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09177002 2025. 2. 1. 21:28
728x90
반응형
SMALL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하이브(HYBE) "We believe in music"이라는 미션 아래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기업이며, 음악에 기반한 세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을 지향합니다.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콘텐츠'와 당사의 주 고객인 ''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높은 기준과 끊임없는 개선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음악(Music), 플랫폼(Platform), 테크기반 미래성장(Tech-driven future growth)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음악 영역은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며, 음악에 기반한 다양한 산업을 전개합니다. 플랫폼 영역은 위버스를 기반으로 하이브의 콘텐츠 연결과 확장을, 테크기반 미래성장 영역은 미래형 엔터테인먼트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렇게 당사의 연결실체는 음악관련 가치사슬의 전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위 세가지 영역은 서로 협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당사는 매출을 음반ㆍ음원, 공연, 광고ㆍ출연료, MD 및 라이선스, 콘텐츠, 팬클럽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매출 비중은 앨범 발매 여부, 공연 개최여부 등에 따라서 매 분기 상이합니다.

당사 연결실체의 주요 사업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형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 음악(Music) 영역

회 사 명 소 재 국 사 업 개 요
㈜하이브 대한민국 경영 필수 기능 부문 및 기타 신규 사업 부문
공연 기획 및 대행, 음반/음원 유통, 영상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광고 대행 등(360 본부)
MD 등 아티스트 기반 2차 콘텐츠 개발 및 유통 (IPX 본부)
웹툰, 웹소설 창작 및 런칭 등 Original Story Business (스토리사업 본부)
㈜빅히트뮤직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세븐틴, 프로미스나인, 투어스)
㈜쏘스뮤직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르세라핌)
㈜케이오지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지코, 보이넥스트도어)
㈜어도어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뉴진스)
㈜빌리프랩 대한민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엔하이픈, 아일릿)
HYBE Labels JAPAN Inc. 일본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
NAECO Inc. 일본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HYBE JAPAN Inc. 일본 일본 지역 내 음반/음원, 콘텐츠, MD, 공연, 팬클럽 등 사업 총괄
HYBE America Inc. 미국 북미 지역 내 음반/음원, 콘텐츠, MD, 공연, 팬클럽 등 사업 총괄
Scooter Braun Projects LLC 미국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주요 아티스트: Justin Bieber, Ariana Grande)
Big Machine Label Group LLC 미국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Thomas Rhett, Brett Young)
QC Media Holdings Inc. 미국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주요 아티스트: Lil Baby, Lil Yachty, Migos)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Lil Baby, Lil Yachty, Migos)
HYBE UMG LLC 미국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주요 아티스트: KATSEYE)
HYBE Latin America US Inc. 멕시코 아티스트 육성 및 음악 제작


. 플랫폼(Platform) 영역

회 사 명 소 재 국 사 업 개 요
㈜위버스컴퍼니 대한민국 팬 커뮤니티 및 커머스 플랫폼 개발 및 운영
Weverse Japan Inc. 일본 일본 지역 내 팬 커뮤니티 및 팬 커머스 플랫폼 운영
WEVERSE AMERICA, INC. 미국 북미 지역 내 팬 커뮤니티 및 팬 커머스 플랫폼 운영

 

. 테크기반 미래성장(Tech-Driven Future Growth Initiatives) 영역

회 사 명 소 재 국 사 업 개 요
하이브아이엠 대한민국 신규 게임 런칭, 게임 퍼블리싱 및 AI 기반 기술 개발
㈜바이너리코리아 대한민국 시장 환경 및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기 위한 선행 연구 개발 수행
㈜수퍼톤 대한민국 오디오와 음악을 위한 최첨단 AI 솔루션 개발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품 목 2024년 당분기 2023 2022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음반/음원 음반, 음원 등 609,174 39.84% 970,463 44.56% 551,989 31.08%
공연 콘서트, 팬미팅 등 262,014 17.13% 359,111 16.49% 258,167 14.54%
광고, 출연료(2) 광고 수익, 출연료 수익 등 92,655 6.06% 141,899 6.51% 161,830 9.11%
MD 및 라이선싱 공식 상품(MD), IP 라이선싱 등 268,982 17.59% 325,563 14.95% 395,554 22.27%
콘텐츠 영상콘텐츠, 영상출판물 등 224,822 14.70% 289,872 13.31% 341,500 19.23%
팬클럽 등 기타 팬클럽 등 71,582 4.68% 91,181 4.19% 67,113 3.78%
합계 1,529,230 100.00% 2,178,088 100.00% 1,776,154 100.00%

