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09177002 2025. 1. 11. 16:57
728x90
반응형
SMALL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와 연결 종속회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완성차 및 부분품의 제조ㆍ판매, 렌트 및 정비용역을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렌트 및 정비부문은 연결실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중요하지 않음에 따라 연결실체는 하나의 보고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제품은 완성차로 승용, RV, 상용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승용 주요 차종은 모닝, 레이, K3, K5, K8, K9 등이고, RV 주요 차종은 니로, 셀토스, 스포티지, EV6, 쏘렌토, 모하비, 카니발, EV9 등이며, 상용 주요 차종은 봉고 트럭, 대형 버스 등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엔진, 미션, 모듈 등의 부품과 철판, 페인트 등의 원자재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고 협력회사 또는 계열회사 등을 통해 공급받고 있습니다.

 2024
1~9월 기준 생산능력은 2,129,000대이고, 생산실적은 2,111,581대로 가동률은 99.2%였습니다. 국내 생산공장은 광명, 화성, 광주, 서산(위탁생산)에 위치해 있고, 해외 생산공장은 미국, 슬로바키아, 멕시코, 인도, 중국(연결 제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24
1~9월 총 매출액은 ASP 상승 지속으로 전년동기대비 6.4% 증가한 80,300,635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RV 판매비중 증가 및 상위트림 및 옵션 선택률 증가 등 전년동기대비 8.8% 증가한 9,950,722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영업이익률 또한 12.4%를 기록하며 글로벌 OEM 중에서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보여주었습니다.(연결재무제표 기준)

 

반응형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매출 현황

 연결실체는 각종 차량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기 주요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주요제품  
총매출액 승용, RV, 상용 등           140,168,729
내부매출액 (59,868,094)
순매출액          80,300,635
영업이익              9,950,722

* 연결실체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완성차 및 부분품의 제조ㆍ판매, 렌트 및 정비용역을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나, 렌트 및 정비부문이 연결실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여 연결실체는 하 나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됨. (단일 사업부문이므로 사업부문별 비중은 작성하지 않음)

.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천원)

 

    81 3분기
('24.1.1~9.30)
80
('23.1.1~12.31)
79
('22.1.1~12.31)
국 내 승 용 35,241 34,010 34,341
R V 48,135 47,998 43,559
상 용 33,113 32,100 31,075
해 외 승 용 32,580 34,099 33,375
R V 60,431 57,792 50,901

* 주요 품목의 가격은 전기차 포함한 단순평균 가격이며, 국내 및 해외에 따라 일부 차종 등이 상이함.
*
해외의 경우 북미지역(미국), 유럽지역(독일), 아시아지역(호주) 대표시장의 판매가격에 해당 기간
 
말일기준 환율을 적용한  단순 평균가격임.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억원)

 

구 분 매입유형 주요품목 매입액 비중 주요 매입처
국내공장 부품 엔진, 미션, 모듈 등 3,239,156 90.3%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등
원자재 철판, 페인트 등 348,316 9.7% 현대제철, 포스코 등
기타 설비, 특수부품 등 484 0.0% 현대자동차 등
3,587,956    
미국공장 부품 엔진, 미션 ASSY 84,268 97.8% 현대글로비스, HMMA
원자재 철판 등 1938 2.2% 현대제철 등
86,206    
슬로박공장 부품 엔진, 미션 ASSY 111,667 96.6% 현대모비스, 성우하이텍 등
원자재 철판 등 3953 3.4% 현대제철 등
115,620    
멕시코공장 부품 엔진, 미션 ASSY 32,454 97.6% 현대글로비스 등
원자재 철판 등 809 2.4% 현대제철 등
33,263    
인도공장 부품 엔진, 미션 ASSY 28,122 97.0% 현대글로비스 등
원자재 철판 등 863 3.0% 현대제철 등
28,985    

* 상기의 주요 원재료의 매입현황은 연결실체의 각 생산공장 기준임

<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 추이>

(단위 : $)

 

구분 81 3분기
('24.1.1~9.30)
80
('23.1.1~12.31)
79
('22.1.1~12.31)
철광석 $/TON 112 120 120
알루미늄 $/TON 2,366 2,250 2,703
구리 $/TON 9,131 8,478 8,797
플라스틱 $/TON 922 914 1,060

 

* 가격기준 산정 : 철광석가격은 PLATTS(호주 Rio Tinto), 알루미늄과 구리는 LME(London Metal
                           Exchange),
플라스틱은 PLATTS(극동아시아) 가격 기준임


.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은 연결실체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이 미치는 사항을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생산능력

 각 공장별 생산능력은 "연간표준작업시간 × 설비 UPH × 가동률"의 방법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단위 : )

 

