용 Shell 등 주요 제품에 대한 설비투자를 추진하였고, 국제적CO2 저감이슈에 따라 고효율발전소 대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관련 핵심소재인 USC (Ultra Super Critical) Rotor 시장의 장기적 성장전망에 대비하여 신규 ESR (Electrode Slag Remelting) 설비투자를 완료하였으며, SMR 단조 소재 및 해상풍력설치선, 해양 시추 설비, 운반선 및 특수선 등 해양플랜트에 소요되는 다양한 Grade의 고강도저온 주단조품 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 17,000톤 프레스 도입으로 발전과 산업 분야의 초대형 단조품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공장 LM(Lean Manufacturing)활동을 통한 생산성 향상, ICT와 생산의 접목을 통한 운영효율 향상,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소재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등 경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고객의 가치창출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발전 Plant 시장은 다수의 대형업체들이 공개입찰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완전경쟁체제로서, 당사는 해외시장에서 막강한 자금력과 기술력을 가진 선진업체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으로 대부분 경쟁입찰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가격경쟁력과 신뢰할 수 있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수행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발전 및 담수 설비를 엔지니어링부터 구매, 생산, 시공, 시운전, O&M(유지보수 및 운영) 등 EPC 사업의 모든 Value Chain 수행이 가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하여 가격 및 성능 등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발전 및 담수플랜트 시장은 대부분 경쟁입찰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어, 가격경쟁력 확보 및 신뢰할 수 있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수행 능력이 요구됩니다. 당사는 발전 및 담수플랜트의 엔지니어링부터 구매, 생산, 시공, 시운전, O&M(유지보수 및 운영) 등 EPC 사업의 모든 Value Chain 수행이 가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하여 가격 및 성능 등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발전 산업은 초기 사업정보 입수부터 사업성 검토, 인허가 진행, 금융 조달, EPC 공사 및 발전소 유지/보수까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사업개발에 장기간 소요되는 특성상 프로젝트 Risk관리가 중요합니다. 당사는 개발사업에 특화된 프로세스 및 RIsk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도 적용 확대와 같이 발전사업자의 원가경쟁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경쟁력 있는 기자재, EPC, O&M 구성을 통한 효율적인 사업비 및 전력단가 산정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민간발전사업 경험이 풍부한 인력을 통해 신속한 인허가 절차 진행 및 경쟁력 있는 금융구조를 수립을 통해 프로젝트 사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풍력 산업은 해상풍력의 급격한 성장과 그에 따른 단지 대형화 그리고 모델 대형화가동시에 진행중으로 모델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공장 구축 등 투자가 필요합니다. 특히 대형 해상풍력 터빈 발전기 신규 플랫폼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기술개발 투자가 필요하며, 생산을 위한 제조 공장 및 supply chain에 연관된 투자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최근 해외사들의 경우 해상풍력 시장은 이와 같은 모델 대형화 및 단지 규모 확대에 따라 대규모 투자와 함께 대규모 물량을 공급할 수 있는 생산설비를 구축하여풍력 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당사도 10MW급 대형 풍력 모델 개발을 국책과제로 진행중에 있으며, 공장 구축 등 생산설비에 대한 투자도 병행하여 국내 해상풍력의 성장세에 발맞추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원자력발전의 핵심 기기인 원자로와 증기발생기는 주단소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며 특히 증기발생기는 내부에 수많은 Tube가 설치되는데 원자력에 사용되는 주단소재와 Tube의 공급 가능 업체가 제한되어 있어 적기에 주단소재 및 Tube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외 다수의 보조기기들은 대부분 Outsourcing으로 조달하고 있습니다.
주단조품 생산을 위한 주요 자원은 크게 고철, 합금철, 부자재 및 Utility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철은 국산 High Quality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합금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므로 국제가 및 환율 변동에 따라 가격의 등락이 결정됩니다. Utility 비용은 전기, 유류 및 Gas비 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정부의 전기 및 유가정책이 제조원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발전설비 산업은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기설계 및 제작능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산업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재, 기자재의 구매 프로세스 최적화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원자력, 복합화력 등 주기기 기자재 제작에 필요한 소재는 사내 주단 사업부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며, 일부 주/단품은 Global Sourcing Supply Chain을 구축하여 조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창원 공장뿐만 아니라 베트남 생산기지인 Doosan VINA와 체코의 Doosan Skoda Power를 활용하여 기자재 제작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지자체와 협력하여 국내 가스터빈 중소/중견 가스터빈 업체를 육성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국내 가스터빈 산업 생태계를 구축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가스터빈의 가격/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 기반으로 안정적인 인력과 부품 공급이 가능합니다.
발전, 담수 플랜트의 경우, 전체 EPC를 주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어 최소 2~3년이소요되는 플랜트 건설 기간 동안 원자재의 안정적인 조달 여부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위해 세계 각지의 지점 및 계열사 Network 활용한 Global Sourcing 활동을 통해 높은 품질의 자재를 조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담수설비의 경우 해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부식 방지를 위해 크롬 함량이 높은 스테인레스강 계열의 원자재를 통해 담수 설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해당 설비는 상대적으로 원자재 가격 및 환율 변동에 의한 가격변동성이 높아, 당사는 선물 거래 등을 통해원자재 가격변동 Risk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R&D 바탕으로 설계 개선활동을 통해 원자재 가격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풍력 기자재의 경우 양산산업의 특성상 확보된 Supply Chain 기반으로 주요 기자재에 대한 공급을 받고 있으며, 그에 따른 양산 기반의 프로세스 최적화가 동반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시스템 구축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품목의 경우 Global Sourcing을 통해 우수한 품질의 주요 기자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병행하여 국내에서도 중소/중견 업체와의 협업을 하고 있는 등 풍력 산업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기반의 안정적인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그리고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풍력터빈 및 연료전지는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핵심 기자재입니다. 당사는 국내/외 업체 Sourcing을 통해 고효율, 고품질의 기자재를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내부 핵심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 풍력터빈의 직접 제작/조달 및 계열사인 두산퓨얼셀을 통해 연료전지의 공급이 가능합니다.
건설자재는 계절과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자원수급의 불균형이 잦으며, 지역간 수요편차가 심하고 유통단계도 복잡한 편입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공사 수행을 위해 다양한 공급원의 확보를 통한 안정적 건설자재 조달 및 재활용 가능한 건설자재 활용방안 모색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설사업 특성상 다른 산업에 비해 프로세스의 자동화ㆍ표준화가 미흡하여 생산요소에서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효율적인 인적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해외건설사업부문의 확대에 따른 해외에서의 자원, 장비 등의 수급관리에도 힘써야 합니다.
(6)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전세계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2010년 4월부터 발전사업자에게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법률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재생에너지3020',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3차 에너지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법 개정(2019.10월) ', '그린뉴딜 계획' 등 정책이 추가되며,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장에 큰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Climate Group 주도로 고객사, 정부, 투자/평가기관, NGO 등 기업의 자발적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위한 RE100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맞춰 국내에도 2020년 K-RE100 제도를 도입하며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재생에너지활용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2022년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에너지안보를 위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NDC 안 대비 원전 발전비중이 다시 상향 조정 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NDC 목표 대비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다만 여전히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연평균 10% 이상 성장률을 바탕으로, 2023년 연간 설비 공급용량 32.8GW에서 2036년에는 108.3 GW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화석연료로부터의 경제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1988년부터 시행되어 온 대체에너지개발촉진법은 1998년에 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으로, 2004년에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약칭 신재생에너지법)으로 개정되며 기존에 초점을 맞추었던 '개발'뿐만 아니라 이용과 보급으로도 목표를 넓혔습니다. 이후 2010년 4월부터 발전사업자 등 에게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법률이 시행되었으며 '재생에너지3020',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3차 에너지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법 개정(2019.10월) ', '그린뉴딜 계획' 등이 반영되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서는 2038년까지 CFE 70% 달성 목표를 제시하였고, 수소전환 및 무탄소 기술 보급 확대 등이 반영되어 향후에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5년 파리기후변화 협약에서 발의된 '2050 탄소중립'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대체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확대가 전망됩니다. 특히, 복합화력의 경우에는 국내에서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36년까지 노후 석탄발전(14.1GW)을 복합화력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당사의 핵심 시장인 중동, 아시아지역에서도 복합화력 수요 증대가 예상되며, 대표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Vision 2030' 계획에 따라 '26년 까지 복합화력 15GW 신규 발주가 전망됩니다.