 

(1) 연결재무제표 기준
(
2) 2022, 2023년 매출은 매니지먼트 매출 포함

 

(1) 음반/음원

당사 소속 아티스트들은 실물 음반과 스트리밍 음원 발매를 통해 음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외로 다수의 레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레이블은 높은 실력의 내부 프로듀서진을 바탕으로 한 수준 높은 음악과 강력한 팬덤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앨범 판매량을 기록하는 한편, 음원 스트리밍 측면에서도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2) 공연

당사는 수많은 월드투어의 진행 경험을 바탕으로 공연의 기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서 국내외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하이브쓰리식스티 본부를 통해 월드투어를 기획, 연출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가능한 많은 팬들과 함께 이벤트를 공유하고 기존 공연 산업에 존재하였던 불편함을 혁신하기 위해 공연 형태의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도 중에 하나인 라이브 뷰잉(LIVE VIEWING)은 공연이 실시되고 있는 시간에 영화관, 다른 스포츠 경기장 등에서 공연을 실시간으로 관람하는 것으로, 당사는 라이브 뷰잉을 통해 기존의 단일 공연 장소가 가진 물리적 한계를 탈피하여 많은 팬들에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COVID-19 이후 새로운 공연 문화에 대비하기 위해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 등 다양한 시도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온라인/모바일 공연 문화의 확산 및 정착을 위하여 관련 플랫폼 고도화 등 기술 개발을 지속할 예정이며, 온라인 공연과 오프라인 공연을 결합한 형태의 콘서트 등 공연 방식의 다변화도 계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3) MD 및 라이선싱

당사는 오리지널 IP를 통해 다양한 2차 저작물을 생산하는 IP사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IPX 본부는 국내외 음악 및 아티스트에 기반한 공식 상품(MD), 오프라인 공간 사업(팝업 스토어) 등 다양한 2차 저작물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라이선싱 사업의 경우 라이선시와의 일회성 혹은 장기 계약에 따라 당사 아티스트, 캐릭터 및 음악 관련 저작권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고정 수수료 또는 로열티를 지급받고 있습니다.

 

(4) 영상콘텐츠

당사는 전문 인력에 기반한 콘텐츠 기획력과 자체 보유하고 있는 프로덕션 스튜디오를 통해 공연 실황, 다큐, 예능, 영화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있습니다.



(5)
플랫폼

㈜위버스컴퍼니는 2018 7월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9 6월 이후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Weverse)를 론칭하였습니다. 이후 2022 3월 네이버의 브이라이브(V-Live) 사업부를 양수하였고 2022 7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가 추가된 새로워진 위버스를 공개하며 더 풍부한 팬 경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위버스는 최초 론칭 시부터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을 지향하여 기획/개발되었으며, 팬덤을 결집시키고 공고화하는 기능 뿐 아니라 활발한 아티스트와의 소통, 팬들간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팬덤의 지속력을 확대하는 긍정적인 기능도 수행합니다. 또한, 위버스는 팬덤을 결집하는 정성적 기능뿐 아니라 MD 매출, 콘텐츠 매출 등 직접적인 매출 창출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가격변동추이

당사의 음반 매출은 아티스트 및 음반의 볼륨(정규, 미니, 싱글 등)에 따라 출고 가격이 상이하며, 공연 매출의 경우 공연 지역, 공연 규모 등에 따라 단가가 다르게 결정됩니다. 또한 음원 및 콘텐츠 매출은 다운로드 수, 스트리밍 수, 정액제 등 다양한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단가의 산정이 어려우며 공식 상품(MD) 매출의 경우 판매 품목이 수시로 변동되므로 평균 단가 산정이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공시 대상 기간 중 당사 사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가격 변동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당사는 음악 콘텐츠 제작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요 설비는 연습실, 작업실 등 시설 장치와 업무용 PC 등의 집기 비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본사 사옥, 아티스트 숙소, 연습실 등 주요 자산은 임차 계약에 따라 재무제표상 사용권 자산 및 리스 부채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 매출 실적

