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종양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체의약품을 개발, 생산하는 것을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성을 예견하고 준비해 왔으며, 그 결과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과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으로부터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CT-P13)의 품목허가를 획득했습니다. 이후, 트룩시마(CT-P10), 허쥬마(CT-P6), 유플라이마(CT-P17), 램시마SC(CT-P13 SC), 베그젤마(CT-P16) 등 다양한 제품의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으며, 당사의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은 현재 전 세계 11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바이오/제약 시장인 유럽을 중심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외에도 시장성과 성장성이 있는 다양한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서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4,937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956억원으로 약 11.9%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는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에 대해 세계 시장 출시 및 판매를 위해 전세계 시장을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과 아시아, 중남미 등 기타 권역으로 나누어 직접/간접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여 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그 동안 축적하여온 후보물질 개발 및 선별 기술, 세포주 개발 및 공정 개발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항체의약품 신약을 자체 또는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 21일,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Infliximab) 성분의 피하주사 제형인 짐펜트라(CT-P13 SC 미국 브랜드명)의 미국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짐펜트라는 미국 FDA로부터 제형의 차별성을 인정받아 신약 허가 프로세스 진행을 권고 받았으며, 이는 당사가 미국 FDA로부터 획득한 최초의 신약 허가입니다. 또한, 2020년 초 글로벌 팬데믹을 야기한 코로나19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CT-P59)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항체의약품 신약 개발 역량까지 보유한 종합생명공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렉키로나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로부터 정식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으며, 팬데믹 상황 속 국내 및 유럽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되어 위중증 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의료현장의 부담완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글로벌 선진 바이오텍 기업들과 전략적인 제휴 및 투자를 통해 차세대 항체의약품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항체의약품 사업 외에도 케미컬의약품의 개발, 판매 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항체의약품 연구개발 및 글로벌 임상, 허가 등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케미컬의약품 사업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HIV 치료를 위한 3성분 복합제 개량신약 CT-G07은 2020년 4월 FDA로부터 잠정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에는 국제조달 최대 공급사인 Global Fund와 HIV 포트폴리오 2제품의 장기공급에 대한 재계약을 완료하였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네페질 패치제인 도네리온패취는 2021년 11월 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세계 최초 도네페질 패치제 지위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0월, 코로나19 치료제 CT-G29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로부터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비후성심근증 신약 CT-G20 등 다양한 케미컬의약품의 임상 및 개발을 완료하여 향후 세계 시장에서 당사 케미컬의약품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자체적인 R&D 역량과 인수한 물질 특허를 기반으로 서방성 제형, 복합제 등의 개량신약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확장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계획입니다.
인천 송도에 위치한 항체의약품 생산공장은 아시아 최초 동물세포 배양 설비로, 미국 FDA의 cGMP 인증과 과 유럽 EMA의 eu-GMP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당사는 원료의약품부터 완제의약품까지 생산 가능한 자체 생산설비인 1공장 100,000L, 2공장 90,000L, 그리고 해외 소재의 CMO 업체를 활용하여 연간 총 270,000L의 생산 capacity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편, 항체의약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확대와 당사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따라 2020년 11월 다품종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60,000L 규모의 3공장 신축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11월 3공장 준공을 완료하였으며, 3공장 완공으로 인하여 기존 1,2공장의 190,000L에 더해 연간 생산량 250,000L의 자체 생산 설비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9월 연간 약 800만개의 액상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신규 DP공장 증설 착수했습니다. DP생산의 내재화 비율을 늘려 매출 증대에 따른 제품 공급 안정성과 원가 절감효과를 빠르게 높여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수요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량 생산을 위한 설비 투자 및 해외 CMO 거점 확보, 해외 공장 건설 등을 검토 및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으로의 제품 공급 안정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4년 9월, 당사는 CDMO 사업 역량 강화 및 규모 확대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CDMO 사업 목적의 자회사 출자를 통한 신규 공장 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12월 28일, 당사로부터 바이오의약품을 공급받아 세계 각국에 독점 판매하던 계열회사 (주)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개발부터 생산, 판매까지 일원화된 기업 구조를 구축하며 Global Big Pharma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다지게 되었습니다. 피합병법인은 다년간의 글로벌 상업화 경험을 보유한 마케팅 및 판매 전문 기업으로, Pfizer, Teva 등 우수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탄탄한 파트너십에 기반하여 현지 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자원을 축적해왔습니다. 또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차별화된 마케팅 노하우와 유통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구축하여 유통 효율을 개선한 바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2020년 램시마 직접판매를 시작으로, 2022년 하반기부터 트룩시마, 허쥬마도 직접판매를 시작하며 유럽 시장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접판매로 전환하였고, 2023년에는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구조 역시 직접판매 형태로 전환하였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경쟁력에 판매 노하우, 탄탄한 현지 판매망 및 자원이 더해지며 전략적인 시너지를 창출하고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연결 기준)
(기준일: 2024.09.30) | (단위: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매출액 | 비율 |
바이오의약품 | 제품 및 상품 등 | 바이오의약품 등 | 2,249,151 | 90.20 |
용역 | 제품관련 서비스 등 | 2,287 | 0.09 | |
기타 | 기타 | - | - | |
소계 | 2,251,438 | 90.29 | ||
케미컬의약품 | 제품 및 상품 등 | 케미컬의약품 등 | 240,635 | 9.65 |
용역 | 기타 | 1,505 | 0.06 | |
기타 | 기타 | 77 | 0.00 | |
소계 | 242,217 | 9.71 | ||
기타 | 용역 | 기타 | - | - |
소계 | - | - | ||
합계 | 2,493,655 | 100.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직접판매 채널의 경우 시장 상황에 따라 공급 가격을 조정하는 한편 유통사를 통한 간접판매의 경우 유통사와의 계약에 따라 제품의 국가별 시장 가격, 각종 공제항목 및 파트너사 마진을 고려하여 제품 가격을 산정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 및 파트너사와의 계약에 따라 공급 가격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연결 기준)
(기준일: 2024.09.30) | (단위: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매입액(비율) | 비 고 |
바이오의약품 | 원재료 | 미디어 외 | 제품생산 | 178,300 (59.86) |
- |
부재료 | CIP 100 외 | 제품생산 | 22,948 (7.70) |
- | |
케미컬의약품 | 원재료 | 오로트산카르니틴 외 | 제품생산 | 96,614 (32.44) |
- |
총 매입액 | 297,862 (100.00) |
- |
- 당사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등은 사업의 특성상 매입처에서 주문생산 방식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계약 당사자 간의 상호 협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고 있어 가격변동 추이는 별도로 산정하지 않았습니다.