사업부문   소재지 81 3분기
('24.1.1~9.30)
80
('23.1.1~12.31)
79
('22.1.1~12.31)
자동차
제조업
완 성 차 국내공장 1,073,000 1,477,000 1,557,000
완 성 차 미국공장 263,000 340,000 340,000
완 성 차 슬로박공장 264,000 330,000 330,000
완 성 차 멕시코공장 254,000 400,000 400,000
완 성 차 인도공장 275,000 386,000 373,000
  2,129,000 2,933,000 3,000,000

* 국내공장에는 당사의 모닝 등을 위탁 생산하고 있는 동희오토 서산공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공장별 연간 표준작업시간 등을 기준으로 작성됨
*
공장별 생산능력은 해당 기간별 기준임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 연결실체의 생산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품 목 사업소 81 3분기
('24.1.1~9.30)
80
('23.1.1~12.31)
79
('22.1.1~12.31)
완성차 등 국내공장 1,167,687 1,606,253 1,472,963
미국공장 269,100 358,000 340,000
슬로박공장 268,870 350,224 311,000
멕시코공장 197,150 256,000 265,000
인도공장 208,774 319,878 342,597
합 계 2,111,581 2,890,355 2,731,560

 

* 국내공장 : CKD 생산분 제외

 

- 가동률은 해당 기간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 기준으로 계산한 수치이며, 연간 기준 가동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사업소 생산 능력 생산 실적 가동률
국내공장 1,073,000 1,167,687 108.8%
미국공장 263,000 269,100 102.3%
슬로박공장 264,000 268,870 101.8%
멕시코공장 254,000 197,150 77.6%
인도공장 275,000 208,774 75.9%
  2,129,000 2,111,581 99.2%


(3) 생산설비 현황
  
연결실체의 생산에 중요한 시설 등으로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치공구, 차량/비품 등이 있습니다.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827,785 - - - 827,785  
화 성 682,111 - - - 682,111  
광 주 395,189 - - - 395,189  
국내기타 2,938,716 30,866 9,656 - 2,959,926  
해 외 230,155 5,826 - - 235,981  
5,073,956 36,692 9,656 - 5,100,992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240,656 25,982 - 11,799 254,839  
화 성 553,349 23,198 436 23,234 552,877  
광 주 296,633 6,155 1,781 14,735 286,272  
국내기타 409,185 35,491 2,684 12,680 429,312  
해 외 942,652 35,835 164 38,907 939,416  
2,442,475 126,661 5,065 101,355 2,462,716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47,112 4,363 309 2,715 48,451  
화 성 59,347 11,348 169 6,040 64,486  
광 주 37,823 1,412 248 2,969 36,018  
국내기타 20,174 16 47 956 19,187  
해 외 183,043 11,970 10 8,465 186,538  
347,499 29,109 783 21,145 354,680  

 

[자산항목 : 기계장치]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300,115 35,135 488 45,428 289,334  
화 성 1,409,830 86,593 5,831 185,691 1,304,901  
광 주 350,509 16,837 631 45,766 320,949  
국내기타 478 476 - 46 908  
해 외 1,249,753 160,282 7,906 185,709 1,216,420  
3,310,685 299,323 14,856 462,640 3,132,512  

 

[자산항목 : 치공구]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324,540 73,977 - 78,463 320,054  
화 성 590,905 110,653 77 185,084 516,397  
광 주 162,079 38,866 11 65,970 134,964  
국내기타 23,196 6,595 9 5,562 24,220  
해 외 824,241 258,736 17,318 317,929 747,730  
1,924,961 488,828 17,415 653,008 1,743,366  

 

[자산항목 : 차량/비품]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13,409 10,732 204 4,071 19,866  
화 성 65,793 19,782 186 17,602 67,787  
광 주 10,616 5,801 53 3,416 12,948  
국내기타 354,706 161,542 810 80,233 435,205  
해 외 246,347 81,526 11,340 56,792 259,741  
690,871 279,384 12,593 162,114 795,548  

 

[자산항목 : 사용권]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광 명 45 15 - 33 27  
화 성 423 394 - 469 348  
광 주 23 82 18 36 51  
국내기타 80,124 31,249 847 33,887 76,639  
해 외 216,820 47,317 5,505 25,950 232,682  
297,435 79,057 6,370 60,375 309,747  

 

[자산항목 : 건설중인 자산] (단위 : 백만원)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국 내 1,691,917 1,392,919 555,230 - 2,529,606  
해 외 324,375 854,346 440,090 - 738,631  
2,016,292 2,247,265 995,320 - 3,268,237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증가 감소 상각 및
손상차손
기말장부가액 비고
합 계 16,104,174 3,586,319 1,062,058 1,460,637 17,167,798  

 

. 주요투자 현황
(1)
진행중인 투자

 
회사는 공장의 생산능력 증대 및 가동률 향상, 기존제품의 품질향상 및 신제품 개발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설 및 설비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 기준일까지 진행된 시설 및 설비 투자 내역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억원)