(단위 : 백만원)

 

구 분 품 목 2024년 당분기 2023 2022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음반/음원 음반, 음원 등 609,174 39.84% 970,463 44.56% 551,989 31.08%
공연 콘서트, 팬미팅 등 262,014 17.13% 359,111 16.49% 258,167 14.54%
광고, 출연료(2) 광고 수익, 출연료 수익 등 92,655 6.06% 141,899 6.51% 161,830 9.11%
MD 및 라이선싱 공식 상품(MD), IP 라이선싱 등 268,982 17.59% 325,563 14.95% 395,554 22.27%
콘텐츠 영상콘텐츠, 영상출판물 등 224,822 14.70% 289,872 13.31% 341,500 19.23%
팬클럽 등 기타 팬클럽 등 71,582 4.68% 91,181 4.19% 67,113 3.78%
합계 1,529,230 100.00% 2,178,088 100.00% 1,776,154 100.00%

 

(1) 연결재무제표 기준
(
2) 2022, 2023년 매출은 매니지먼트 매출 포함

 

.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매 출 구 분 판 매 경 로 내 용
음반/음원 매출 외부 판매상 당사 레이블 → 음반/원 유통사(YG플러스 등) → 외부 판매상(오픈마켓 등) → 소비자
당사 플랫폼(Weverse) 당사 레이블 → 음반/원 유통사(YG플러스 등) → ㈜위버스컴퍼니 → 소비자
공연 매출 국내외 공연 당사 레이블 → 공연 제작사(쓰리식스티 본부 등) → 소비자
MD 및 라이선싱 매출 공식 상품(MD) 당사 레이블 → MD기획/제작사(IPX 본부 등) → 소비자(또는 ㈜위버스컴퍼니 → 소비자)
라이선싱 당사 레이블 → 기획/IP관리(IPX 본부 등) → 라이선싱(LINE ) → 소비자
콘텐츠 매출 외부 플랫폼 당사 레이블 → 콘텐츠제작사(쓰리식스티 본부 등)  → 외부 플랫폼사(구글, 네이버 등) → 소비자
당사 플랫폼(Weverse) 당사 레이블 → 콘텐츠제작사(쓰리식스티 본부 등) → ㈜위버스컴퍼니 → 소비자
로열티 당사 레이블 → 콘텐츠제작사(쓰리식스티 본부 등) → 외부 유통사(디즈니플러스 등) → 소비자

 

(2) 지역별 매출액

(단위: 백만원, 연결재무제표 기준)

 

구 분 매 출 지 역 2024년 제20
(당 분 기)
2023년 제19
(전 기)
2022년 제18
(전 전 기)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매 출 액 비 중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국내 540,177 35.32% 788,253 36.19% 594,350 33.46%
아시아 552,633 36.14% 746,028 34.16% 566,224 31.88%
북미 343,348 22.45% 548,028 25.25% 549,740 30.95%
기타국가 92,876 6.07% 92,697 4.26% 65,264 3.67%
소계 1,529,034 99.99% 2,175,005 99.86% 1,775,578 99.97%
전대 임대료 수익 국내 196 0.01% 3,083 0.14% 576 0.03%
소계 196 0.01% 3,083 0.14% 576 0.03%
합계 1,529,230 100.00% 2,178,088 100.00% 1,776,154 100.00%

 

(3) 판매전략

① 음악산업 Value Chain의 통합 및 고도화

음악산업에는 아티스트와 매니지먼트, 퍼블리셔, 음반 제작자, 음반 유통, 에이전시, 공연 기획자, 방송 및 광고 제작자 등 다양한 참여자가 존재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복잡한 산업구조 속에서 상당 부분이 유통 마진으로 유출되는 산업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음악산업 Value Chain을 통합하여 고도화하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전략에 따라 당사는 높은 역량을 가진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연결 실체를 기반으로 레이블, 솔루션, 플랫폼으로 사업 영역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②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

당사는 아티스트와 음악을 확장성을 가진 강력한 IP로 만들기 위해 각 아티스트의 캐릭터와 컨셉에 맞는 스토리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각 앨범이 별개의 컨셉으로 기획되고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아티스트의 전체적 스토리 내에서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소설, 웹툰, 영화, 게임과 같은 다른 콘텐츠에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음악을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하여 수익을 다각화할 수 있는 기반이될 뿐 아니라 당사의 소비자로 하여금 스토리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공감을 통해 더 강력한 팬덤(Fandom)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③ 플랫폼 확대 전략