최근 풍력 산업은 정부의 신재생보조금정책 지원 확대에 따라 해상풍력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해상풍력의 REC 기본 가중치 상향 및 수심/연계거리에 따른 추가 가중치 부여 등으로 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기대되고 있어 시장 성장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담수설비 산업의 경우, 환경부, 해외건설협회 등에서 프로젝트 사업성 분석, 시장조사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획재정부, 수출입 은행 등에서 EDCF(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대외경제협력기금), KOICA(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한국 국제 협력단) 등을 통해 남미 등 신규 진출 지역에서의 사업에 재정을 지원함으로써 해외 사업 촉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환경부의 해외 녹색산업 정책을 통한 해수담수화 지원, 농식품부 주관 해외 스마트팜 수출과 연계된 해수담수화 사업 등 당사의 해수담수 사업을 확장시킴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7) 신규사업에 관한 사항
당사는 국내외 시장 및 정책 변화를 반영해 그 동안 가스터빈, 신재생,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글로벌 복합화력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노후 복합화력 폐지와 이를 대체하기 위한 한국형 표준 복합화력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당사는 고효율 친환경 H급 OEM GT 생산 및 서비스 사업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당사에서 개발 완료된 대형 가스터빈은 2023년 7월 김포열병합 성공적 상업운전을 시작으로 신뢰성을 조기 입증하였고, 이로 인한 가스터빈 수주전망이 본격화 되어 '23년 1기, '24년 3기의 가스터빈 수주 완료하였습니다.
국내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풍력사업은 8MW급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완료하여 한동평대 PJT 등 수주가 가시화 되었으며, 아울러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 국책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개발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에너지 Value chain 내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수소 및 탄소 자원화 시장에서의 신규 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전자회사 및 민간기업과 협력을 통해 국내 청정수소 공급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소 혼소 기술을 적용한 국내 저탄소 전력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원전 시공역량을 기반으로 해외원전 건설공사 진출 및 수주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2022년 11월 한국수력원자력과 약 1조 6000억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자력발전소 2차측(Turbine Island) 건설공사를 수주하였습니다. 해당 수주에 따라 2029년까지 원자력 발전소 내 터빈건물, 수처리, 냉방시설 등 총 82개 구조물을 건설하고 터빈과 발전기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또한 2023년 12월 한국수력원자력과 약 1조 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주설비 공사를 수주한 바 있습니다. 해당 수주에 따라 당사는 2033년 10월까지 1400㎿급 원자력 발전소 2기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등 건설 공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해외 원전 수주를 위해 한국수력원자력과 당사를 포함한 원전공기업 및 민간기업으로'팀코리아'가 구성되었고, 체코 신규원전 건설의 우선협상대사자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선정이 되었습니다. 다만, 현재 한국수력원자력과 당사간 기자재 공급 및 시공 계약 체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으나 향후 진행 사항에 따라 계약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대형원전 주기기 제작 경험을 기반으로 소형모듈형원전(Small Modular Reactor,SMR)을 위탁받아 제작해주는 SMR Foundry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SMR 개발사 중 Global 선두 주자인 NuScale에 선제적 지분투자 및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SMR 제작물량을 확보하였으며, 대형원전과 더불어 SMR 동시 제작이 가능하도록 생산능력(Capacity)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SMR 시장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 혁신제작기술을 도입하여 제작기간 단축 및 고품질 SMR 양산이 가능한 전용생산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두산밥캣 부문】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1) 산업의 특성
건설기계 산업은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건축, 도로, 항만, 철도, 발전, 농지조성, 하천, 댐 등의 시설공사에 효율적, 능률적으로 활용되는 수단으로 쓰여지는 건설용 기계 및 이와 관련된 건설기계용 부품, 건설기계에 부착되는 Attachment,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 및 도구를 포함하며 부품생산에서 조립에 이르는 종합 제조산업입니다.
건설기계 산업은 다양한 부품의 가공/조립산업으로 기계산업 전반의 종합적 기술을요구하며, 제품주기가 길어 생산기술력이 경쟁력을 좌우하므로 장기적인 기술투자를필요로 합니다. 특히, 핵심 부품은 오랜 경험과 기술 축적을 필요로 하는 고급 기술 수준이 요구됩니다.
또한 생산 품목이 광범위하므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한 대규모의 시설투자가 요구되는 산업이며, 소재 및 부품에 이르기까지 기계산업 전반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요구되어 장기적인 기술투자 및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세계 건설기계 시장의 주요 수요처인 북미와 유럽지역에서 도심지 협소지역 공사 증가로 Compact Equipment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주요 소형 건설기계로는 Skid-Steer Loader, Compact Track Loader, Mini Excavator, Telescopic Handler, Backhoe Loader, Compact Tractor 등이 있으며 특히, 도심지와 같은 협소한 지역의공사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소선회(장비의 후방 선회반경을 최소화하여 작업 시 장비의 돌출이 최소화된 장비) 미니굴착기의 수요 증가가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기계 산업은 전방산업인 건설업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산업으로 건설경기의 기복이 있을 경우 계획 생산이 어려워 수출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수출 지향형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Heavy 건설기계를 중점적으로 판매하는 회사들의 경우 경기 흐름 영향을 많이 받으며, 그 이유는 Heavy 건설기계가 주로 대형 건설 공사에 사용되고 대형 건설 투자 규모는 경기 호황과 불황 시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두산밥캣㈜의 주력 제품인 Compact Equipment는 주택 건설, 농업, 조경 시장을 주요 매출 타겟으로 삼고 있으며 소형, 범용 제품의 특성 상 Heavy 건설기계 제품에 비해 거시경제 지표의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덜 민감한 편입니다.
(4) 경쟁요소
Compact Equipment 시장은 견고한 브랜드 인지도와 폭넓은 딜러 네트워크를 지닌 선두업체들이 시장 과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Compact Equipment 시장의 경우, 건설기계 고객의 보수적인 구매 행태(품질에대한 신뢰도, 내구성, A/S 용이성 등을 고려한 구매 행태)로 인하여 브랜드 이미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기에 선두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Compact Equipment 시장은 Heavy 건설기계와는 달리 소득수준이 높은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이는 인력으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Compact Equipment의 대체수요 발생이 적정 GDP 수준 이상이어야 하는 것에 기인합니다.
또한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갖추지 못한 경우 다양한 니즈를 지닌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공급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딜러의 경우,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브랜드 제품의 판매에 집중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갖추지 못한 경우 딜러들의 모집/유지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즉, 오랜 기간에 걸친 제품개발과 판매 채널 구축에 투자를 진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그에 따른 충분한 제품 라인업 구축이 수반되어야만 적정 이익 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특성 상 신규업체의 진입 난이도는 높은 편입니다.
(5) 자원 조달의 특성
건설기계 산업은 수 만 여개의 부품 조립 생산의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주요 원재료를같은 특성을 지닌 그룹별로 나눠 구분하고 있으며 두산밥캣㈜은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 다양한 국가의 공급처로부터 원재료를 구입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이 제품 생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주요 원재료는 제품의 뼈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철, 알루미늄, 용접부품, 비철금속 등과 석유화학원료, 고무, 플라스틱 등이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차지하는 원재료(부품)으로는 엔진, 유압기계 및 파워트레인, 전장부품을 꼽을 수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Global 생산 및 영업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괄적인 생산 수요 대응, 원재료조달을 위해 Global 원재료 공급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원재료의 적시 공급 및 적정 품질 관리를 위해 신뢰성을 지닌 한정된 그룹의 공급업체를 통해 주요 원재료 및 부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생산 능력, 가격, 배송, 품질 및 재무 안정성등을 감안한 평가 절차를 거쳐 원재료 및 부품 공급업체를 선택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공급업체의 재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두산밥캣㈜은 원재료 공급업체와 상호간 이익이 될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장기 파트너쉽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6) 관계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유럽 및 미국의 환경규제는 국민의 건강 및 경제적 이익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건설기계 분야의 국제 환경규제는 크게 배기가스 배출 규제가 해당됩니다.
건설기계용 디젤엔진에 대해서는 세계 각국에서 매년 배기가스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건설기계용 디젤엔진 배기가스 규제를 선도하고 있어, 유럽의 Stage-5, 미국의 Tier4 Final 등 배기규제를 만족하는 엔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7) 신규 산업에 관한 사항
두산밥캣㈜은 '18년도 컴팩트 트랙터 공동개발 계약 체결 및 '19년도 조경 장비 모어(Mower)사업체 인수를 통해 북미 농업, 조경산업에 진출하였습니다.
북미 컴팩트 트랙터 시장 규모는 연간 약 19만대, 모어 시장은 연간 약 91만대로 농업, 조경산업은 북미 농업인구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특성 상 Oil & Gas 등 거시경제 지표의 변동에 비교적 영향이 덜 민감한 편입니다.