 

구 분 품 목 투자효과 투자금액
국내공장 신제품개발,
공장신증설,
보완투자 등
가동률향상/품질향상 등 13,731
미국공장 3,282
슬로박공장 457
멕시코공장 2,866
인도공장 1,649
  21,985


(2)
향후 투자 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품 목 투자효과 2024년도
예상투자금액
국내공장 신제품개발,
공장신증설,
보완투자 등
생산능력 증대 등   21,340
미국공장         4,705
슬로박공장    1,547
멕시코공장       3,889
인도공장          1,747
  33,228

 

*투자금액은 시설/설비투자에 한정한 투자금액으로 연구개발비용은 제외된 기준임.
*향후 경영상황에 따라 예상 투자금액은 조정될 수 있음.

 

4. 매출 및 수주상황

 

. 매출실적
  
연결실체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완성차 및 부분품의 제조ㆍ판매, 렌트 및 정비용역을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렌트 및 정비부문은 연결실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중요하지 않음에 따라 연결실체는 하나의 보고부문으로 구성됩니다.

(1)
지역별 매출 현황

① 제81 3분기

(단위:백만원)
    국내 북중미 유럽 기타 연결조정 연결후금액
KUS KUS 이외
총매출액 47,299,210 29,579,458 19,367,889 37,306,585 6,615,587 (59,868,094) 80,300,635
내부매출액 (26,591,587) - (13,380,701) (19,593,781) (302,025) 59,868,094 -
순매출액 20,707,623 29,579,458 5,987,188 17,712,804 6,313,562 - 80,300,635


② 제80 3분기

(단위:백만원)
    국내 북중미 유럽 기타 연결조정 연결후금액
KUS KUS 이외
총매출액 43,772,192 26,736,062 16,988,433 38,068,511 6,620,734 (56,705,666) 75,480,266
내부매출액 (24,058,877) (54) (12,374,764) (20,034,799) (237,172) 56,705,666 -
순매출액 19,713,315 26,736,008 4,613,669 18,033,712 6,383,562 - 75,480,266

(2) 별도 기준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품목 81 3분기
('24.1.1~9.30)
80
('23.1.1~12.31)
79
('22.1.1~12.31)
제품 승용 내수       2,538,315 4,026,691    4,301,591
수출       3,304,197       2,958,948      3,520,788
합계        5,842,512       6,985,639      7,822,379
RV 내수       9,326,224      11,632,835      10,130,719
수출     20,452,453     28,150,438     19,345,674
합계     29,778,677     39,783,273      29,476,393
상용 내수        1,214,803         2,174,291        2,035,626
수출           541,041          637,365           519,091
합계       1,755,844        2,811,656        2,554,717
기타 내수         3,189           7,502              7,157
제품 외 기타 내수          947,330          869,397          781,130
수출       8,971,658       8,062,491       5,767,945
합계       9,918,988       8,931,888        6,549,075
합계 내수     14,029,861      18,710,716       17,256,223
수출     33,269,349     39,809,242       29,153,498
합계     47,299,210     58,519,958      46,409,721

 

.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연결실체는 국내에서 당사가 직접 생산하는 모든 차량 및 위탁 생산하는 차량(모닝, 레이레이EV, 니로플러스)을 당사가 직접 운영하는 지점과 당사와 판매 계약을 체결한 대리점을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현지 판매법인 및 해외판매점을 통해 지역별, 국가별로 판매방법을 연동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내】

구 분 세부내용
판매방법 영업 점소 ○ 직영지점(당사가 직접 운영)
○ 대리점(당사와의 계약에 의한 차량 판매 대리점)
판매 차량 ○ 당사가 생산하는 모든 차량
○ 동희오토()에서 생산 공급하는 차량(모닝, 레이, 레이EV, 니로플러스)
판매 경로 ○ 제조사 → 지점/대리점 → 고객
서비스 거점 ○ 서비스센터(당사가 직접 운영)
○ 정비협력업체(당사와의 계약에 의한 차량 정비 대행)
     -
종합서비스 지정공장, Auto-Q 서비스

 