당사는 종속기업인 ㈜위버스컴퍼니를 통해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인 위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 소비층인 팬들은 위버스를 통해 서로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아티스트 관련상품을 손쉽고 편리하게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 구축은 당사의 소비자인 팬들에게 구매 과정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팬 경험'을 확장시킴으로써 구매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 이외에도많은 외부 아티스트들이 당사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플랫폼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 시장 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시장위험은 외환위험, 가격위험 및 이자율위험의 세 가지 유형으로구성됩니다.

(1) 이자율위험
당사는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및 미래 현금흐름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 및 순이자 비용 최소화를 위하여 시장이자율 변동 추이 및 예측 자료들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금융상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2) 환율변동위험
환율변동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기업의 영업활동(수익이나 비용이 당사의 기능통화와 다른 통화로 발생할 때)과 해외 종속기업에 대한 순투자로 인하여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3)
가격위험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당사가 정한 한도 내에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영업활동(주로 매출채권)과 단기대여금, 보증금 등으로 구성된 기타금융자산으로부터 신용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신용보강을 위한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규 거래처와 계약시 공개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거래처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으며, 담보 또는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신용거래한도를 재검토하고 담보수준을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 지연되는 금융자산에 대하여는 분기 단위로 회수지연 현황 및 회수대책이 보고되고 있으며 지연사유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채권 및 기타금융자산은 다수의 거래처에 분산되어 있어 신용위험 집중은 없습니다. 또한 금융기관에 현금및현금성자산 등을 예치하고 있으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당분기 및 전기 보고 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 차감 후 금액으로 당사의 신용위험 최대노출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는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여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 자본위험관리
자본관리의 주목적은 당사의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높은 신용등급과 건전한 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당사는 자본구조를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배당정책을 수정하거나 자본감소 혹은 신주발행을 검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 중 자본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어떠한 사항도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당사는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눈 부채비율을 사용하여 감독하고 있습니다.


.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1)
연결회사는 일부 종속회사, 관계회사 및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거래상대방과 사전에 합의한 요건에 해당할 경우 연결회사 또는 거래상대방이 보유하는 지분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우선매수청구권, 매도청구권과 매수청구권, 발행회사가 납입일 이후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 투자자의 지분율 희석화 방지를 위한 우선인수권을 보유하거나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양도제한, 동반매도청구권 및 공동매각청구권 등을 약정하고 있습니다.

(2)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비지배지분 5%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풋옵션을 부여하는 주주간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주식회사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해당 비지배지분 5%에 대해 주주간 약정에 따라 우선매수청구권 및 공동매도청구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동반매각청구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거래상대방이 보유한 주식은 일정 기한 동안 처분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3)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케이오지엔터테인먼트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비지배지분 25%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풋옵션을 부여하는 주주간 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할 경우에 한하여 거래상대방이 보유한 비지배지분 25% 전부를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주식회사 케이오지엔터테인먼트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해당 비지배지분 25%에 대해 주주간 약정에 따라 우선매수청구권 및 공동매도청구권을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동반매각청구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4)
연결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어도어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비지배지분 20% 일부에 대해 풋옵션을 부여하는 주주간 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할 경우에 한하여 거래상대방이 보유한 비지배지분 20% 전부를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주식회사 어도어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해당 비지배지분 20%에 대해 주주간 약정에 따라 우선매수청구권 및 공동매도청구권을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동반매각청구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다만, 연결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일부 주주를 대상으로 주주간계약을 해지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주주간계약 해지 확인의 소를 제기하여 계류 중에 있으며, 위 옵션의 행사 및 존부도 위 소송 등을 통해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5)
연결회사가 취득한 주식회사 두나무 주식에 대해서 거래종결일인 2021 11 24일부터 3년간 주식양도제한 조건이 있습니다.

(6)
연결회사가 취득한 MBX 암호화 화폐에 대해서 스테이킹 서비스 개시일로부터 3년간해당 암호화 화폐의 매매를 제한하는 락업(Lock-up) 조건이 있습니다.