【산업차량 부문】
(1) 산업의 특성
산업차량은 자동차(부품), 음식품, 철강, 화학, 섬유, 전자통신, 제조업, 물류/유통/하역사업, 건설분야 등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서 수요가 광범위합니다. 국내 산업차량 시장은 1990년대 중반부터 OEM 수출에서 벗어나, 독자 모델 개발을 통해 생산된 자가상표 수출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수출 산업의 역군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의 물류합리화 추진에 힘입어 지게차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지게차 제조 업계는 과거의 일반적인 경쟁요소인 가격, 성능, 서비스 및 원활한 판매 Network는 물론, 핵심사업에 집중하려는 고객 니즈에 따라 차량의 보수, 유지까지 포함하는 Total 물류 Service의 제공이 주요한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두산밥캣㈜은 안정된 품질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에서 선두 주자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선진시장에서의 두산 BRAND 홍보 및 Sales Network 강화등을 통해 입지를 높이는 한편, 신흥 시장에 대한 Marketing Support강화, Key Dealer에 대한 역량 강화 활동 추진 및 디젤 엔진 신기종 판매, 전동 신기종 개발 등을 통해 Market Positioning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산업차량 산업은 산업 전방위에 걸쳐 활용되어 전체 경기흐름과 방향성을 같이하며 그 민감도 또한 높은 산업에 속합니다. 또한 기업들의 설비투자, 물류(운반/보관 포함)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시장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내수 지게차 산업은 완전 경쟁체제로서 후발업체의 시장진입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Brand 별 제품 품질 수준의 격차가 완화됨에 따라 신제품 개발, 가격경쟁력 강화 등이 주요 경쟁 요소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품질 경쟁력을 키우고 있으며 품질, 판매망, A/S 등을 통한 지속적인 사업 확장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새로운 경쟁요소로 부상되고있는 Total 물류 Service와 TCO(Total Cost of Ownership) 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환경문제에 대한 Issue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 개발, 시장 조사, 마케팅 활동 등 환경 선도 업체로의 이미지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자원 조달의 특성
다양한 부품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국산화 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여왔으며, 핵심 부품 중 일부는 해외에서도 조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협력사와의 견고한 Partnership구축을 통하여 안정적인 부품 수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불어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상생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6) 관계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전세계 주요 시장은 강화된 환경규제를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은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he "EPA")와 주(州)별 규제 기관의 공표에 따라 '13년부터 단계적으로 Tier 4 Final 규제가 확산, 적용되고 있으며, 유럽은 '19년부터 단계적으로 Stage V 규제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15년 10월 Tier 4 Final 배기규제가 발효되어 적용 중이며, 중국은 '22년 12월부터 Stage IV 규제가 발효되었습니다.
【두산퓨얼셀 부문】
(1) 연료전지 개요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연소과정 없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장치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 없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원입니다.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등으로 분류되며, 각 연료전지는 고유의 특성에 따라 발전용, 가정/건물용, 수송용, 휴대용 등으로 분류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료전지의 종류]
구분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EMFC) |
인산형 연료전지 (PAFC)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
전해질 | 고분자막 | 인산염 | 용융탄산염 | 고체산화물 |
작동온도 | 50~100℃ | 150~250℃ | 650℃ | 600~900℃ |
주 촉매 | 백금 | 백금 | Perovskites | 니켈 |
전기효율 | < 40% | 40~45%(NG 모델) 48~50%(H2 모델) |
45~60% | 50~60% |
복합효율 | - | 90% | 88% | - |
주용도 | 수송용 휴대용 |
발전용 가정/건물용 |
발전용 가정/건물용 |
발전용 가정/건물용 |
※ 각 연료전지 제조사별 차이 존재
두산퓨얼셀㈜는 PAFC 연료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존 발전원 대비 발전용 연료전지의 특징 및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효율ㆍ고밀도 발전원입니다. 연료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기존 화석연료 발전원 대비 전력 손실을 줄이고 높은 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타 신재생에너지원과 비교시 소요 면적이 작고 자연 환경의 제약없이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둘째, 친환경 발전원입니다. 연료전지는 연소과정이 없어 질소산화물 발생이 거의 없으며 연료의 황 성분은 장치 내에서 모두 제거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높은 발전 효율을 바탕으로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운동 에너지가 필요치 않아 소음 및 분진의 피해가 거의 없습니다. 향후 수소의 생산 및 유통 기술의 개발로 그린수소 공급이 일반화될 경우, 연료전지는 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에너지 설비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셋째, 분산형 전원에 적합합니다. 연료전지는 최종 소비자 인접지에 설치하여 전력과 열을 공급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기존 에너지원 대비 송전 및 변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없고 송변전 설비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ㆍ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 부하의 변동에 따라 발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부하 추종 운전이 가능하여 전력 계통의 부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특성
발전용 연료전지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연료전지 기자재를 공급하고 장기유지보수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실증 및 상용화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또한 제품 경쟁력의 핵심인 기술 개발과 양산 시설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해 전 세계 소수 업체만이 원천기술 및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가 절감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료전지는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 산업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연계 산업의 인프라 투자와 고용 확대를 유발하여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질산화물,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의 배출이 거의 없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산업의 성장성
발전용 연료전지는 친환경ㆍ고효율 에너지원으로, 분산전원의 최적 에너지 전환 기술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규모와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신재생에너지의 이용ㆍ보급 촉진 및 민간 주도의 자생력 있는 수소경제 구축을 목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후방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현재 발전용 연료전지는「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이하 신재생에너지법)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를 바탕으로 초기 시장 및 인프라가 형성되어 2024년 6월말 기준 1,054MW(출처 : 전력통계정보시스템) 규모가 설치되었습니다.
2019년 1월에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규모를 2040년까지 15GW(내수 8GW 및 수출 7GW)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 현행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에서 발전용 연료전지를 분리한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가 시행되었으며, 이에 근거하여 2023년 6월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이 개설되는 등 향후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발주하는 시장으로, 경기변동 및 계절성의 영향이 크지 않습니다. 연료전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동향이며, 기타 부수적인 요인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장의 수급 상황 및 수소 공급을 위한 NG/LPG/수소 등 연료 가격, 연료전지에 대한 주민수용성 등이 있습니다.
(5) 경쟁요소
발전용 연료전지의 주요 경쟁 요소로는 발전 성능(파워, 효율, 가동율 등) 및 가격(기기, 설치 및 서비스 가격) 등이 있으며, 그 외에 공급 실적, 장기 운영검증 여부, 회사의 재무구조 등도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두산퓨얼셀㈜가 제작ㆍ공급하는 PAFC 연료전지는 상용화가 검증된 안정된 기술로 높은 전기/열 복합효율(90%)을 구현하여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생열을 지역난방, 냉동창고, 온천, 스마트팜 등 열원이 필요한 곳에 활용할 수 있고, NG, LPG, 수소 등 다양한 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제품 Line-up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의 연료사용 특성에 맞는 연료전지 공급이 가능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동온도가 낮은 저온형 연료전지로 핵심 부품의 장기간(10년) 수명 보증이 가능하고, 재료의 선택이 자유로워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6) 자원조달의 특성
발전용 연료전지의 원천기술 개발 및 최초 상용화는 미국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어 초기에는 관련 원재료 업체들이 북미 및 유럽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부품의 안정적인 조달 및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부품의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7) 관계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연료전지는 신재생에너지법상 신에너지로 분류되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에너지원의 다양화,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및 환경친화적인 에너지 구조로의 전환 등을 목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소경제로의 이행 촉진을 위하여「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수소법)이 제정되어 2021년 2월 5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수소법은 수소경제 기본계획 수립, 수소경제위원회 출범 등 수소경제 이행 추진체계 마련, 수소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수소안전관리 체계 구축 등을 규정하고 있어 발전용 연료전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급을 위한 법적 근거로 기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2022년 12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정 수소법이 시행되었으며, 이에 근거하여 2023년 상반기 및 하반기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이 개설되었고, 순차적으로 2024년 일반 및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이 개설 완료되었습니다.
【기타 부문】
(1) 산업의 특성
스포츠, 레저, 관광산업은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골프클럽의 경우 국민의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시간 확대 등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골프대중화 촉진을 위해 2000년 1월부터퍼블릭 골프장에 대해 일반세율을 적용해 오고 있어 골프장 이용객수는 국내경기 둔화에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골프장 수의 증가로 과열경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높은 투자비와 골프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정부의 제도적 규제로 인하여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었으나, 스크린 골프 대중화와 인식변화에 따른 각종 골프관련 매체(TV, Youtube)가 발전하면서 여성ㆍ젊은층 골퍼 확산으로 골프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골프산업에 활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스포츠, 레저산업은 타산업과 비교하여 경기변동에 크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국민의 여가생활에 대한 인식변화와 문화를 즐기려는 최근의 상황을 감안하면 경기하락시 급격한 매출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해외로의 골퍼 유출이 사라져 국내 골프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진을 이루었으나, 코로나 19 엔데믹에 따른 해외골프 여행 등이 가능해져 일부 국내 고객의 유출을 야기할 소지가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양양고속도로 개통 등 수도권과의 거리가 근접해지면서 거리상의 약점은 점차 보완되고 있습니다. 또한 골프장 클럽하우스를 비롯한 시설물 리모델링, 코스 리뉴얼 등으로 골프장의 가치가 상승되었습니다.