국내사업본부 조직도_240930


【해외】
 -
판매방법 : 국내공장 및 해외공장에서 생산한 차량을 해외 현지판매법인 및 해외
                 
판매점을 통해 판매
 -
판매조건 : 지역별, 국가별 연동 대응


글로벌사업관리본부 및 해외거점 조직도_240930

. 판매전략
(1) 국내
  2024
3분기 국내 자동차 시장은 사별 주요 신차 출시(EV3, EV6 PE, 르노 그랑콜레오스 등) 효과 및 시중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수요 둔화세가 소폭 개선되었으며,당사는 하이브리드 판매 모멘텀 지속 및 EV 신차 판매붐 조성을 통해 최고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분기는 볼륨차종 모멘텀 유지 및 EV/승용 차급 경쟁력 강화, 출시 예정 신차(스포티지 PE) 성공 런칭으로 2024년 연간 목표를 달성하고 2025년 신차 사전 수요 확보를 통해  2025년 신차 출시 준비와 사전 수요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첫째, 볼륨차종 1위 모멘텀을 유지하고 가망 수요 선제 대응을 통해 연간 판매목표를 달성하겠습니다. 잔여기간 국내시장 Top3 차종(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판매 분위기 지속 유지로 '24년 당사 RV 경쟁력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습니다. 또한, 4분기 이벤트(코리아 세일 페스타, 기아타이거즈 우승 등) 연계 연말 가망수요 사전 확보하여 판매 확대할 계획입니다.
 
둘째, 고객 니즈를 반영한 신차 이벤트를 통해 가망수요를 최대 확보하겠습니다. 4분기 출시 예정인 스포티지 부분변경 모델은 고객 부담을 완화하는 전용 구매 프로그램 운영 및 가망고객 DB 판촉으로 수요를 Lock-in 하겠습니다. 이에 더해, K5는 연식변경 이벤트 시 고객들의 요구사항이 적극 반영된 상품성 개선으로 중형 승용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신차 출시 기반, 고객 진입장벽을 낮추고 잠재고객의 구매의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고도화하여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하겠습니다.
 
셋째,  2025년 신차 출시 사전수요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습니다. 10월 말 월드 프리미어를 통해 공개된 타스만은 얼리체크인 이벤트를 통해 가망수요를 사전확보 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으로 픽업트럭 신시장 외부고객 DB를 최대 발굴하고 타겟고객을 설정하여 단계적인 홍보를 진행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확보한 가망고객을 지속 접촉하여 고객 인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면밀히 관리하고 지속적인 수요를 추가 발굴하겠습니다.

(2) 해외

2024년 글로벌 자동차 산업수요는 공급 정상화로 대기수요가 대부분 소진됨에 따라 본격적인 경쟁사간 판촉 경쟁이 판매 성장을 견인 중에 있습니다.

최근 미국, 유럽 등 주요국 금리 인하 결정으로 소비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으나, 고물가 기조 유지 및 경기 불확실성 우려 등 4분기 금리 인하에 따른 수요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국별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판매 믹스 운영 및 효율적 판촉 전략 수립하여 안정적인 판매 모멘텀 유지해 나가겠습니다.

북미 시장에서는 주요 SUV 및 현지 생산 K시리즈 호조세 활용 판매/수익 제고하고, 4분기 K4 GT-line 신차 런칭 및 주요 금융 판촉 강화하여 판매 모멘텀 확대하겠습니다. 아울러 미국 전기차 전용 공장 가동 본격화 연계, 상품 및 가격 경쟁력 확보하여 친환경차 수요에 탄력적 대응하고 정책 리스크 최소화하여 견고한 판매 증대 기반 마련하겠습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EV3 본격 런칭을 앞두고 전방위 미디어 홍보 및 기자단 시승회 활용하여 소비자 니즈 증가하는 중소형 전기차 시장 성공적으로 공략하고, EV6, EV9 등 다양한 전용 전기차 라인업 상품성 소구 통해 판매 지속 확대하여 EV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겠습니다.

중국 시장은 지역별 타겟 고객 및 특화 모델 육성하고 딜러 네트워크 정비 및 강화하여 판매 채널 정교화하는 동시에, 상품성 향상 지속하여 글로벌 공급 기지화 및 효과적 수출/판매 전략 추진하겠습니다.

인도 시장은 4분기 투입되는 카니발 현지 생산 모델의 기자단 시승회 개최 및 고객 사전예약 통한 기대감 고조하여 성공적 판매 개시하고, 신규딜러 발굴 및 우수딜러 독려 통해 판매 의욕 고취하여 현지 판매 모멘텀 지속 확대해가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중남미, 아중동, 아태 지역은 국별 시장 상황 고려한 수출기지 다변화 및 판매 유연화로 수요 변동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지역별 적기 신차 투입 및 KD사업 활성화 등 고객수요 적극 발굴하겠습니다. 특히 내년 당사 최초 전용 픽업 ‘타스만’ 런칭에 앞서 4분기 월드 프리미어 활용, 당사 상품 경쟁력과 글로벌 브랜드 입지 제고하고, PBV와 함께 신규 시장 수요 유입 추진 및 사업 영역 확장하여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 마련하겠습니다.