(7)
연결회사가 취득한 케이크 주식회사에 대하여 계약의 효력발생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는 날 또는 대상회사의 발행주식이 유가증권시장 시장 등에 상장되는 날 중 더일찍 도래하는 날까지 주식양도제한 조건이 있습니다. 또한 동반매도청구권 및 우선매수권에 대해 약정하고 있습니다.

(8)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에 대한 네이버 주식회사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거래 당사자간 우선매수권 및 매도청구권약정을 체결하였으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될 경우 거래 상대방은 당사에 주식을 매도할 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한 주식은 일정 기한 동안 처분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9)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쏘스뮤직의 지분투자와 관련하여 비지배지분 20% 전부에 대해 풋옵션을 부여하는 주주간 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거래상대방이 보유한 비지배지분 20% 전부를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 주식회사 하이브아이엠 신주 발행 및 업무 협약의 건

구 분 세부내용
계약당사자 신주발행회사: 주식회사 하이브아이엠
신주인수회사: 주식회사 하이브, MAKERS FUND VCC - FUND III,
MAKERS FUND VCC - VENTURE III, IMM Investment
계약의 목적 게임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운영자금 조달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계약내용 주식회사 하이브아이엠이 발행하는 종류주식
(
1종 전환우선주식) 76,924주를 신주인수회사들이 인수함
계약체결시기 2024. 8. 6.
계약금액 및 대금 수수방법 총 약 1,080억원을 상호 합의한 거래종결일들에 전액 현금으로
분할 납입받기로 함


. Ithaca Concierge Service LLC 지분 취득의 건

구 분 세부내용
계약당사자 Ithaca Concierge Service LLC
계약의 목적 컨시어지 경쟁력 강화 및 시너지 효과 창출
계약내용 Ithaca Media Ventures LLC Ithaca Concierge Service LLC의 지분 51%를 취득함
계약체결시기 2024. 8. 1.
계약금액 및 대금 수수방법 347억원 현금 취득함

 

. 주요 아티스트 전속계약

회 사 명 그 룹 아 티 스 트
㈜빅히트뮤직 방탄소년단 김남준
김석진
민윤기
정호석
박지민
김태형
전정국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최수빈
최연준
최범규
강태현
휴닝카이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세븐틴 최승철
윤정한
홍지수
문준휘
권순영
전원우
이지훈
서명호
김민규
이석민
부승관
최한솔
이찬
백호 강동호
황민현 황민현
프로미스나인 이새롬
송하영
박지원
노지선
이서연
이채영
이나경
백지헌
투어스 신정환
김도훈
최영재
한진
한지훈
이경민
㈜케이오지엔터테인먼트 지코 우지호
다운(Dvwn) 정다운
보이넥스트도어 명재현
박성호
이상혁
한동민
김동현
김운학
㈜쏘스뮤직 르세라핌 김채원
나카무라 카즈하
미야와키 사쿠라
허윤진
홍은채
㈜어도어 뉴진스 김민지
하니 팜
다니엘 마쉬
강해린
이혜인
㈜빌리프랩 엔하이픈 김선우
심재윤
박종성
양정원
이희승
니시무라 리키
박성훈
아일릿 박민주
호카조노 이로하
사카이 모카
이원희
노윤아
HYBE Labels JAPAN Inc. & 코가 유다이
무라타 후마
왕이샹
변의주
나카키타 유마
아사쿠라 죠
마우스 리키
시게타 하루아
타카야마 리키
HYBE UMG LLC KATSEYE Megan Mei-Yok Skiendiel
Lara Sri Rajagopalan
Meret Manon Sarpong Bannerman
Sophia Elizabeth Guevara Laforteza
Yoonchae Jeung
Daniela Andrea Avanzini

 

7. 기타 참고사항

 

. 지적재산권 현황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국내 및 해외에 총 4,682건의 상표권, 특허권, 디자인권 등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1,058건이 출원되어 현재 심사 중에 있습니다. (출원 1,058, 등록 4,682)

당사는「상표법」제89조에 따라 보유 상표에 대한 독점적 사용권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보호법 제92조에 의거 디자인에 대한 독점적 실시권을 보유합니다. 그리고
「특허법」제94조에 의거하여 당사는 보유 특허에 대한 독점적 실시권을 가집니다.