특히 최고 품질 수준의 코스관리, 예약 신뢰도, 고객 서비스 등은 타 골프장과 비교하여 높은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5회에 걸친 두산매치 플레이 챔피언십의 성공적인 개최 및 2022 골프다이제스트 코리아가 선정한 강원권 베스트 코스 선정, 매일경제신문과 한국리서치가 공동 조사한 2023 대한민국 골프장평가(18홀 이상의 390개 골프장 대산)에서 전국 회원제 8위, 강원권 회원제 1위에 선발되며 골프장의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해가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원재료 조달 및 제공측면에서 두산큐벡스㈜는 영위 사업장의 식당을 직영으로 운영하면서 식자재 등을 최상 수준의 원재료를 조달하여 고객들에게 최고의 제품(음식)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원재료 등의 저장, 포장, 보관 등에 있어 적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체 내부위생점검 및 외부위생점을 통하여 철저한 재고자산 관리로 고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원재료가 해외의존도가 매우 낮은 종류이므로 조달의 어려움은 없습니다.
(6)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회원제 골프장으로서 건물, 구축물 등 부동산에 대한 조세부담(취득세, 재산세 중과 등)은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또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의 시행으로 어려운 환경이지만 골프 대중화에 따른 지속적인 신규 골프 인구의 유입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7) 신규사업에 관한 사항
2017년 9월 30일자로 ㈜두산이 영위하고 있는 FM사업(건물 및 시설관리) 및 BS 사업(급여/복리후생/총무업무대행)을 현물출자 방식으로 양수하여 사업영역 확대 및 지속성장 기반 확보를 통해 향후 매출증대와 기업가치 제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2020년 6월 15일자로 밸류그로스 지분 투자를 통한 자산관리업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 영업개황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1) 영업개황
세계 발전설비 시장은 아시아,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아시아 지역은 석탄 화력 발전설비, 미주지역은 복합화력 발전설비 위주로 시장이 성장해 왔으며국내시장은 석탄, 복합 및 원자력설비가 고른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당사는 국내발전시장의 주요 고객인 한국전력공사의 신규 대형 발전소 대부분을 수주하여 왔으며, 민자발전 사업분야에서도 입지를 강화해 왔습니다.
당사는 1987년 한빛 3,4호기부터 국내 유일의 원자로 핵심설비 주계약자로 참여하여왔습니다. 국내에서 축척한 주기기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2010년 한전과 컨소시움을구성하여 UAE 원전의 원자로 설비 및 터빈 발전기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한국형 노형 최초 수출에 기여하였고, 중국 및 미국에서도 AP1000 노형의 핵심기기를 수주하며 제작 역량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교체용 증기발생기 제작 및 원자로헤드 교체공사에 이어 증기발생기 교체 기술개발을 통해 2012년 한울 3,4호기증기발생기 교체공사를 국내 업체 최초로 수주 및 수행하여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습니다. 2014년에는 신고리 5,6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였고, 2016년에는 미국 AP 1000 증기발생기와 UAE 원전 3호기 원자로 및 증기발생기 2기를 납품하고 한빛5,6호기 교체용 증기발생기를 수주하였습니다. 또한 중국 CTEC사와 I&C 중국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데 이어 캐나다 SNC-Lavalin사와 CANDU 노형 수명연장 및 신규원전 사업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시장 확대 노력을 지속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UAE 원전 4호기 원자로 및 증기발생기 2기를 성공적으로 출하하고 한국형 노형인 ARP 1400의 유럽사용자요건 인증을 획득하여 유럽 수출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국내 신규원전 건설이 불확실해지면서 당사는 영국, 인도, 사우디 등 새로운 시장 진입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국내 서비스사업 분야확대 노력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18년 1월에는 한울 1,2호기 교체용 원자로 헤드를 수주하며 국내 서비스사업 입지를 강화하였으며 최근 7월에는 미국 Watts Bar 2호기 교체 용 증기발생기 4기를 성공적으로 제작 및 출하하였습니다. 2018년 11월에는 한국형 노형인 APR1400이 미국 원자력 규제기관인 NRC로부터 표준설계인증을 획득함으로서 2017년 12월 획득한 유럽사용자요건(EUR) 인증과 더불어 NRC 인증까지 양대 설계인증을 완료하며 해외 수출의 교두보를 구축하였습니다.
원자력 사업의 경우, 최초 한국형원전 수출 프로젝트인 UAE Barakah 원전이 4호기까지 ’24년 내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며, 4개 호기를 적기 완공하여 회사의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국내에서는 미자립기술로 남아있던 RCP, MMIS를 국산화 하여 100% 국산화를 달성한 신한울 1, 2호기가 1호기에 이어 2호기도 ’24년 4월부터 상업운전에 착수했고, ’23년 3월에는 신한울 3, 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원전 생태계의 복원을 알렸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팀 코리아의 일원으로 한국형원전의 주기기를 공급하며, 국내 안정적인 전력수급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체코, 폴란드 등 국가별 맞춤전략을 바탕으로 한국형원전의 해외 수출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0년 3조9천억원 규모의 사우디 Rabigh Stage 6 프로젝트, 1조2천억원 규모의 인도 Raipur-Chhattisgarh 화력발전 프로젝트, 2013년12월 베트남 Vinh Thuan 주에 위치한 Vinh Tan 4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공사, 2014년 2조원 규모의 신고리#5,6 프로젝트와 1조원 규모의 베트남 Song Hau 1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공사, 2016년 2조8천억원 규모의 Obra-C 및 Jawaharpur 석탄화력발전소, 2018년 1조7천억원 규모의 삼척화력발전소1,2호기 공사, 2020년 김포열병합발전소 파워블럭, 2022년 1조원 규모의 사우디 Tuwaiq 주단조 프로젝트, 2022년말 5천억원 규모의 사우디 Jafurah Cogen 열병합발전소 수주하였으며, 최근 2023년 카자흐스탄 Turkistan 복합화력을 신규 수주하여 건설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의 Target 시장인 중동,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영업활동 진행 중에 있습니다. 중동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인구 증가, 석유 및 가스 산업의 지속 성장, 산업 다각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전력 수요 증가가 전망되는 시장입니다. 당사는 풍부한 수주 경험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내의 높은 평판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시장의 경우, Karabatan, Turkistan PJT등 카자흐스탄에서의 복합화력 수행 경험 및 발주처와의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수주 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석탄 축소에 따른 전환기 발전원으로 중장기 복합화력 시장 확대가 전망됨에 따라 당사는 국가별 전원개발계획을 신중히 모니터링하며 중/장기 사업 기회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해수담수 플랜트 EPC 및 O&M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설계, 기자재 조달, 시공, 시운전 등 기술적 부분과 함께 Financing, 계약관리 등 기술 외적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1978년 사우디아라비아 Farasan 프로젝트의 담수기기공급을 시작으로 2022년 사우디 Shuaibah 3 IWP 프로젝트 공급까지 총 1,900 MIGD(Million Imperial Gallon per Day : 담수설비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1 MIGD는 약4,546톤/일 생산량을 의미하며, 이는 하루 평균 약1만5천명이 사용 가능한 양임) 규모의 공급실적을 보유한 세계 최대 해수담수화 플랜트 공급사입니다. 당사는 현재 MSF(다단증발법) 시장의 누적 시장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MED/RO 담수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며 사업다각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최근 Yanbu 4 IWP, Shuaibah 3 IWP PJT에 대해 성공적으로 수행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중동 시장내 대형 해수담수 EPC Player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계 표준화 및 지속적인 구매/시공/현장 경쟁력 강화 활동을 통해 담수사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사업을 이어 나갈 예정입니다.