향후에도 글로벌 시장 경제는 지정학적 리스크 상시 상존과 보호무역 강화, 미 대선 관련 주요 정책 변동성 등 불확실성 확대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사업 환경 밀착 모니터링하여 리스크 선제적 관리하고 탄력적인 판매 믹스 운영 및 생산/공급 효율화하여 2024년 사업 목표 달성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기타 참고사항

 

.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자동차 산업은 광범위한 산업 기반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비해 전후방 산업 연관 효과가 매우 큽니다. 자동차 산업은 크게 제조, 유통, 운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조에는 철강, 화학, 비철금속, 전기, 전자, 고무, 유리, 플라스틱 등의 산업과 2만여 개의 부품을 만드는 부품 업체들이 연계되어 있습니다. 유통에는 완성차 업체의 직영 영업소나 대리점, 할부금융, 탁송회사 등이, 운행에는 정비, 부품, 주유, 보험 등의 업종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정부의 산업 정책과 업계의 끊임없는 연구 개발 노력을 발판으로 내수 및 수출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이루어졌습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최초의 고유 모델인 포니를 수출하기 시작한 지난 1976년 이후 2024 9월까지 총 1 2,338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는데, 이 중 5,134만 대를 내수 시장에, 나머지인 7,187만 대를 해외 시장에 판매했습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자동차 수요는 경기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급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해 자동차 수요 증가세가 둔화 내지는 정체를 보이는 시기에는 그 관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자동차 보급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경기 변동에 상관없이 자동차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지만, 이후에는 경제 성장률 변화 등 경기 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투자 위축과 고용 감소로 인해 소비가 둔화되면서 중산층 이하의 지출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 시기 대표적 내구재인 자동차 수요는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4) 경쟁 요소

 

자동차 산업은 거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대규모 장치 산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각국마다 소수 업체 위주의 과점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일정 규모의 양산 설비를 구축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며 진입 결정 이후 제품 출시까지 최소한 4~5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막대한 자금력을 갖춘 기업이라도 진입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이밖에 자동차 업체는 종업원이 수만 명에 이르고 협력업체가 수천 개에 달하기 때문에,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는 경우에도 국민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고려해 구조조정이나 조업단축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핵심 경쟁 요소로는 제품력과 마케팅력, 비용 경쟁력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비용 절감 및 수익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입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제품력은 차량의 성능, 안전성, 디자인, 품질, 신기술 등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게 해줍니다. 마케팅력은 고객이 원하는 상품 컨셉트 창출 및 신제품 출시, 광고, 판매 및 A/S망 구축 등을 매개로 고객을 적극 창출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여주게 됩니다. 비용 경쟁력은 신제품 개발 비용, 양산차 제조 생산성, 간접 인력의 생산성, 금융 비용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비용 개념으로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영업현황

 

 당사는 2011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지역별 영업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1 3분기

(단위:백만원)
    국내 북중미 유럽 기타 연결조정 연결후금액
KUS KUS 이외
총매출액 47,299,210 29,579,458 19,367,889 37,306,585 6,615,587 (59,868,094) 80,300,635
내부매출액 (26,591,587) - (13,380,701) (19,593,781) (302,025) 59,868,094 -
순매출액 20,707,623 29,579,458 5,987,188 17,712,804 6,313,562 - 80,300,635


(2)
80 3분기

(단위:백만원)
    국내 북중미 유럽 기타 연결조정 연결후금액
KUS KUS 이외
총매출액 43,772,192 26,736,062 16,988,433 38,068,511 6,620,734 (56,705,666) 75,480,266
내부매출액 (24,058,877) (54) (12,374,764) (20,034,799) (237,172) 56,705,666 -
순매출액 19,713,315 26,736,008 4,613,669 18,033,712 6,383,562 - 75,480,266


-
다음은 국내시장과 주요 지역별 시장여건 및 영업현황입니다.
 
【국내 시장】

■ 시장 여건
 
국내시장은 대기수요가 해소된 전년 상반기 기저영향과 함께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현상이 지속된 가운데, 2024 1~9월에는 전년대비 -8.8% 감소한 116만대가 판매되었습니다(수입차 포함).


■ 영업의 개황

2024 1~9월 국내시장에서 기아는 EV3 신차와 K8 상품성개선 모델 등 신차효과와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등 SUV 중심의 주력 모델들의 판매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화성공장 타스만 신차 투입을 위한 설비공사 등으로 인한 공급 제약 영향으로 전년대비 -6.1% 감소한 40 1천대를 판매하였습니다. 시장 점유율(수입차 포함)은 전년동기대비 +1.0%p 상승한 34.5%를 기록하였습니다.  

RV 판매 비중은 65.1%로 전년동기 59.5% 대비 5.6%p 확대되었으며, 상위 트림 판매 비중과 옵션 선택율이 증가함에 따라 판매의 질을 높였습니다. 하이브리드 중심의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32.5%를 기록하며 전년동기 24.4% 대비 8.1%p 확대되었고, RV 중심 판매와 친환경차 판매에 따른 ASP(평균판매단가) 성장이 지속되며 2024 1~9 ASP 33.3백만원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4.3%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시장】

■ 시장 여건
 
미국시장은 완성차 제조업체들의 공급정상화 가운데 재고 증가와 인센티브가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지속적인 고금리 기조로 소비자 구매 부담이 가중되어 2024 1~9월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1,181 5천대가 판매되었습니다.