- 주요 매입처의 경우 경쟁상황 및 상호 계약내용에 따라 기재하지 않습니다.
나.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배치)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제34기 3분기 | 제33기 |
의약품제조 | 바이오시밀러(CT-P13 등) 외 | 제1공장 | 133 | 133 |
바이오시밀러(CT-P13 등) 외 | 제2공장 | 82 | 82 | |
합 계 | 215 | 215 |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산출기준 (1공장 기준)
- 작업일수: 330일 (설비 유지보수 기간 35일 제외)
- 성공율: 81% (작업자 실수 및 설비 오류에 따른 실패율 반영)
- 생산주기: 2일
- 바이오리액터의 수: 8기
- 연간 동일제품 생산 가정
2) 산출방법 (1공장 기준)
- 연간 총 생산능력
: 작업일수 (330일)/생산주기 (2일) x 성공율 (81%) = 133배치
- 바이오리액터당 연간 생산능력
: [작업일수 (330일)/생산주기 (2일)] / 8기 x 성공율 (81%) = 16.7배치
- 생산능력은 상업생산 단계에서 생산 가능한 최대 생산주기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실제 생산능력은 각 배치별 생산시간 간격, 성공률, 생산제품의 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 될 수 있습니다.
3) 2공장은 보다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도록 계획된 2공장의 사정에 맞추어 제품 change-over의 영향을 추가로 반영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다. 생산설비의 현황 (연결 기준)
(단위: 천원) |
구분 | 2024.1.1 | 취득 | 대체 | 처분 | 감가상각 | 기타 | 2024.9.30 | 감가상각 누계액 |
손상차손 누계액 |
토지 | 301,756,246 | - | - | - | - | - | 301,756,246 | - | - |
건물 | 470,592,763 | 999,412 | - | - | 12,133,040 | - | 459,459,135 | (126,145,739) | - |
건물-사용권자산(*) | 11,224,684 | 27,247,793 | - | 1,145,727 | 4,733,501 | 256,957 | 32,850,206 | (8,574,253) | - |
생산시설 | 113,960,920 | - | - | - | 14,760,485 | - | 99,200,435 | (307,562,600) | - |
구축물 | 8,046,464 | - | - | 26,459 | 668,189 | 1,453 | 7,353,269 | (8,852,591) | - |
기계장치 | 119,809,632 | 10,610,042 | 594,805 | 7,179 | 18,666,340 | - | 112,340,960 | (164,169,252) | (1,143,917) |
차량운반구 | 239,747 | 113,907 | - | 1 | 81,678 | - | 271,975 | (726,792) | - |
차량운반구-사용권자산(*) | 4,670,464 | 5,033,566 | - | 561,691 | 2,228,681 | 89,106 | 7,002,764 | (1,258,853) | - |
비품 | 18,488,107 | 4,456,853 | 48,872 | 78,345 | 4,845,320 | 47,774 | 18,117,941 | (32,536,698) | (11,684) |
비품-사용권자산(*) | - | - | - | - | - | - | - | (24,186) | - |
건설중인자산 | 165,799,049 | 41,759,686 | (920,838) | - | - | 201 | 206,638,098 | - | - |
합계 | 1,214,588,076 | 90,221,259 | (277,161) | 1,819,402 | 58,117,234 | 395,491 | 1,244,991,029 | (649,850,964) | (1,155,601) |
(*) 연결기업은 단기리스 및 소액자산 리스에 대하여 인식면제 규정을 적용하였으며 당분기 중 단기리스에 따른 리스료 2,445백만원(전분기: 618백만원), 소액자산리스에 따른 리스료 412백만원(전분기: 227백만원)을 비용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한편 당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10,632백만원 (전분기: 3,353백만원)이며, 상기 리스이용자의 사용권자산 전대리스와 관련하여 당분기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7백만원(전분기: 2백만원)입니다. 또한 당분기 중 리스부채와 관련된 이자비용은 890백만원(전분기: 131백만원)입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연결 기준)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제34기 3분기 | 제33기 | 제32기 |
바이오의약품 | 제품 및 용역 등 | CT-P13 바이오시밀러 외 | 2,251,438 | 1,871,973 | 1,592,368 |
기타 | 기타 | - | 36 | 210 | |
케미컬의약품 | 제품 및 상품 등 | 고덱스 외 | 240,635 | 299,958 | 688,059 |
용역 | 기타 서비스 등 | 1,505 | 136 | 91 | |
기타 | 기타 | 77 | 116 | 268 | |
기타 | 용역 | 기타 | - | 4,213 | 2,971 |
매출총계 | 2,493,655 | 2,176,432 | 2,283,967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 2023년 12월 28일 (주)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 전까지 당사가 개발/생산한 제품의 해외 유통 및 판매는 계열회사인 '주식회사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담당하였습니다. 2023년 12월 28일, 주요 고객사인 (주)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에 따라 (주)셀트리온헬스케어와 체결한 판매권부여기본계약이 해지되었습니다.