주단 사업의 경우 산업 고도화에 발맞추어 고청정, 고기능성 금속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인프라 구축에 지속적으로 투자함으로써 고객의 가치창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향후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발전 및 산업 플랜트용 주단조품, 선박 및 엔진부품, 금형공구강 소재 등 고부가 제품을 국내외에 공급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주단조 업체로 성장,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원전 주기기용 일체형 경판, 화력 저압터빈용 저압 Rotor, 화력 저압터빈용 저압 Rotor 등 8종 제품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어 있으며, 해상풍력설치선의 승강형 철제 다리를 구성하는 핵심 구조물인 랙앤코드(Rack & chord) 특수강 개발을 마치고 ’22년부터 양산 공급을 시작하여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업계의 경쟁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에 대비하여 외형성장과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제품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발전설비 기술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2006년에는 보일러 부문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북미, 중국 및 유럽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Babcock을 인수함으로써 보일러 원천기술을 획득함과 동시에 역량 강화의 디딤돌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어 2009년에는 스팀터빈 부문 원천 기술 및 중소형 모델부터 대형 모델까지 Line-up을 갖추고 있는 Skoda Power를 인수하여 터빈관련 기술의 공동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기 보유 발전기 원천기술에 이어 보일러, 터빈의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보일러-터빈-발전기로 이어지는 발전소의 3대 핵심 원천기술을 모두 확보하게 되어 보일러, 터빈 패키지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다지게 되었습니다. 2015년에 7천억원 규모의 고성하이화력#1,2 프로젝트, 1천억원 규모의 신서천 터빈 공급 프로젝트, 5백억원 규모의 영동 연료전환설비 서비스 프로젝트, 2천억원 규모의 보츠와나 Morupule A R&M 서비스 프로젝트, 2천억원 규모의 인도 Harduaganj 석탄화력보일러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에는 1천 6백억원 규모의 보령#3 성능개선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국책과제와 연계한 표준화력 성능개선 초도 실적을 확보하였고, 1천 5백억원 규모의 Assiut / Cairo West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이집트 대형 석탄화력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3천억원 규모의 인도 Barh I 보일러 Completion 프로젝트, 인도네시아 Grati STG 공급 프로젝트 등을 수주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미국 GT 서비스 업체인 ACT사(인수 후 사명은 "Doosan Turbomachinery Services"로 변경)를 인수하여 Global GT 서비스 시장 공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23년 4분기 기준 '17년 대비 약 3배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같은 해 한국동서발전과 '발전 플랜트 감시 및 진단 서비스 공동 사업 기술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디지털 솔루션 기반 'e-Brain 센터'를 공동 운영함으로써 디지털 발전 서비스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기술로 개발한 가스터빈을 2023년 7월 28일 첫 상업운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기술력을 시장에서 인정받게 되었으며, '23년 1기, '24년 2분기 현재 3기의 가스터빈 수주하는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2023년 6월 한국중부발전과 2,800억원 규모 보령신복합발전소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하여 총 발전용량 569MW 규모의 보령신복합발전소는 2026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충남 보령시에 건설되며 380MW규모 H급 초대형 가스터빈을 비롯해 증기터빈, 배열회수보일러(HRSG)를 공급 중이며, 2024년 1월 한국남부발전과 2,800억원(569MW) 규모의 안동복합발전소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한 380MW규모 H급 초대형 가스터빈과 스팀터빈, 배열회수보일러(HRSG) 등을 공급하고 2026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2024년 6월에는 한국남동발전과 2,600억원(500MW) 규모의 분당열병합발전소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하여 과거 93년도부터 30년간 운전되던 분당복합발전소 1블록의 현대화 사업 주기기 공급을 통해 친환경 고효율 발전소로의 전환을 2028년 3월까지 준공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2024년 7월 한국중부발전과 5,800억원 규모(550MW)의 함안복합발전소 EPC공급 수주를 통해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상기의 가스터빈 수주본격화는 국내 가스터빈 산업 생태계 구축에 일조하고,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의 가스터빈은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 기조에 따라 성장하고 있는 수소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가스터빈 사업을 차세대 신성장 발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중부, 동서, 남동 등 발전사와 MOU를 통해 실증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풍력 산업은 Global 탈탄소 선언 및 신재생 확대 정책에 따라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입니다. 특히, 육상 대비 높은 부지 잠재량, 대규모 단지 개발 가능성 및 높은 설비 이용률 등으로 해상풍력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해상풍력 산업은 제조 및 건설 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높아 각 정부의 신재생 정책에 주요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상풍력 산업 확대에 따라 향후 풍력터빈 모델의 대형화 및 대형 풍력터빈 모델 제조사 간의 경쟁 심화가 예상되며, 대규모 단지 개발 중심으로 프로젝트 발주 규모도 확대 전망됩니다. 해상풍력 산업 확대에 따라 향후 풍력터빈 모델의 대형화 및 대형 풍력터빈 모델 제조사 간의 경쟁 심화가 예상되며, 대규모 단지 개발 중심으로 프로젝트 발주 규모도 확대 전망됩니다. 당사는 2022년 12월 국내 최초로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국제 형식인증을 취득했으며, 2024년 한동평대 해상풍력 발전단지 수주가 가시화되어, 2024년에 풍력발전 주기기 계약 추진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지오솔루션 자회사를 통해 해상풍력 단지 개발부터 참여하여 주기기 공급 및 서비스 계약까지 종합적인 풍력사업을 담당하는 선도적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미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각 정부는 규제를 통해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고 이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재생에너지 사업발굴, 인허가 진행, 금융 조달 등 개발사업 역량부터 EPC 공사, 유지/보수, 운영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반에 걸쳐 역량 확보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친환경 녹색경영에 앞장서는 기업으로 발돋움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청정 수소, 암모니아 사업에 진출하여 수소생산부터 수소 저장 및 운송, 수소 활용에 이르기까지 청정 수소,암모니아 Value Chain 전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0년 11월 국내 최초로 수소액화 플랜트 EPC 계약을 체결하였고 2024년 1월 준공식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플랜트는 하루 약 5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해외 청정수소를 도입하여 수소인프라 구축을 통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청정수소 공급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2022년에는 E1과 청정 수소, 암모니아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고, EPC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크래킹 등 다양한 수소 Value Chain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해외 청정수소를 도입하여 수소인프라 구축을 통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청정수소 공급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2022년에는 E1과 청정 수소, 암모니아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고, EPC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크래킹 등 다양한 수소 Value Chain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2) 시장점유율 등
1)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구 분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비 고 | |
원자력 | 국내 | 100% | 100% | 100% | 국내: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IPP 주기기 기준 |
보일러 | 국내 | - | - | - | 국내: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IPP 주기기 기준 해외: McCoy 2023 - ST : 한국,중국 시장 제외 |
해외 | - | - | 12.0% | ||
터 빈 | ST(국내) | 100.0% | 91.7% | 35.0% | |
ST(해외) | 4.9% | 7.8% | 8.0% | ||
GT(국내) | 100.0% | 17.3% | - | ||
담수설비 | 국내 | - | - | - | 국내 : 당기 입찰 가능한 발주건이 없었음 해외 : GWI(Global Water Intelligence) 발간 자료 |
해외 | - | 33.3% | 33.3% |
※ 담수설비의 경우, 당사 Access 가능 국가의 5MIGD 이상 중대형급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용량 기준
2) 주단조품
제품구분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주조품 | 32.90% | 21.70% | 13.86% |
단조품 | 41.10% | 44.90% | 47.23% |
※ 국내 접근가능한 시장을 기준으로 주조품의 경우 국내 선박품의 중량 기준 점유율이며,
단조품의 경우 국내 선박품, Crankshaft, 금형공구강, Roll의 중량 기준 점유율임.
3) 건설 부분
(단위 : 억원) |
구 분 | 제62기 반기 | 제61기 | 제60기 |
국내 건설공사 계약액(공공부문) | 287,826 | 643,060 | 568,563 |
당사 공공부문 수주액 | 353 | 17,688 | 2,464 |
시장 점유율 | 0.12% | 2.75% | 0.43% |
※ 대한건설협회자료(2024년 1~6월 실적 자료), 당사 공공부문 동일 기간 실적
(3) 시장의 특성
발전시장은 기존 단순 Package 발주 방식에서 벗어나 엔지니어링, 기자재 제작, 토목/건축 등 전체 발전소를 일괄로 발주하는 대형 EPC발주가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꾸준한 경제성장으로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중국, 인도, 동남아 지역과 최근 유가상승에 힙입어 중동지역 EPC 발전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현지 Developer들과의 전략적 제휴 및 현지 기업간 합작투자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원자력발전 건설 및 수출은 국가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간 산업으로 국가의 정책적 지원 아래 추진되기 때문에 각국의 재원조달 및 정책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사업적 Risk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건설경험 및 운전이력에 대한 높은 기준을 요구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이기도 합니다.
최근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무탄소 전원 확대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국내를 포함한 미국·EU 등 전세계 다수 국가에서 무탄소 전원이자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원자력발전을 확대하거나 유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안전성이 강화되고 설치/운영 측면에서 유연성이 높은 소형모듈형원전(SMR)이 주목받으면서 대형원전 뿐 아니라 소형모듈형원전를 포함한 신규원전건설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안전성이 강화되고 설치/운영 측면에서 유연성이 높은 소형모듈형원전(SMR)이 주목받으면서 대형원전 뿐 아니라 소형모듈형원전를 포함한 신규원전건설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한국형원전의 유일한 주기기 공급자로서 한수원, 한전과 함께 팀코리아의 일원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한국형노형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다년간의 원자력 주요기기 제작경험 및 기술개발로 대형원전 및 소형모듈형원전 기기제작 사업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단조품 시장은 발전, 조선, 제철, 화공, 자동차, 가전 등 주요 전방산업의 동향에 따라 성장성 및 규모가 결정되므로 전세계적인 산업경기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구체적으로, 경제성장에 따른 전력수요 증감에 따라서는 발전 소재가, 물동량 증감에 따른 신조수요 수급에 따라서는 선박품 관련 소재가, 유가 등락에 따른 석유정제설비 수요 증감에 따라서는 관련 소재 시장이 확대/축소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발전사업, 특히 원전시장과 브랜드 인지도가 필요한 특수소재의 경우에는 일체형/대형화로 인해 기술 진입장벽이 높아져 후발진입 업체의 접근성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 시장의 특성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국내외 주조, 단조 업체와 경쟁하고 있고 시장다변화 정책을 통해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석탄 발전 비중 축소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으로서 원자력과 가스복합화력발전의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최근 Taxonomy(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되며 에너지안보 대응을 위한 주요 발전원으로 지속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2030년 이후 LNG 가스발전 시장은 연료전환 및 한국형 표준 복합화력 실증사업과 연계한 시장 확대가 예상되며, 청정에너지로 분류되는 수소 가스복합발전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형 발전원으로서의 잠재적인 수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고조되는 기후변화 위기와 산업고도화 및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수요의 증가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물 인프라 개발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통해 생산된 담수는 '21년 기준 세계 음용수의 1%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다단증발방식(MSF), 다단효용방식(MED) 등을 많이 적용하였지만, 경제성 등의 이유로 2014년 이후 신설된 담수화 플랜트의 대부분은 RO 기반으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담수화 플랜트의 90% 수준이 RO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해수담수화 시장은 '18년 144억 9,518만 달러에서 '24년 202억 5,629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5.7%의 성장이 예상이 됩니다.