당사는 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븐틴투어스, 엔하이픈, 아일릿, 르세라핌, 뉴진스, KATSEYE 등 아티스트 IP 기반 공식 상품(MD), 콘텐츠 등 사업을 광범위하게 영위하고 있는 바, 상품군별 상표권 취득 및 주요 제품군에 대한 디자인권 등 국내 및 해외에서의 지적재산권 등록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각적으로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당사 지적재산권 현황]

 

(단위 : )

 

구 분 상 표 권 디 자 인 권 특 허 권
출 원 등 록 출 원 등 록 출 원 등 록
국내 대한민국 336 1,533 6 50 46 36
해외 미국, 일본 등 38개국 607 2,999 14 42 49 22
합 계 943 4,532 20 92 95 58



. 규제사항 등

당사 영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관련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 령 내 용 주 무 부 처
저작권법 - 음반제작자의 (i) 저작재산권, 그 밖에 복제권, 배포권, 대여권, 전송권, 디지털음성송신권 등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원 저작물을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하는 경우, (ii) 저작재산권을 허가받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등에 대해 각 유형별 벌칙(그 중요도에 따라 형사처벌/벌금/과태료 등)이 부과됨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
예술산업
발전법
- 대중문화예술사업자는 그 지위를 이용하여 계약상대방에게 불공정한 계약의 체결을 강요하거나 부당한 이익을 취득할 수 없음
-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는 소속 대중문화예술인에게 제공한 대중문화예술기획업무의 대가 및 비용을 해당 대중문화예술인별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회계장부를 따로 작성ㆍ비치하여야 함. 또한,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는 대중문화예술용역 제공의 대가를 수령한 경우 수령일로부터 45일 이내에 해당 소속 대중문화에술인에게 계약에 따른 보수를 지급하여야 함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보호법
- 청소년에게 유해한 매체물과 약물 등이 청소년에게 유통되는 것 등에 대한 보호, 구제에 관한 법률
-
청소년유해매체물의 결정 및 유통 등에 관한 내용 규정
여성가족부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 문화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에 대해 정의함
- 문화산업 분야의 창업과 제작 및 유통에 대한 내용을 규정함
- 문화산업 기반에 관한 규정 및 문화산업전문회사에 대한 법률을 포함
문화체육관광부
음악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 음악산업에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 정의함
- 음악산업진흥종합계획의 수립과 시행 내용 등을 기재함
- 음악산업의 진흥을 위한 법률을 둠
- 음악산업과 관련된 영업 및 유통과 행정조치에 대한 내용을 규정함
문화체육관광부
공연법 - 공연기획자 또는 제작자는 공연정보를 고의적인 누락이나 조작 없이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전송하여야 함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산업
진흥법
- 콘텐츠 사업자는 거래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오금의 환불, 콘텐츠 이용계약의 해제 및 해지권, 콘텐츠 결함으로 인한 이용자 피해보상 등의 내용이 포함된 약관을 마련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야 함 문화체육관광부



.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당사가 속한 음악 산업은 음악의 창작, 음반 및 음원의 제작, 유통 및 판매 뿐만 아니라 공연, 출판, 매니지먼트, 공식 상품(MD) 등 아티스트와 음원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음악산업은 2000년대 이전까지 오랜 시간동안 유형 음반의 기획, 제작, 유통, 판매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급속히 개편되었고, 현재에는 다양한 매체의 등장과 음악 소비 문화 변화로 공연, 방송, 영상, 공식 상품(MD)과 같은 부가 산업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음악 콘텐츠의 생산(Producing) 단계는 창작, 녹음 및 녹음 매체로의 임가공(Manufacturing) 단계를 포함합니다. 창작 단계에서는 제작사가 실력있는 아티스트를 발굴, 교육하고 이에 적절한 프로듀서, 작곡가, 연주자 등과 곡을 창작합니다. 이후 음악을 녹음하고 유형 음반, 디지털 음원 등으로 변환하여 음반사, 유통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가장 기본적인 음악 산업의 가치사슬 구조입니다.

그러나 최근 IT 기술을 토대로 미디어가 발전하고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음악 산업은 기존의 전통적인 영역을 넘어 음악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영상 콘텐츠(영화/광고 등), 공식 상품(MD) 등 여타 산업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추세이며, 글로벌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K-POP 열풍을 필두로 문화적/정서적 요소가 결합된 파생 콘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① 세계 음악시장

국제음반산업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이하 IFPI)가 발표한「Global Music Report 2024」에 따르면, 2023년 세계 음악 시장 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10.2% 성장한 약 286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세계 음악산업은 2000년대 초반 음악 소비 방식이 실물 음반에서 MP3와 같은 디지털 음원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음원 불법 복제 및 유통으로 인해 약 10여 년간 시장규모가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5년부터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 전환했습니다.