- 당사의 판매방식은 당사가 설립한 해외현지법인을 통한 직접판매 방식과 해외 제약사와의 판매계약을 체결하여 해당 국가에서 판매를 하는 간접판매 방식 등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아시아의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간접판매의 방식을 취해왔으나, 심화되는 경쟁 환경에서 각 국가에서의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직접판매 체제를 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에서 전 제품을 안정적으로 직접판매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직접판매를 시작하며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시장 전체로 직접판매 지역을 확대하였습니다. 향후 출시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유통효율을 개선한 직접판매 체제를 도입해 시장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다. 수주상황
-해당사항 없음
기타 참고사항
가. 외부자금조달 요약표 (별도기준)
[국내조달] |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조 달 원 천 | 기초잔액 | 신규조달 | 상환등감소 | 기말잔액 | 비고 |
은 행 | 1,104,576 | 228,416 | 238,900 | 1,094,092 | - |
보 험 회 사 | - | - | - | - | - |
종합금융회사 | - | - | - | - | - |
여신전문금융회사 | - | - | - | - | - |
상호저축은행 | - | - | - | - | - |
기타금융기관 | 250,000 | 1,100,000 | 800,000 | 550,000 | - |
금융기관 합계 | 1,354,576 | 1,328,416 | 1,038,900 | 1,644,092 | - |
회사채 (공모) | - | - | - | - | - |
회사채 (사모) | - | - | - | - | - |
유 상 증 자 (공모) | - | - | - | - | - |
유 상 증 자 (사모) | 542,481 | 14,680 | - | 557,161 | - |
자산유동화 (공모) | - | - | - | - | - |
자산유동화 (사모)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자본시장 합계 | 542,481 | 14,680 | - | 557,161 | - |
주주ㆍ임원ㆍ계열회사차입금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총 계 | 1,897,057 | 1,343,096 | 1,038,900 | 2,201,253 | - |
(참 고) 당기 중 회사채 총발행액 | 공모 : | - | 백만원 |
사모 : | - | 백만원 |
[해외조달] |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조 달 원 천 | 기초잔액 | 신규조달 | 전환등감소 | 기말잔액 | 비고 |
금 융 기 관 | - | - | - | - | - |
해외증권(회사채) | - | - | - | - | - |
해외증권(주식등) | - | - | - | - | - |
자 산 유 동 화 | - | - | - | - | - |
기 타 | - | - | - | - | - |
총 계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나. 최근 3년간 신용등급
(해당사항 없음)
다. 지적재산권 현황
당사는 상표권(Trademark/Brand) 관련 제반 권리와 의무를 2021년 2월 셀트리온홀딩스로 이전하였으며, 브랜드 통상사용권 부여 계약에 의거 분기별로 Brand Royalty 비용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라. 사업의 내용 (산업분석)
(1)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제약 산업이란 의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가공, 보관,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을 말합니다. 제약 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산업으로서 제품의 개발에서 임상시험, 인ㆍ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매우 엄격히 규제하고 있기에 진입 장벽이 다른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인구 고령화, 평균 수명 증가에 따라 의약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제약 산업은 지속적으로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약 산업은 크게 화학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으로 구분되며, 당사가 주력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생물의약품) 이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으로서 보건위생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을 뜻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엄격한 품질관리를 요구함에 따라 판매 가격이 고가에 형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높은 안전성과 효능을 바탕으로 난치성 및 만성질환의 표적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어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품질,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동등성이 입증된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에 대비하여 동등한 안전성과 효능을 가지면서도 더욱 합리적인 가격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헬스케어 재정 부담을 완화하고 더 많은 환자들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2년 이후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본격적으로 이어짐에 따라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확대 및 재편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제약/바이오 시장 분석업체 Evaluate Pharma의 'World Preview 2022, Outlook to 2028'에 따르면 2021년 전세계 전문의약품 시장 규모는 매출액 기준 1조 660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7.5% 성장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의약품 시장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확대된 것에 기인하였습니다. 전문의약품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2028년 기준 1조 6,12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주력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가치는 IQVIA의 'Biosimilars to continue rapid growth over the next decade'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약 78% 성장하여 2020년 179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후에도 바이오시밀러 시장 가치는 2030년까지 연평균 15%로 지속 성장하여 10년 이내에 약 7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Growth Opportunities in Global Biosimilars Market, Forecast to 2028_F&S'를 인용해 낸 '최신동향 브리프'에 따르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22년 286억 2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17.8%로 성장해 2028년 765억 1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의 시장 규모는 당사가 주력하고 있는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QVIA에 따르면,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시장은 2027년까지 각각 연평균 13~16%, 3~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신증권의 2024년 산업전망 제약업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연평균 9%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장 규모 확대 전망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의약품을 이용한 질병 치료는 여전히 한정적인 상황입니다. 