■ 영업의 개황

2024 1~9월 미국시장에서 기아는 스포티지, 쏘렌토 등 주력 모델의 가용 재고 부족과 미국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K5 차종의 생산/판매 공백과 리오 차종의 단산 영향 등으로 -3.4% 감소한 58 4천대(소매 기준)를 판매하였습니다. 하이브리드에 대한 높은 수요를 기반으로 판매의 회복이 이루어진 가운데, 기아는 미국 승용 차급의 라인업 효율화 및 전기차 투입에 따른 생산 라인 개편 대응 등으로 주력 모델들의 공급 제약 상황이 발생하여 시장점유율은 전년대비 -0.3% 하락한 4.9%를 기록하였습니다.
 RV
판매 비중(소매 기준) 77.0%로 전년동기 71.7% 대비 5.3%p 확대하였으며, EV 판촉 강화와 EV9의 현지생산 본격화와 판촉 강화로 EV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비중(소매 기준) 17.4%로 전년동기 15.5% 대비 1.9%p 상승하였습니다.

 

 
【서유럽 시장】

■ 시장 여건

서유럽시장은 물가 안정과 금리 인하로 소비심리는 유지되어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며 2024 1~9월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978만대가 판매되었습니다. 서유럽 국가별 수요 회복세는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며 전년대비 기준으로 독일 -1.0%, 영국 +4.3%, 프랑스 -1.8%, 이탈리아 +2.1%, 스페인 +4.7% 등 기록하였습니다.

   
■ 영업의 개황

2024 1~9월 서유럽시장의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국내공장 전동화 전환에 따른 리오 차종의 단산과 모닝/스토닉 차종의 공급 제약으로 판매 감소 영향이 지속되며 전년대비 -7.7% 감소한 41 3천대(소매 기준)를 판매하였습니다. 또한 주요 국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경으로 EV 판매는 성장이 둔화된 반면, 지속적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하이브리드에 대응하기 위해 니로와 스포티지 판매를 확대하며 차질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시장점유율은 공급 제약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대비 -0.4%p 하락한 4.2%를 기록하였습니다.

 RV
판매 비중(소매 기준) 73.1%로 전년동기 66.9% 대비 6.2%p 확대하였으며, 친환경차 비중(소매 기준) 39.8%로 전년동기 36.3% 대비 3.5%p 상승하며 공급 및 판매 제약이 존재한 상황에서도 질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RV 및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에 대해 기아는 RV와 하이브리드 라인업 생산 대응이 가능한 슬로박 현지공장을 통해 국내공장 차종의 공급 차질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인도 시장】
■ 시장 여건

2024 1~9월 인도시장은 인도의 높은 경제 성장이 자동차 수요 성장을 견인하며 전년대비 +4.5% 증가한 325만대(도매 기준)를 기록하였습니다.


■ 영업의 개황

기아는 인도시장에서 판매량이 전년대비 -1.4% 감소한 19 3천대(도매 기준)를 기록하였고, 시장점유율은 전년대비 -0.4%p 하락한 5.9%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경쟁업체들의 신차 출시와 공격적인 판촉 강화가 진행된 가운데, 기아는 제한된 라인업과 주력 모델 노후화로 전년대비 판매 모멘텀이 약화된 이유에 기인합니다.


차종별로는 셀토스, 쏘넷이 각각 상품성 개선 모델을 ‘23.7, 24.1월에 출시하면서, 1~3분기 쏘넷은 8 4천대(도매 기준) 판매되며 전년대비 26.3% 증가하였으나, 셀토스가 5 9천대(도매 기준)로 전년대비 -16.5% 감소하였고, 카렌스는 4 9천대(도매 기준)로 전년대비 -11.7% 감소하였습니다.

 

【중국 시장】
■ 시장 여건

중국시장은 정부 지원과 자동차 업체의 높은 판촉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소비 둔화 영향이 수요 회복을 지연시키며 2024 1~9월에는 전년대비 -1.9% 감소한 1,555 7천대(도매 기준)가 판매되었습니다.

 

■ 영업의 개황

2024 1~9월 중국시장은 EV5 등 신차 투입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쟁업체들의 판촉 경쟁 심화와 PHEV 판촉 강화가 ICE 수요 감소로 이어져 부진한 판매가 지속되어 전년대비 -1.7% 감소한 5 7천대(도매 기준)를 기록하였습니다. 기아는 경쟁업체들의 치열한 가격전쟁에 따른 판매 환경 악화속에서도, 시장점유율을 전년과 동일하게 0.4% 수준으로 유지하였습니다.