온라인/모바일 스트리밍 시장은 Spotify 등 유력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해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IFPI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65억 달러 규모 수준으로 최초로 실물 음반 시장 규모를 넘어섰으며, 2023년 기준 193억 달러 규모 수준으로 전체 레코드 음악 시장에서 67.3%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스트리밍 시장이 세계 전체 음악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 출처: IFPI(2024), Global Music Report 2024

② 국내 음악시장

IFPI가 발표한「Global Music Report 2024」에 따르면 한국의 음악 산업 규모는 2023년 기준 미국, 일본, 영국 등에 이어 7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방탄소년단을 필두로 한 K-POP의 글로벌 확산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2023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 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음악 산업의 매출액은 12 6,842억원 규모로 추산되며, 국내 음악산업 수출액은 10 5,555만 달러 규모로 추산됩니다.

[국내 음악산업 매출액 규모]

 

(단위: 백만원)

 

연 도 2021 2022 2023
음악산업 매출액 9,371,728 11,160,231 12,684,155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23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 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국내 음악산업 수출액 규모]

 

 (단위: 천달러)

 

연 도 2021 2022 2023
음악산업 수출액 775,274 964,428 1,055,548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23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 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국내 음악산업 종사자 수 규모]

 

  (단위: )

 

연 도 2021 2022 2023
음악산업 종사자 수 59,583 59,224 61,323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23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 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과거 음악 산업은 기초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재가 아닌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호재로 인식되어 수요자의 소득 상황에 따른 수요 변동이 크고 이에 따라 경기 변동에 대한 시장 반응도 민감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ICT 생태계의 발달로 인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중화와 팬덤 문화의 확산 등으로 인해 현재는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 않은 편입니다.

한편, 음악 산업은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작은 편이나 시대의 유행이나 흐름에 따라 상품의 주기가 매우 짧고 분야별 흥망이 거듭되고 있습니다. 음악의 장르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대중 가요의 경우 음반 발매 후 3~4개월 동안 대량의 구매 수요가 발생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차별화된 기획력 등으로 흥행에 성공할 경우 수익 창출효과는 타산업보다 고부가가치를 가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팬덤을 보유할 경우 음반 발매 후 구매수요가 장기간 지속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한편 음악산업의 매출은 앨범 발매 시기, 공연 시기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특별한 계절성을 보이지 않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K-POP 문화의 글로벌 확산

K-POP으로 표현되는 한국 대중음악산업은 충성도 높은 팬덤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팬덤을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음악 공연 및 매니지먼트 활동을 수행하는 선진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러한 팬덤 중심의 K-POP 문화는 SNS 및 유튜브 등의 글로벌 신규 미디어 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아시아,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 크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② 음악 소비 방식의 변화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통신 기술의 향상으로 인하여 음악 소비자들은 디지털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을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소비하게 되었습니다.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 증가는 침체되어 있던 음악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다양한 국적과 장르의 음악을 쉽게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한 소비패턴 분석과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한 음악 추천 프로그램, 즉 큐레이션 기술이 발달되고 이것이 스트리밍 서비스에 접목되면서 음악 소비환경이 개선되었습니다.

③ 음악산업의 탈국경화
유튜브와 같은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글로벌 SNS의 등장으로 콘텐츠 소비에 있어 국가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콘텐츠가 향유되는 지역적 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K-POP, 라틴팝과 같이 비주류로 분류되던 장르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면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대표적인 현상입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세계 음악산업의 생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와 장르의 아티스트들에게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5) 시장점유율

당사는 검증받은 실력의 내부 프로듀서진을 바탕으로 한 수준높은 음악과 강력한 팬덤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앨범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써클차트에 따르면 2024 3분기 기준 Top 100 앨범 판매량 중 당사 연결실체 소속 아티스트의 앨범판매량이 약 34.7%에 달했습니다.