복잡한 공정과정으로 인한 높은 제조단가와 소수의 경쟁제품으로 인한 폐쇄적인 시장환경 탓에 의약품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고가의 바이오의약품으로 인한 높은 의료수가는 현재 각 국가별 전체 의료비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각 국가의 재정 부담은 더욱 과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현재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고가의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으로 바이오시밀러 의무 전환 정책 등 각 국가는 적극적으로 바이오시밀러를 통한 의료비 절감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QVIA에 따르면, 2023년부터 향후 5년간 미국에서의 바이오시밀러로 인한 예상 절감액은 1,801억 달러로, 지난 5년 간의 절감액 400억 달러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동기간 유럽 시장에서의 누적 절감 효과는 약 300억 유로로 추정되며, 이와 같은 추세는 다수 블록버스터 의약품 특허 만료 등에 힙입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 및 계절성 특성
의약품 산업은 소득증대, 기술개발, 고령화, 질병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지속적으로 신약이 출시되고 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생명 및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질병 치료라는 목적으로 소비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한다는 산업적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타 산업과 비교하여 계절적 요인이나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산업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마. 사업의 개요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추가내용)
(1) 바이오시밀러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항체의약품과 품질,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동등성이 입증된 의약품입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한 효능 및 안전성을 가짐과 동시에 더 합리적인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전세계의 헬스케어 재정 부담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약값으로 인해 항체의약품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더 많은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2년 이후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본격적으로 이어짐에 따라 항체의약품 시장은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확대 및 재편되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도 매년 확대되고 있습니다.
1) 램시마
당사 최초로 글로벌 시장 상업화에 성공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CT-P13)는 전세계 최초의 단일클론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입니다. 전세계에서 실시한 글로벌 비교임상 결과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오리지널 제품과 동등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지난 2012년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판매 허가를 받았습니다. 2013년에는 유럽 EC로부터 항체 바이오시밀러로는 세계 최초로 오리지널 제품과 동일한 적응증으로 최종 판매허가를 득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에는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HC), 일본 후생성(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MHLW)으로부터 최종판매허가를 획득하였으며, 2016년에는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신청한 모든 적응증에 대해 판매승인을 득하였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램시마는 유럽, 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등 주요 국가를 포함하여 총 98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글로벌 제약시장 조사기관인 IQVIA에 따르면 램시마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2024년 2분기말 기준 60%에 달했습니다. 미국 시장의 경우 2016년말 판매를 개시한 이후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미국 시장 내 램시마의 시장점유율은 2024년 3분기말 기준으로 27%를 달성했습니다. 최근 미국, 캐나다 등 북미시장에서는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헬스케어 정책 등에 힘입어 2021년 1분기말부터 미국 시장 점유율이 약 12%p 상승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램시마 SC
당사는 TNF-α억제제 시장에서의 제형 차별화 전략으로 램시마의 SC 제형(피하주사)을 개발하였습니다. 회사는 동 제품에 대해 지난 2019년 11월 유럽 EC로부터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적응증 최종 허가를 받았으며, 추가적으로 2020년 7월 동 기관으로부터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등 모든 성인 적응증에 대해 최종 판매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램시마SC는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적극적인 영업이 동반되면서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년 2분기말 기준 EU5 시장 점유율은 24%이며, 타사 블록버스터 제품들의 초기 성장 속도와 대비해서도 더욱 빠른 시장 침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램시마 SC는 총 61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2024년 6월,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럽 임상 3상 시험계획 (Part 1) 승인을 득하였으며, 2024년 9월, 한국 식약처에 크론병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계획 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지속적인 램시마 SC 적응증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3) 트룩시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CT-P10)는 2016년 11월 한국 식약처로부터 판매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2017년 2월에는 유럽 EC로부터 오리지널 제품과 동일하게 모든 적응증에 대한 판매 허가를 득하였으며, 2017년 4월부터 유럽 국가에서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본 제품의 유럽시장 내 점유율은 2024년 2분기말 기준 2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2019년 11월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미국 시장 내 트룩시마의 시장점유율은 2024년 2분기말 기준으로 30%를 달성하였습니다. 트룩시마는 미국 시장 출시 이후 1년만에 2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북미 시장의 바이오시밀러 우호정책에 따라 지속적인 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트룩시마는 총 90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4) 허쥬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CT-P6)는 한국 식약처로부터 2014년 1월 승인을 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018년 2월 유럽 EC로부터 오리지널 제품과 동일하게 모든 적응증에 대한 판매 허가를 득하였습니다. 