서비스 사업의 경우, 주기기 개/보수 사업은 중동 지역 중심 발전소 연료 전환(Oil to Gas) 공사 수요와 노후 발전소의 단위 기기별 성능/수명 개선 수요가 지속 되고 있으며, 발전소 정비 사업은 발전소의 성능 및 수명 유지에 직결 되는 것으로 꾸준한 시장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 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산업은 정부의 정책지원을 바탕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3020,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50 탄소중립 정책 및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에너지 주공급원이 기존 화석연료에서 친환경에너지로 지속 전환되며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이 핵심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불어 기업의 ESG경영 및 자발적인 RE100 캠패인 참여 선언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수요는 꾸준하게 증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풍력 산업은 Global 탈탄소 선언 및 신재생 확대 정책에 따라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입니다. 특히, 육상 대비 높은 부지 잠재량, 대규모 단지 개발 가능성 및 높은 설비 이용률 등으로 해상풍력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해상풍력 산업은 제조 및 건설 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높아 각 정부의 신재생 정책에 주요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상풍력 산업 확대에 따라 향후 풍력터빈 모델의 대형화 및 대형 풍력터빈 모델 제조사 간의 경쟁 심화가 예상되며, 대규모 단지 개발 중심으로 프로젝트 발주 규모도 확대 전망됩니다.
【두산밥캣 부문】
[Compact Equipment, Portable Power 부문]
(1) 영업개황
두산밥캣㈜은 제품의 다변화, R&D를 통한 제품혁신, 구조조정을 통한 영업 체질 개선, 신흥시장 진출 가속화 등을 통하여 Compact Equipment 시장에서 선도자의 지위를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Portable Power시장에서도 Global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이 판매하고 있는 주요 제품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설명 |
Compact Equipment |
Skid Steer Loader, Compact Track Loader, Mini Excavator, Telescopic Handler, Backhoe Loader 등 소형 건설기계, Compact Tractor, Mower등 농업/조경용 소형장비, 400개 이상의 Attachment. |
Portable Power |
Portable Air Compressors, Generators, Lighting Systems 등 이동식 전기 및 공압 생산장비. |
(2) 시장점유율 등
구분 | 제62기(2024년) 반기 | 제61기(2023년) | 제60기(2022년) |
SSL (국내) | - | - | - |
※ 시장점유율은 타사 판매 현황을 확인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건설기계산업은 전형적으로 경기상황에 따른 업황 변동성이 높은 산업으로서, 호황기에는 주택·토목·광산 등 전반적인 인프라 개발에 소요되는 고정자산 투자의 증가에 따라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반면, 불황기에는 투자유보에 따른 건설장비 수요가 급감하면서 시장이 위축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3~4년 주기의 교체 수요 및 태풍 등의 자연재해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
지역별 건설기계 시장은 그 지역의 개발 정도, 건설 규모, 건설의 유형에 따라 그 특성이 다릅니다. 북미 및 유럽 등 선진 건설기계 시장은 주택, 도심지 인프라 개보수 등 소규모 건설 위주의 수요로 인해 소형 장비 비중이 높습니다. 중국은 대규모 인프라 공사 및 원자재 수요에 의한 광산용 중대형 장비 비중이 높으며, 최근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신흥시장은 도로/철도/항만 등 대규모 인프라 신설공사 비중이 높아 중/대형장비 비중이 높았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과 농촌의 도시화 진행으로 소형 장비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글로벌 콤팩트(SSL/CTL/MEX 등) 시장은 선진 시장, 특히 북미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최근 일부 신흥시장 시장이 소폭 성장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두산밥캣㈜은 '18년도 컴팩트 트랙터 공동개발 계약 체결 및 '19년도 조경 장비 모어
(Mower)사업체 인수를 통해 북미 농업, 조경산업에 진출하였습니다. 농업, 조경산업은 건설기계 산업과 밀접한 산업 분야로 두산밥캣의 기존 건설기계와 Product bundle로 조합할 경우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두산밥캣㈜은 '18년에 국내 우수한 농기계 전문업체와 콤팩트 트랙터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20개 모델이, 유럽 시장에는 9개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또한 '19년에 미국 조경장비 전문업체로부터 모어(Mower) 사업을 인수하여 사업영역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그 동안 로더와 소형굴착기 제품군으로 라인업이 한정되어 있어 전 라인업을 갖춘 경쟁사 대비 딜러망 확장이 제한적이었지만, 북미와 유럽, 오세아니아로의 농업, 조경 산업 진출로 라인업 및 딜러망을 확대 중이며, 향후 타 지역으로의 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북미 콤팩트 트랙터 시장은 연간 약 19만대, 모어 시장은 연간 약 91만대 규모로, 북미 소형 건설기계 전체를 합한 규모(연간 약 23만대) 보다 큰 시장입니다. 또한 농업, 조경 산업은 북미 농업 인구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특성 상 Oil & Gas 등 거시경제 지표의 변동에 비교적 영향이 덜 민감한 편입니다.
두산밥캣㈜은 북미에서 쌓아온 브랜드 인지도와 기존 미국 전역의 딜러망을 통해 신제품을 판매 중에 있으며, 향후 추가로 딜러망을 확보할 계획 중에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특성측면에서, 컴팩트 트랙터는 시야 확보와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이 우수하다는 경쟁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모어의 경우, 제초 등 조경작업을 제로턴 방식(0도 회전반경)을 적용해 작업의 효율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규 제품들의 홍보를 위해 기존 건설기계 제품과 함께 Product bundle로 미국 등 세계적인 전시회에 출품하며 적극적인 홍보 활동 중에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된 제품과 판매채널을 통해 인접시장으로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여 기존사업과의 판매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산업차량 부문]
(1) 영업개황
두산밥캣㈜ 산업차량은 제품의 Full line-up 구축, 강력한 Dealership 체제, 신속한 서비스 제공 등으로 시장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세계 Dealer network를 구축하였으며 전시회 참여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선진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주요 신흥 시장에서의 대형 고객 판매 증대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향후 신기종 출시를 통한 판매 확대, 국내 및 해외 지역의 Fleet deal 추진, 사업영업 확대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두산밥캣 산업차량에서 판매하고 있는 주요 제품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설명 |
산업차량 | 엔진지게차 : D30S, D45S, D25S |
전동지게차 : B25S, B25SE, B30S |
(2)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은 타사 판매 현황을 확인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산업차량 시장은 산업용 차량을 다루는 전문 딜러들이 있으며 신차 판매, 중고 지게차 판매, 렌탈, 특정 제품Line-Up 전문 등 세분화된 성격의 딜러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딜러들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딜러 네트워크가 곧 매출에 직접적인 경쟁력이 됩니다. 두산산업차량은 Downstream 사업(중고 지게차, 렌탈, 부품 판매 등 신차 판매라는 Mainstream 외의 사업분야)을 토대로 End-User와의 접점을 늘려가며 딜러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넘어서서 End-User에 대한 Data 기반의 CX 극대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진행 중입니다.
[두산밥캣㈜ 조직도]
조직도 |
【두산퓨얼셀 부문】
(가) 영업개황
두산퓨얼셀㈜은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의 잠재적 기회를 적기에 극대화하고 미래 성장 사업의 원활한 투자 유치를 위하여 ㈜두산 연료전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2019년 10월 1일 설립되었습니다. 당사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 내용은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등입니다.