 RV
판매 비중(도매 기준) 56.1% K3 승용 판매 확대에 따라 전년동기 54.4% 대비 +1.7%p 확대하였고, EV5 판매로 EV 비중(도매 기준)은 또한 7.0%로 순증하였습니다.

 

. 지적재산권 현황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지적재산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구 분 특 허 디자인
국내  7,976 2,673
해외 14,405 4,622
22,381 7,295

보유특허는 당사 제품 및 사업에 적용되거나 향후 사업 전략적 활용가능성이 있는 기술을 특허로 확보하여, 당사 제품과 사업을 보호하고 경쟁사에 대한 기술 및 사업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 ADAS, IT서비스 기술 등 차량의 전자화와 관련된 미래기술분야 및 전기차,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등 친환경 분야에서 시장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특허확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로봇, 모빌리티, 수소, 오픈이노베이션 등 신사업/신기술 분야에 대한 특허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특허 뿐만 아니라 차량 전체외관 및 헤드램프, 라디에이터그릴 등 주요 부품에 적용된 고유의 디자인을 보호하고자 미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 디자인특허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고객관리 정책

당사는 차량 구매부터 차량운행/관리 지원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자동차 생활을 지원하는 멤버십 프로그램, “기아멤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아 차량을 구매하거나 보유 중인 고객은 기아멤버스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신차 구매 시 구매 차량 및 횟수에 따라 기아멤버스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렌트/리스를 통해 기아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도 회원가입을 통해 기아멤버스 포인트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750여곳에 이르는 정비 서비스 오토큐(Auto Q), 기아멤버스 홈페이지(members.kia.com), 통합모바일앱 MyKia, 차량용품 온라인몰 카앤라이프몰(kia.auton.kr)에서 차량관리 서비 등 제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Kia CarPay, Kia Digital Key와 같은 스마트 카라이프와 더불어, Kia Flex와의 연동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습니다.
 
신차 내외관 손상 및 전손사고 시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카케어 프로그램 또한 기아멤버스 만의 차별적인 프로그램입니다.
 
이와 함께 플래그십 세단 THE K9을 구매한 고객에게 특화 멤버십 프로그램으로 차별화된 혜택과 이를 위한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EV9 구매 고객에게는 출장세차 서비스, 공항 라운지, 프리미엄 공항 픽업/드롭 서비스, 365 골프케어 서비스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특별한 전용혜택이 함께 제공합니다.
 
또한, 기존 EV멤버스와 EV멤버스 택시를 "기아멤버스"로 통합하여 한 장의 멤버십 카드로 충전 로밍 서비스, 구독형 충전 요금제 기아 그린패스와 같은 전기차 고객을 위한 다양한 충전 서비스와 함께 EV정비 프로그램 등 전용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아멤버스는 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분야부터 차종/고객별 차별화된 프로그램들을 통해 기아 자동차를 구매한 모든 고객들의 행복하고 즐거운 카라이프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브랜드 관리 정책
 
브랜드는 당사의 명성과 위상을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비전과 가치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브랜드의 일관된 적용은 지속적인 기업 인지도 축적과 이미지 구축을 가능하게 해 기업의 가치 있는 무형자산이 됩니다. 당사는 C.I (심볼, 시그니처 등)를 비롯한 고유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체계를 정립하여 광고, 스페이스, 문화 컨텐츠, 고객 체험 등 다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일관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브랜드 상표의 올바르고 일관된 적용을 위해 유사상표와 오용사례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감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브랜드는 기업의 이미지와 신용도를 대표하며, 당사 브랜드에 대한 대내외적 공감대를 형성해 브랜드 가치 제고를 가능하게 합니다.

. 환경관련 규제사항

당사는 환경과 관련한 법적 허용 기준 대비 30% 미만으로 엄격한 자체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오염물질 배출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오염물질 배출총량을 줄이기 위한 활동과 환경경영을 통한 녹색성장과 발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사내환경관리>

당사는 대내외 환경이슈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사업장의 환경개선 투자 및 환경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관리수준 향상 등 환경관리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자원 사용에서 발생된 폐수를 최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수질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최적 상태의 폐수처리를 위하여 폐수처리장의 시설보수 및 설비개선을 실시하고, 자동측정기기 (TMS; Tele Monitoring System)를 통해 방류수의 농도를 24시간 관리함으로써 환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환경관리시스템(SHE)을 구축하여 환경관리를 전산화하고 있으며, 대기 및 수질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보다 강화된 사내기준을 설정하여 환경오염물질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장작업 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을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은 최적방지시설 설치, 공정 개선, 청정생산기술 도입 등으로 지속적으로 저감시키고 있습니다.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폐기물은 전량 적법한 폐기물 처리업체를 통해 위탁처리하고 있으며, 기술적 한계 등으로 인해 일부 항목에 한해서 소량 매립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재사용 또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개선을 하고 있으며, 폐기물 재활용 개선활동을 추진하여, 평균적인 폐기물 재활용률이 90%를 상회하는 친환경적인 사업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
유해화학물질>