이후 2018년 2분기부터 유럽에서 판매를 시작하여, 2024년 2분기말 기준 시장점유율은 23%로 같은 시기에 출시된 경쟁 바이오시밀러 제품 대비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였습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약 69%의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허쥬마는 총 94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5) 유플라이마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는 2021년 2월 유럽 EC로부터 판매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치료제인 유플라이마는 고농도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구연산염을 제거하여 (citrate-free) 복용편의성이 높아진 제품입니다. 2023년 5월 미국 FDA로부터 판매허가를 획득하였으며, 오리지널 개발사와 특허 협의 완료함에 따라 2023년 7월 미국 시장 출시하였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유플라이마는 총 56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2022년 7월, 유플라이마와 휴미라 간 상호교환성(Interchangeability) 3상 임상시험을 개시하였습니다. 2024년 1월, 상호교환성 지위 확보를 위한 미국 변경허가 신청을 완료하였으며, 추후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유플라이마 판매 경쟁력을 강화하고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6) 베그젤마
항암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CT-P16)는 2022년 8월, 유럽 EC로부터 최종판매허가를 획득하였으며, 2022년 9월, 미국 FDA와 한국 식약처로부터 판매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베그젤마는 트룩시마, 허쥬마에 이어 당사 세번째 항암 바이오시밀러입니다. 당사의 의약품 개발 및 생산 노하우에서 오는 원가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총 48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7) 옴리클로
옴리클로(CT-P39)는 2024년 5월, 유럽 EC로부터 최종판매허가를 획득하였고, 2024년 6월 한국 식약처로부터 뒤이어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CT-P39는 미국에서 판매허가 심사 진행 중입니다. 옴리클로는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의 바이오시밀러로, 알레르기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및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되는 항체 바이오의약품입니다. 특히 옴리클로는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중 최초로 허가를 획득한 만틈 퍼스트 무버 지위를 확보, 시장 내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총 33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8) 아이덴젤트
아이덴젤트(CT-P42)는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로, 2024년 5월 한국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승인받았습니다. 당사는 아이덴젤트 국내 허가를 통해 기존 자가면역질환, 항암제에 이어 안과질환으로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게 되었습니다. CT-P42는 유럽 및 미국에서도 판매허가 심사 진행 중으로, 황반변성, 황반부종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글로벌 안과질환 치료제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총 1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9) 스테키마
스테키마(CT-P43)는 2024년 6월 한국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하였고, 2024년 8월 유럽 EC로부터 최종판매허가를 획득하였으며, 미국 FDA의 판매허가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스테키마는 자가면역 치료제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로,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등의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종양괴사인자(TNF-α) 억제제 제품군에 이어 인터루킨(IL) 억제제 제품에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전 세계 우스테키누맙 시장 내 영향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총 34개국에서 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밖의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 및 출시 과정이 진행 중입니다.
10) 후속 바이오시밀러
위의 상업화 완료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및 외에도 당사는 시장성 및 성장성 있는 다양한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에도 매진하고 있습니다.후속 바이오시밀러 CT-P41(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와 CT-P47(악템라 바이오시밀러)는 미국, 유럽, 한국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하였으며, CT-P53(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CT-P55(코센틱스 바이오시밀러), CT-P51(키투르다 바이오시밀러)는 임상3상 진행 중입니다. 당사는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개발 및 확대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신규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 항체의약품 신약
항체의약품 신약의 경우, 그 동안 축적하여온 후보물질 개발 및 선별 기술, 세포주 개발 및 공정 개발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항체의약품 신약을 자체 또는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1) 렉키로나
2020년 초, 글로벌 팬데믹 상황을 야기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CT-P59)를 개발하여 글로벌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2021년 9월 대한민국 식약처와 2021년 11월 유럽 EC로부터 정식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렉키로나는 팬데믹 상황 속 국내 및 유럽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되어 위중증 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의료현장의 부담을 절감에 기여하였습니다. 렉키로나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당사는 항체의약품 신약 개발 역량까지 보유한 종합생명공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 짐펜트라
짐펜트라(CT-P13 SC)는 램시마 피하주사 제형의 미국 브랜드명으로,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에 대한 임상을 완료한 후 미국 FDA로부터 제형의 차별성을 인정받아 신약 허가 프로세스를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짐펜트라가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당사는 창사 이후 최초로 FDA로부터 신약 판매허가를 득하였습니다. 앞서 미국 시장에 진출한 램시마, 유플라이마와 함께 짐펜트라는 미국 TNF-α억제제 시장에서 당사의 입지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짐펜트라는 신약으로 지위를 인정받은 만큼 기존 바이오시밀러 대비 높은 판매가격 설정이 가능하여 당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짐펜트라는 출시 직후 직접판매망을 통해 시장에 빠르게 침투하여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의 성장을 꾀하고자 합니다.