[당사 소속 아티스트의 앨범 판매 점유율 합계 추이]

 

 (단위: , %)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3분기
당사 연결실체소속 아티스트 앨범판매량 합계 (A) 6,799,765 12,839,329 15,231,390 19,694,779 39,836,602 21,400,074
Top 100 앨범 판매량 합계 (B) 21,051,180 34,913,554 45,468,887 60,476,914 94,167,827 61,618,981
당사 아티스트 합산 점유율(A/B) 32.3 36.8 33.5 32.6 42.3 34.7

*출처: 써클차트 Top 100

(6) 시장의 특성

음악 산업은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 아티스트 육성 및 음원 발매 등이 가능하므로 형식적 진입 장벽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극소수의 스타만이 성공하는 현실과 해외 진출 등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자본력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시장 진입 장벽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악은 경험재적인 특성을 보유하는 재화입니다. 이는 소비자가 경험을 해보기 전에는 그 가치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거에 소비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거나 성공적인 가치를 제공해 준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소비가 지속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 시장 안착에 성공한 아티스트 및 회사는 후속 음반 또는 후속 아티스트에 대해서도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을 손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특성은 성공적인 아티스트를 배출한 경험이 있는 회사에 대한 브랜드 경쟁우위로 작용하게 되는 한편 신규 회사가 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하이브는 멀티 레이블 전략을 통해서 성장을 지속시켜나갈 계획입니다. 현재 하이브는 한국, 일본, 미국 등에 걸쳐 12개의 독립적인 레이블을 운영하며, 이들로부터 아티스트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창작자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독립성을 보장함으로써, 레이블 간의 협력과 경쟁을 통해 성장을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러한 하이브의 시스템을 앞으로는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접목시킬 계획입니다. 일본과 미국에서 데뷔할 팀들은 각 지역 음악 시장의 특성과 팬들의 취향을 반영한 K-POP 엔터테인먼트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는 연습생을 발굴하고 선발하는 것을 시작으로 훈련, 데뷔까지 아우르는 프로덕션 방식과 아티스트 IP를 바탕으로 360도의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인 사업 방식을 다양한 장르, 국가, 문화로 확장시키는 도전으로 기존 글로벌 음악시장의 패러다임을 흔드는 시도가 될 것입니다.

하이브가 추구하는 또 하나의 전략은 음악과 기술의 접목을 통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사업영역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는 것입니다. 위버스를 필두로하는 플랫폼 사업의 전략과 게임산업을 통해 하이브가 가지고 있던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시도, 그리고 수퍼톤이 전개해 나갈 음성 기반의 솔루션 사업이 음악과 기술이 합쳐진 대표적인 사업분야입니다. 궁극적으로 하이브는 멀티 레이블 전략을 통해 구축한 음악적 다양성, 그리고 팬들의 즐거움을 위한 솔루션 사업과 플랫폼, 게임, AI를 아우르는 기술과의 융합
 을 통해 업계의 혁신을 주도하고 업의 경계를 확장하여 지속적이고 폭발적인 성장을 이룰 것입니다.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전망|2024년 주가 흐름과 향후 투자 전략 분석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하이브 주가 실적 분석|BTS·뉴진스·세븐틴 영향과 성장 가능성
2024년 하이브 주가, 지금이 매수 타이밍일까? 목표 주가 예측
하이브 주가 동향|외국인·기관 매매 패턴과 시장 전망 분석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에스엠 주가 sm 주가 jyp 주가 jyp 엔터테인먼트 주가 카카오 주가 네이버 주가 하이브 주가 전망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주가 하이닉스 주가 삼성전자 주가 sm 엔터테인먼트 주가 셀트리온 주가 현대차 주가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주가 어도어 주가 카카오 yg 주가 민희진 하이브 공모가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전망
하이브주식회사 주가
하이브 목표주가
삼성전자주가
하이닉스 주가
카카오주가
하이브
네이버주가
하이브코인
jyp주가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급등·급락 이유는? 실적·아이돌 컴백·리스크 총정리 목표 전망 폭락 배당금 빅히트 주식 차트 분석 시간외 주가 매출 실적 발표일 민희진 방시혁




하이브 주가 폭락
하이브 주가전망
하이브 주가 디시
빅히트 주가 폭락
하이브 주가 전망 디시
빅히트 주식 차트
하이브 주가 분석
하이브 시간외 주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