연료전지는 발전 효율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분산 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발전원으로,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연료전지 시장 및 산업 인프라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당사는 이러한 정책 시장의 성장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과 다양한 사업 모델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두산퓨얼셀㈜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 제품 및 용역 | 비고 |
발전용 연료전지 |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 제조 및 판매 등 | 두산퓨얼셀㈜ |
친환경 상용차 | 수소버스 등 친환경 상용차 제조 및 판매 등 | 하이엑시움모터스㈜ |
(2) 시장점유율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연료전지 시장점유율 자료는 없으며, 합리적 추정에 어려움이 있어 국내 누적 설치용량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기준일 : | 2024년 06월 30일 | ) | (단위 : MW, %) |
국내 전체 | 당사 공급 | 점유율 | 비고 |
1,054MW | 547MW | 52% | 국내 누적 설치용량 기준 |
※ 출처 : 전력통계정보시스템
(3) 시장의 특성
발전용 연료전지는 친환경 고효율 분산전원으로 각국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아 두산퓨얼셀㈜, 미국의 Bloom Energy, Fuelcell Energy 등 상용화된 기술을 보유한 소수 업체를 중심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의 주력 시장인 한국은 글로벌 보급량의 약 40%를 점유하며 세계 최대의 연료전지 발전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는 연료전지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설치면적이 작고 기상조건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한 연료전지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또한 한국은 완비된 LNG망을 활용하여 연료전지 발전소에 천연가스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연료전지 발전을 위한 제반 여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국내 시장은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 확대와 함께 발전단가 하락을 통한 경제성 확보와 전후방 연계사업의 성장 등 질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두산퓨얼셀㈜는 기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한 시장지배력의 강화를 위하여 기존의 PAFC(인산형 연료전지) 기술 외에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의 확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제품 대비 운전온도가 낮은 중저온형 SOFC를 개발하여 기대수명을 높이는 등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영국의 연료전지 기술업체인 세레스파워(Ceres Power)와 협력하여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셀스택의 양산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산설비는 2025년 4월말까지 1,558억원을 투자하여 50MW 규모로 구축할 예정으로, 2025년부터 제품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는 수소버스 등 친환경 상용차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2022년 4월 Ballard Power Systems 및 HyAxiom과 모빌리티용 수소연료전지 및 수소버스 보급 사업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24년 1월에는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계열회사인 하이엑시움모터스㈜ 지분 100%를 취득하였습니다.
기타 정관상 사업목적 추가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신규사업에 대한 내용은 두산퓨얼셀㈜ 2024년 반기보고서 'I. 회사의 개요'의 '5. 정관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부문】
(1) 영업개황
두산큐벡스㈜는 2006년 두산건설㈜의 레저사업부문을 분사하여 설립한 레저회사입니다. 두산큐벡스㈜는 강원도 춘천에서 총 27홀 규모의 라데나골프클럽을 운영 중에 있으며,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탁운영 사업장(두산에너빌리티㈜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 위탁운영, 두산그룹 연수원 연강원식당 위탁운영)을 전문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습니다. 라데나 콘도미니엄은 '14년 10월말 영업을 종료하였으며, '15년 6월 30일 이사회에서 라데나 콘도미니엄 토지 및 건물에 대한 매각 승인이 가결되어 '15년 7월 6일 매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현재는 영업용 자산 일부만이 남아있으며 임시 휴업 상태입니다.
(2) 시장점유율 등
'2024년 골프장 반기 누계 내장객은 49,434명 (전년동기 49,22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하였으며 골프산업의 특성상 합리적 추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주요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골프인구 증가추이에 비해 골프장들이 많이 생기고 있어 2021년말 전국 골프장의 수가 510여개소로 증가되는 등 경쟁심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가문화에 대한 시간투자 증대와 골프대중화와 골프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각종 골프관련 매체 및 예약 채널 등이 다변화되면서 잠재고객을 확보하기가 수월해져 향후 매출증대가 기대됩니다.
국내 골프산업의 경우, 2000년대의 호황기를 지나 성장단계로 보면 최고 성숙기를 지나 하강기에 접어든 상태에 있으며, 과거 각종 제도와 법률 완화와 수요초과로 인한 수익모델의 매력으로 급속도로 신규 골프장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어서 경쟁이 최고조에 이른 상태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시설관리 및 총무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IBS부문은 분당 두산타워 준공에 다른 시설관리 업무 확대 및 신규 건물관리 업무의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계설비 성능 점검업의 신규 진출 등으로 사업영역 확장 등을 추진 하고 있습니다.
라. 지적재산권 현황
(1) 등록건수
(기준일 : | 2024년 06월 30일 | ) | (단위 : 건) |
특허 및 실용신안 | 상표 및 TradeDress | 디자인 | 합계 | |
국내 | 2,786 | 58 | 98 | 2,942 |
해외 | 1,785 | 671 | 176 | 2,632 |
합계 | 4,571 | 729 | 274 | 5,574 |
(2) 당반기 주요 등록 내용
당반기 중 등록된 당사의 국내 및 해외 특허/실용/의장/상표 중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명 | 특허 | 등록일 | 특허명 |
두산에너빌리티㈜ | 10-2622469 | 2024-01-03 | 터보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
10-2634416 | 2024-02-01 | 링 세그먼트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가스터빈 | |
10-2643208 | 2024-02-28 | 연소기용 노즐,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 |
10-2650620 | 2024-03-19 | 가스터빈용 초합금 부품의 표면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표면 처리된 가스터빈용 초합금 부품 | |
10-2652378 | 2024-03-25 | 터빈 블레이드용 스퀼러 팁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에어포일, 터빈 블레이드, 터빈 블레이드 어셈블리, 가스 터빈, 및 제조 방법 | |
10-2655156 | 2024-04-02 | 터보머신용 스테이터 | |
10-2660054 | 2024-04-18 | 링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회전 기계 | |
10-2663870 | 2024-04-30 | 암모니아 기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 |
10-2669090 | 2024-05-21 | 냉각홀을 구비하는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 |
10-2675092 | 2024-06-10 | 링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
마. 환경 관련 규제에 관한 사항
당사는 환경성과 및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경영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기업활동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설계, 구매, 생산과정에서 환경이슈를 정의하고 그것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영향을 사전에 파악하여 중요 원인을 도출하고 그 원인 인자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 항상 법적 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환경 관련 규제에 대해 선제적 예방관리를 통해 법규를 준수하고 있으며, 사업장 주변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 사업장 환경관리
1) 대기관리
2020년 강화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준수 및 대기관리권역법 시행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총량규제에 대비하여 지속적인 개선투자와 외부 전문업체를 활용한 밀착 점검을 통해 전 공장 500여개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및 145여개소의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상시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굴뚝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전문 자가측정업체를 통해 배출시설 굴뚝별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해 각 시설별 배출허용기준을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최근 사회적 이슈인 미세먼지 관련하여 주요 발생공정 및 사내도로, 옥외작업장에 대해 집중해서 관리하고 있으며, 대형 노면 청소차량(6m3, 8.5톤)을 활용하여 공장 내 주요 도로, 옥외작업장, 폐기물 보관장 주변 등에 대해 매일 청소를 실시하고 있어 작업장 주변 날림먼지나 미세먼지 발생억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 4월 3일 대기관리권역법 시행으로 총량규제 사업장으로 지정되어 2024년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오염물질 배출 할당량은 각각 200.1톤, 16.3톤이며, 매월 시설별 배출수준을 관리하고 있으며 월별 배출량을 환경부에 보고하고 있으며, 일부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배출량 비중이 높은 설비에 대해 연소 성능 개선, 정밀 유량 제어, 급배기 절환 밸브 교체, 공연비 미세 조정, 저NOx 버너 설치 등 개선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수질 관리
전 공장에서 발생된 공정폐수는 전량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응집-침전-여과 등 물리·화학적 처리방식으로 일평균 약 500~700톤 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최대 처리용량 1,590톤/일). 배출허용기준 준수 및 원폐수 성상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종 처리수는 1회/주, 폐수원수는 1회/월 수질분야 전문 측정업체를 활용하여 수질오염물질 배출농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모든 항목에서 법적 배출허용기준 대비 40% 이내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사업장 내 주요 우수로 및 부두 해안가 주변 수질을 모니터링 하기위해 1회/반기 우수로 및 해안가에서 시료를 채수하여 수질오염물질 배출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업장 주변 환경변화 모니터링 및 지역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오염물질 유출사고 예방을 위해 사내 주요 우수로 및 오폐수 집수조 등 대상으로 주기적 점검을 실시하여 사소한 유출사고도 발생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내 폐수처리장은 2005년 설치 운영되어 처리 공정별 노후화 진행과 폐수처리속도 및 효율이 다소 낮아져 전문기관 컨설팅을 통해 개선투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3년에 걸쳐 총 28억원 개선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번 개선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폐수처리와 돌발적인 설비 고장에 따른 이슈를 원천적으로 제거함에 따른 폐수관련 법적 Risk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세플라스틱 및 해양환경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부각되고 있어 2022년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이 주관하는 주변 해변을 반려견처럼 입양하여 환경보전활동 등을 실시하는 제도에 참여하여 귀산해안가를 반려해변으로 입양하였으며, 매년 5월 바다의 날, 6월 환경의 날 등 귀산 해안가 어촌계, 창원시 성산구청,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간협의회 등 단체와 협력하여 마산만 해양환경정화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환경보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화학물질관리
화평법/화관법으로 화학물질관련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화학물질을 누락없이 관리 할 수 있는 Monitoring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내 사용하는 유해 화학물질 현장에는 법적으로 자격을 갖춘 전문 인력이 배치되었고 정기적으로 전문 교육을 받고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창원공장 전체 유해화학물질은 2-푸란메탄올, 황산, 가성소다, 암모니아 등으로 총 4종 사용허가를 받았으며, 연간 사용허가량 405.4톤 대비 120톤/년 미만으로 사용량 저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취급&보관 과정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및 작업자 안전확보를 위해 1회/주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관리 및 취급자에 대한 화학물질 안전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4) 폐기물 관리
임직원 폐기물 분리수거 문화 정착을 위해 폐기물 발생 공장 또는 부서에서 주기적인점검과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으며, 종류별 분리된 폐기물은 전용 수거장비(덤프트럭 및 회전지게차, 암롤트럭)를 이용해 안전성 확보와 높은 작업 효율성을 갖춘 일괄 수거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중 입니다. 사내 발생되는 모든 폐기물은 처리업체 위탁계약 입찰 전 통합구매팀과 합동으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처리시설 운영현황, 처리시설 정상가동 여부, 폐기물 재고량 등을 확인하여 법적 이슈가 없고 법적 Risk가 없는 처리업체만 입찰에 참여시켜 폐기물 불법처리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관련 법규 강화 대응하고 순환사회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폐합성수지 등 소각폐기물 중 발열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양질의 폐기물만 분리선별하여 고형연료제조 및 중간 재활용(연간 500톤 이상) 처리를 통해 재활용 할 계획이며, 2021년부터 폐페인트, 폐유기용제 철재 용기를 별도로 분리수거해 고철류 전문 재활용업체를 통해 재활용하고 있으며, 사내에서 발생되는 폐내화물도 분리 선별을 통해 재이용(매년 약 500톤)하여 폐기물 발생량 저감에 노력하고 있으며, 기존 폐수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처리오니도 전문 재활용업체를 발굴하여 올해부터 재활용 처리하고 있습니다. 2024년 폐기물 재활용률 목표는 93% 이상으로, 대량으로 배출하는 공장에서의 배출량 저감활동, 발생된 폐기물에 대해서는 분리수거 기준에 의거 분리수거 문화를 정착하고, 소각/매립 대상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활용 가능한 전문 업체 발굴을 통해 순환사회 구축에 앞장서도록 하겠습니다. 상반기 총 폐기물 처리량은 27,947톤이며, 이중 재활용량은 25,916톤으로 폐기물 재활용률 92.7% 수준으로 하반기에는 분리수거 문화정착 및 분리수거 확대로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5) 토양 관리
사내 토양오염대상시설(유류저장시설, 위험물 저장시설 등) 주변 대상으로 매년 토양오염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4년도 전공장 유류저장시설 주변 5개소 및 부지경계선 토양오염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사내 주요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사소한 토양오염도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관리를 철저히 할 예정입니다.