3) 후속 항체의약품 신약
당사는 글로벌 선진 바이오텍 기업들과 전략적인 제휴 및 투자를 통해 차세대 항체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1년 6월엔 영국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 개발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에 지분을 투자하여 당사가 보유한 항체의약품과의 시너지 및 차세대 항암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확대에 나섰으며, 2021년 8월엔 미국 트라이링크 바이오테크놀로지(TriLink BioTechnologies)와 계약을 체결하고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착수해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한 백신을 개발하고 mRNA 플랫폼 기술 확보로 다양한 분야의 신약 개발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입니다. 2022년 9월, 에이비프로(Abpro Corporation)와 함께 HER2 양성 고형암 표적 이중항체 치료 후보물질 'ABP102'의 글로벌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중항체 항암 신약 개발을 통해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2022년 10월, 당사는 피노바이오와 ADC 플랫폼 기술 실시 옵션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피노바이오가 보유한 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ADC 신약 개발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미국 바이오텍 라니 테라퓨틱스와 2023년 1월 경구형 우스테키누맙 항체치료제, 2023년 6월 경구형 아달리무맙 항체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하였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파이프라인의 제형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2023년 2월,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스와 마이크로바이옴 파킨슨병 신약 공동연구개발 계약, 진메디신과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기술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의 마이크로바이옴 영역을 기존 과민성대장증후군, 아토피피부염에서 파킨슨병까지 확대해 나갈 것이며, 항암 치료제 영역도 기존 항암 항체의약품, ADC치료제, 이중항체에 이어 항암바이러스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3년 3월, 지뉴브와 항체 발굴 및 연구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항체 발굴 플랫폼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신약을 개발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2023년 4월 바스젠바이오와 유전체 기반의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공동 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신약 개발 및 당사 의약품 시장의 포지션 강화를 위한 자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역량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2023년 12월, 싸이런테라퓨틱스와 다중항체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CD3 표적 T-세포 연결항체 플랫폼을 활용하여 당중항체 기반의 항암신약 개발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바.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의 현황
(1) 셀트리온제약
1) 사업의 개요
회사는 KGMP(Korea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미국 cGMP 및 유럽 EU-GMP 적격업체로 충북 진천과 오창에 생산시설 및 품질 관리시설을 갖추고 정제, 경질캡슐제 등의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이 필요)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창 생산시설 내 피하주사(SC) 제형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프리필드시린지(PFS) 생산라인을 갖추고, 미국, 유럽, 일본, 브라질 등 다국적 GMP 인증을 획득하여 케미컬의약품 외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대응력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회사는 주력 제품인 케미컬의약품 간장용제 고덱스 캡슐을 필두로 다양한 질환군을 대상으로 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해 송도에 위치한 셀트리온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 내 연구개발본부에서 케미컬의약품 혁신 신약개발을 위한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모회사인 (주)셀트리온에서 개발한 바이오의약품의 국내 독점판매권을 보유하여, 현재 램시마(인플릭시맙) 외 8종의 바이오의약품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매출은 3분기 누적 약 3,4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6.6% 증가하였습니다. 간장용제 고덱스 포함 케미컬의약품이 1,292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램시마 외 바이오의약품 매출은 약 605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약 9.6% 성장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주요제품의 매출액 및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백만원,%) |
매출유형 | 품목 | 구체적 용도 | 제25기 3분기 | 제24기 | 제23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제품 | 고덱스 | 간장용제 | 47,944 | 14.0 | 69,115 | 17.8 | 62,232 | 16.1 |
기타 | - | 77,767 | 22.7 | 136,097 | 35.0 | 149,922 | 38.8 | |
제품 소계 | - | 125,711 | 36.7 | 205,212 | 52.8 | 212,154 | 54.9 | |
상품 | 램시마 |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 31,835 | 9.3 | 40,445 | 10.4 | 32,380 | 8.4 |
트룩시마 | 항악성 종양제 | 8,008 | 2.3 | 14,906 | 3.8 | 13,815 | 3.6 | |
허쥬마 | 항악성 종양제 | 15,948 | 4.7 | 14,922 | 3.8 | 15,328 | 4.0 | |
기타 | - | 74,824 | 21.9 | 64,201 | 16.5 | 87,193 | 22.6 | |
상품 소계 | 130,615 | 38.2 | 134,474 | 34.5 | 148,716 | 38.6 | ||
제품 수출 | 고덱스 등 | 3,517 | 1.0 | 1,563 | 0.4 | 2,720 | 0.7 | |
용역 | 수출 | 공정개발 등 | 2,990 | 0.9 | 3,731 | 1.0 | 1,381 | 0.3 |
내수 | 공정개발 등 | 79,421 | 23.2 | 43,814 | 11.3 | 21,069 | 5.5 | |
용역 소계 | - | 82,411 | 24.1 | 47,545 | 12.3 | 22,450 | 5.8 | |
합계 | 342,254 | 100.0 | 388,794 | 100.0 | 386,040 | 100.0 |
3) 주요제품의 가격변동 추이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원) |
품 목 | 제25기 3분기 | 제24기 | 제23기 |
고덱스 300C | 312 | 312 | 312 |
타미풀 | 1,517 | 1,544 | 1,544 |
램시마 100mg | 329,991 | 338,279 | 346,953 |
램시마펜주 120mg | 268,858 | 275,610 | 282,677 |
트룩시마 100mg | 192,997 | 194,640 | 194,640 |
트룩시마 500mg | 803,090 | 809,077 | 809,077 |
허쥬마 150mg | 284,319 | 287,660 | 287,660 |
허쥬마 400mg | 858,290 | 865,172 | 865,172 |
유플라이마펜주 40mg | 244,877 | 244,877 | 244,877 |
베그젤마주 100mg | 208,144 | 208,144 | - |
베그젤마주 400mg | 677,471 | 677,471 | - |
주) 보험약가 기준 입니다.
4)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목 | 매입액 | 비율 |
케미컬의약품 | 원재료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 2,447 | 4.1 |
오로트산카르니틴 | 2,868 | 4.8 | ||
기타 | 54,767 | 91.1 | ||
합계 | 60,082 | 100.0 |
주) 상기 비율은 당기 원재료 전체 매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며 주요 매입처는
시장 경쟁상황 및 계약당사자간 계약내용에 따라 기재를 생략 합니다.
5) 생산설비의 현황 등
(기준일: 2024년 9월 30일) | (단위: 천원) |
사업소 | 소유형태 | 소재지 | 항목 | 기초 장부가액 |
증감 | 상각 | 당분기말 장부가액 |
|
증가 | 감소 | |||||||
진천공장 | 자가 | 충북 진천 | 토지(9,723.6) | 840,323 | - | - | - | 840,323 |
건물(5,234.54) | 4,221,135 | - | - | 149,220 | 4,071,915 | |||
구축물 | 1,026,262 | - | - | 134,319 | 891,943 | |||
기계장치 | 2,197,795 | 20,800 | 55,535 | 179,911 | 1,983,149 | |||
차량운반구 | 1,186 | - | - | 1,182 | 4 | |||
공기구비품 | 290,093 | 59,379 | 1,700 | 82,965 | 264,807 | |||
소 계 | 8,576,794 | 80,179 | 57,235 | 547,597 | 8,052,141 | |||
청주공장 | 자가 | 충북 청주 | 토지(85,736.8) | 18,141,801 | - | - | - | 18,141,801 |
건물(41,129.34) | 82,377,189 | 66,052 | - | 3,011,740 | 79,431,501 | |||
구축물 | 3,888,304 | - | - | 259,018 | 3,629,286 | |||
기계장치 | 97,209,978 | 635,775 | 13,983 | 7,978,367 | 89,853,403 | |||
차량운반구 | 55,031 | 16,000 | - | 18,138 | 52,893 | |||
공기구비품 | 2,013,924 | 618,324 | 28,874 | 754,928 | 1,848,446 | |||
소 계 | 203,686,227 | 1,336,151 | 42,857 | 12,022,191 | 192,957,330 | |||
합 계 | 212,263,021 | 1,416,330 | 100,092 | 12,569,788 | 201,009,471 |
6) 매출실적
(기준일: 2024년 9월 30일) |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제25기 3분기 | 제24기 | 제23기 | |
의약품 | 제품 | 고덱스 | 수 출 | 656 | 1,081 | 1,642 |
내 수 | 47,944 | 69,115 | 62,232 | |||
합 계 | 48,600 | 70,196 | 63,874 | |||
타미풀 | 수 출 | - | - | - | ||
내 수 | 2,164 | 3,098 | 2,959 | |||
합 계 | 2,164 | 3,098 | 2,959 | |||
기타 제네릭 | 수 출 | 2,861 | 482 | 1,078 | ||
내 수 | 75,603 | 132,999 | 146,963 | |||
합 계 | 78,464 | 133,481 | 148,041 | |||
제품소계 | 수 출 | 3,517 | 1,563 | 2,720 | ||
내 수 | 125,711 | 205,212 | 212,154 | |||
합 계 | 129,228 | 206,775 | 214,874 | |||
상품 | 램시마 | 수 출 | - | - | - | |
내 수 | 31,835 | 40,445 | 32,380 | |||
합 계 | 31,835 | 40,445 | 32,380 | |||
트룩시마 | 수 출 | - | - | - | ||
내 수 | 8,008 | 14,906 | 13,815 | |||
합 계 | 8,008 | 14,906 | 13,815 | |||
허쥬마 | 수 출 | - | - | - | ||
내 수 | 15,948 | 14,922 | 15,328 | |||
합 계 | 15,948 | 14,922 | 15,328 | |||
기타 | 수 출 | - | - | - | ||
내 수 | 74,824 | 64,201 | 87,193 | |||
합 계 | 74,824 | 64,201 | 87,193 | |||
상품소계 | 수 출 | - | - | - | ||
내 수 | 130,615 | 134,474 | 148,716 | |||
합 계 | 130,615 | 134,474 | 148,716 | |||
용역매출 | 수 출 | 2,990 | 3,731 | 1,381 | ||
내 수 | 79,421 | 43,814 | 21,069 | |||
소 계 | 82,411 | 47,545 | 22,450 | |||
합 계 | 수 출 | 6,507 | 5,294 | 4,101 | ||
내 수 | 335,747 | 383,500 | 381,939 | |||
합 계 | 342,254 | 388,794 | 386,040 |
(2)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
1) 주요종속회사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는 2020년 케미컬의약품 포트폴리오의 강화등을 위하여 신규 설립되었습니다.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는 Taked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AG 및 그 계열회사로부터 아시아태평양지역(한국 포함 9개 지역) 내 전문의약품 브랜드 12개 및 일반의약품 브랜드 6개의 특허, 상표, 허가, 판매영업권 등을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였고 2020년 11월 30일에 취득절차를 완료하였습니다.