(2) 기후변화 대응(녹색경영)
신기후체제의 변화에 따라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에너지통합시스템을3단계로 나누어 구축, 2024년까지 진행 중이며, Digital Factory 전환 작업을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對중소 협력사업을 통해 당사의 기술을 협력사에 전수하여 에너지 원단위 활동에 대한 개선 지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CDM 사업 (미얀마 쿡스토브 보급) 발굴을 진행하여 환경과 삶의 질을 개선 하는 노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4조와 정부 지침에 따라 제3자 검증을 마친 회사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사용량을 정부에 신고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신고한 5개년도의 회사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사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녹색경영 관리업체 지정일 : 2010년 08월 30일
1) 2024년 반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누계)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연간 에너지사용량(TJ) | 소량배출 사업자여부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 | 전기 | 스팀 | 총량 | ||
본사 | 49,750 | 54,953 | 104,703 | 833 | 1,131 | - | 1,964 | N |
분당 사옥 | 27 | 1,688 | 1,716 | 1 | 33 | - | 33 | Y |
동탄I&C | 2 | 134 | 136 | - | 3 | - | 3 | Y |
두산기술원(수지) | - | 14 | 14 | - | - | - | - | Y |
건설현장 | 126 | 1,604 | 1,730 | 2 | 33 | - | 35 | |
계 | 49,905 | 58,393 | 108,299 | 836 | 1,200 | - | 2,035 | - |
- 회사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제품 적합성 인증 또는 녹색기업 확인/지정을 받은 경우 해당 인증내용 : 해당사항 없음 |
2) 2023년 4분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누계)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연간 에너지사용량(TJ) | 소량배출 사업자여부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 | 전기 | 스팀 | 총량 | ||
본사 | 104,892 | 124,322 | 229,214 | 1,733 | 2,560 | - | 4,293 | N |
분당 사옥 | 53 | 3,721 | 3,774 | 1 | 74 | - | 75 | Y |
동탄I&C | 5 | 304 | 309 | - | 6 | - | 6 | Y |
두산기술원(수지) | - | 54 | 54 | - | 1 | - | 1 | Y |
건설현장 | 323 | 3,085 | 3,408 | 5 | 63 | - | 68 | Y |
계 | 105,273 | 131,486 | 236,759 | 1,739 | 2,704 | - | 4,443 | - |
- 회사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제품 적합성 인증 또는 녹색기업 확인/지정을 받은 경우 해당 인증내용 : 해당사항 없음 |
3) 2022년 4분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누계)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연간 에너지사용량(TJ) | 소량배출 사업자여부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 | 전기 | 스팀 | 총량 | ||
본사 | 88,866 | 118,627 | 207,493 | 1,539 | 2,290 | - | 3,829 | N |
분당 사옥 | 43 | 3,301 | 3,344 | 1 | 64 | - | 65 | Y |
동탄I&C | 6 | 636 | 642 | - | 12 | - | 12 | Y |
두산기술원(수지) | - | 83 | 83 | - | 2 | - | 2 | Y |
계 | 88,915 | 122,647 | 211,562 | 1,540 | 2,368 | - | 3,908 | - |
- 회사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제품 적합성 인증 또는 녹색기업 확인/지정을 받은 경우 해당 인증내용 : 해당사항 없음 |
4) 2021년 4분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누계)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연간 에너지사용량(TJ) | 소량배출 사업자여부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 | 전기 | 스팀 | 총량 | ||
본사 | 56,904 | 82,862 | 139,766 | 943 | 1,706 | - | 2,649 | N |
분당 사옥 | 139 | 2,554 | 2,693 | 3 | 53 | - | 56 | Y |
동탄I&C | 132 | 618 | 750 | - | 13 | - | 13 | Y |
두산기술원(수지) | 63 | 93 | 156 | - | 2 | - | 2 | Y |
계 | 57,238 | 86,127 | 143,365 | 946 | 1,774 | - | 2,720 | - |
- 회사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제품 적합성 인증 또는 녹색기업 확인/지정을 받은 경우 해당 인증내용 : 해당사항 없음 |
5) 2020년 4분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누계)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연간 에너지사용량(TJ) | 소량배출 사업자여부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 | 전기 | 스팀 | 총량 | ||
본사 | 80,259 | 115,620 | 195,879 | 1,335 | 2,381 | - | 3,716 | N |
서울사무소 | 203 | 1,986 | 2,189 | 4 | 41 | - | 45 | Y |
동탄I&C | 138 | 497 | 635 | - | 10 | - | 10 | Y |
두산기술원(수지) | 56 | 430 | 486 | - | 9 | - | 9 | Y |
계 | 80,656 | 118,533 | 199,189 | 1,339 | 2,441 | - | 3,780 | - |
- 회사가 녹색기술, 녹색사업, 녹색제품 적합성 인증 또는 녹색기업 확인/지정을 받은 경우 해당 인증내용 : 해당사항 없음 |
두산에너빌리티 배당금 한전기술 두산 퓨얼셀 원전 두산 밥캣 우리기술 두산 에너빌리티 주가 두산 로보틱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두산 에너빌리티 수주 두산 에너빌리티 목표주가 원전 수주 두산 에너빌리티 실적 대한전선 현대 두산인프라코어 체코 원전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두산에너빌리티주식
두산에너빌리티 배당
두산에너빌리티 합병
두산에너빌리티 주가전망
두산에너빌리티 배당금
두산에너빌리티 채용
두산에너빌리티 목표주가
두산에너빌리티 매수청구권
주식회사두산에너빌리티 주가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두산에너빌리티 채용
두산에너빌리티 뉴스
두산에너빌리티 배당
두산에너빌리티 연봉
두산에너빌리티 합병
두산에너빌리티 지배구조
두산에너빌리티 블라인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현대에너지솔루션 목표 주가 전망 채용 음성공장 매출 모듈 태양광 블라인드 채용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5.01.11 |
---|---|
전진건설로봇 주가 전망 주식 공모가 청약 연봉 상장일 수요예측 시세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배당금 (0) | 2025.01.11 |
에코프로비엠 주가 세무조사 코스피 이전 목표 주가 주식 전망 배당금 전망 채용 하락 이유 채용 목표가 (0) | 2025.01.11 |
주연테크 주식 주가 전망 목표 차트 시세 배당 공시 거래소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TV (0) | 2025.01.09 |
SKC 목표 주가 주식 기업 분석 2차전지 지배구조 상장폐지 넥실리스 상장 유리기판 동박사업 차트 배당금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