2) 2023년 12월 29일, 주요종속회사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프라이머리케어(Primary Care) 제품 중, ETC(전문의약품) 영업 양도를 결정하였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판권 이전 관련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영업 양도 관련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양도 영업 |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중 한국 주요제품을 제외한 프라이머리케어(Primary Care) ETC(전문의약품) 자산 |
양도 가액 | THB 5,580,000,000 (209,919,600,000원) |
양도 목적 | 1)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 2) 케미컬의약품 사업영역 내 핵심사업 집중 |
양수 법인 | HP Bidco 2 Limited |
영업양도 영향 | 현금 유동성 확보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3.12.29 |
3) 2024년 1월 18일, 주요종속회사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는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프라이머리케어(Primary Care) 제품 중, OTC(일반의약품) 영업 양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판권 이전 완료 및 거래 종결되었습니다. 영업 양도 관련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양도 영업 | 아시아 3개국(한국, 홍콩, 대만), 4개 브랜드(화이투벤, 화이투벤 나잘, 알보칠, 칼시츄) 관련 모든 권리(허가,상표권,재고자산 등 일체) |
양도 가액 | 387억원 |
양도 목적 | 1)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 2) 케미컬의약품 사업영역 내 핵심사업 집중 |
양수 법인 | 동화약품 |
영업양도 영향 | 현금 유동성 확보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
계약체결일 | 2024.01.18 |
거래 종결일 | 2024.07.31 |
4) 당분기말 기준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 관련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Celltrion Asia Pacific PTE. LTD |
자산 | 250,854,852 |
부채 | 25,290,670 |
자본 | 225,564,182 |
매출(*) | 52,870,118 |
순손익(*) | 46,915,666 |
총포괄손익(*) | 25,589,315 |
(*) 매출, 순손익, 총포괄손익은 당기 누적 기준입니다.
(3)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
1) 주요종속회사인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는 2010년 5월 설립되어 유럽시장에서의 MAH(Marketing Authorization Holder)로서, 당사의 주요 제품 판매를 회사의 주된 목적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는 바이오 시장에서 미국 다음으로 큰 유럽에서 당사의 제품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럽 내 물류 거점으로서 원료의약품을 공급받아 유럽 등에 위치한 외주업체와의 위탁가공계약을 통하여 추가 가공을 수행하여 완제품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유럽 내 종속회사 및 유수의 제약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유럽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증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주요 제품인 램시마, 램시마SC, 트룩시마, 허쥬마,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판매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회사 설립 등 인프라를 구축하여 유럽 전역에서 전 제품에 대한 직접판매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이후인 2024년 10월 14일,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는 판매, 유통망 강화를 위해 iQone Healthcare Switzerland S.A.,의 지분 100%를 인수하였습니다.
3) 당분기말 기준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와 그 종속기업 관련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와 그 종속기업 |
자산 | 2,074,193,111 |
부채 | 1,954,559,313 |
자본 | 119,633,798 |
매출(*) | 1,164,272,245 |
순손익(*) | 1,482,204 |
총포괄손익(*) | 5,573,349 |
(*) 매출, 순손익, 총포괄손익은 당기 누적 기준입니다.
(4) Celltrion Healthcare Distribuicao de Produtos Farmaceuticos do Brasil LTDA
1) Celltrion Healthcare Distribuicao de Produtos Farmaceuticos do Brasil LTDA는 브라질에 소재한 당사의 주요종속회사로서 당사의 의약품 판매를 회사의 주된 목적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2) 당분기말 기준 Celltrion Healthcare Distribuicao de Produtos Farmaceuticos do Brasil LTDA 관련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Celltrion Healthcare Distribuicao de Produtos Farmaceuticos do Brasil LTDA |
자산 | 132,372,851 |
부채 | 60,588,208 |
자본 | 71,784,644 |
매출(*) | 99,045,219 |
순손익(*) | 4,253,625 |
총포괄손익(*) | (2,407,389) |
(*) 매출, 순손익, 총포괄손익은 당기 누적 기준입니다.
(5) Celltrion USA, Inc.
1) Celltrion USA, Inc.는 2018년 7월 설립된 당사의 주요 종속 법인이자 100% 자회사입니다. 미국에 소재한 Celltrion USA, Inc.는 당사 바이오시밀러 및 케미컬 사업의 미국 진출 및 직판망 구축을 위하여 미국 전역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확보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 기준 Celltrion USA, Inc. 관련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Celltrion USA, Inc. |
자산 | 235,796,989 |
부채 | 257,942,332 |
자본 | (22,145,343) |
매출(*) | 68,566,067 |
순손익(*) | (44,093,564) |
총포괄손익(*) | (42,532,345) |
(*) 매출, 순손익, 총포괄손익은 당기 누적 기준입니다.
셀트리온 제약 셀트리온 배당 셀트리온 주가 삼성 바이오로직스 알테오젠 셀트리온 헬스케어 셀트리온 배당금 hlb 휴마시스 셀트리온 합병 셀트리온 서정진 sk 바이오팜 한미약품 서정진 셀트리온 실적 셀트리온 화장품 유한양행 셀트리온 주식 셀트리온 스킨큐어
셀트리온 채용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 전망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 회장
셀트리온 화장품
셀트리온 제품
셀트리온 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