최근 환경 규제는 각 국가별 탄소중립정책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19 EU Green Deal '20년 순환경제 실천계획 등 유럽을 중심으로 친환경 & 유해물질 Fee 정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경우 폐차법규(End of Life Vehicle) EU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잔류성오염물질관리법(POPs-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등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며 규제지역이 확대되고 규제물질 수가 증가하는 등 규제강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인간과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사용되지 않도록 설계단계부터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이 끝난 폐차에서도 폐기물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에 재질표시를 하는 등의 노력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해물질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제재질정보시스템(IMDS, 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에 가입하여 차량이 생산되기 이전에 부품의 화학물질정보를 입수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협력사와 공동으로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유해물질이 사용된 제품이 전달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는 화학물질 도입 전 사전 검토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서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규제대응 기반을 마련하였고, 공정 별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물질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환경관리시스템(SHE)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타 환경규제>
 
환경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에 대한 보상 및 책임을 규정한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매년 환경배상책임보험에 가입 중입니다.

<강화되는 환경법규>

국내외 환경이슈 및 이해관계자의 요구 등에 따라, 환경법규는 꾸준히 강화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그리고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기본법'은 이러한 추세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기존 환경법규도 개정을 통해 환경오염배출시설 신고대상을 확대하고, 배출허용 기준을 강화하는 등 환경오염배출시설의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내외 환경이슈 및 법규강화에 대해, 보다 능동적인 대응으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지구 환경보전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자동차 산업에 관련된 법령이나 정부 규제는 자동차 안전기준 등의 안전 규제, 배출가스/연비 및 유해물질과 같은 환경 규제, 자동차 관련 조세 등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합니다. 2002 7월부터 제조물책임(PL: Product Liability)법이 시행되었으며, 2003 1월부터 제작사 스스로가 제작/조립한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자체적으로 인증하는 자기인증제를 시행하였습니다. 자동차 관련 법령과 규제는 새로운 모빌리티의 출현을 수용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측면도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소비자 권익과 제조사의 책임을 지속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관련 세금으로는 먼저 자동차 구입단계에서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가 있고, 자동차 등록단계에서는 취득세가 있으며 공채를 매입해야 합니다. 자동차 보유에 대한 세금으로는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가 있습니다.
개별소비세 세율은 떄때로 변화하고 있는데 2020 1월부터는 5%의 개별소비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내수 진작을 위해 2020년에는 일부 감면된 감면된 개별소비세가 적용되었으며, 2021 1월부터는 100만원 한도내에서 30% 감면된 개별소비세가 적용되었습니다. 2023 7월부터는 개별소비세 인하조치가 종료되어 기본세율(5%)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입차는 수입시점에 개별소비세가 부과되는 반면 국산차의 경우 제조장 반출시점에 부과되어 개별소비세 부담이 가중되는 역차별 논란이 있었습니다. 개선을 위해 개별소비세 과세표준 계산방식 특례 제도가 2023 7월부터 도입되었습니다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제8조 제1항 제9). 제조자와 판매자가 동일한 경우 과세표준 산정시 기준판매비율만큼 차감하는 구조로 현재 기준판매비율은 18%로 결정되었으며 해당 비율은 3년간 적용됩니다. 국세청장이 유통/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이윤을 고려하여 기준판매비율 심의회를 거쳐 결정/고시합니다.

이 밖에도 대기환경 보전 차원에서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 규제와 운전자와 탑승자 보호를 위한 안전 규제가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자동차 관련 법규는 각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다양하지만 2050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배출규제를 강화하고 전동화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 법규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는 차량 배출가스에 대한 등급(1~5) 및 저공해자동차(1~3) 제도를 통해 노후 고배출 차량의 도심지 운행을 제한하고 저공해차 차량 보급 장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6년부터 휘발유와 가스차의 평균배출량 기준 및 시험방법, 배출가스 보증기간 등이 단계적으로 강화되었으며, 현재 디젤차를 대상으로 유로6d 수준의 배출기준의 국내 도입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기아자동차 주가 전망
기아 주가
기아 일자별 주가
기아차 실적발표일
기아차목표주가
현대기아주가
기아차우선주
기아자동차 분석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nbsp;추천주 및&nbsp;기업&nbsp;분석 배당금&nbsp;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
현대자동차 주식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nbsp;추천주 및&nbsp;기업&nbsp;분석 배당금&nbsp;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기아 기아자동차 목표 주가 전망 주식 일자별 실적 발표일 우선주 분석  추천주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차트 시세

 

 


현대자동차 주식 삼성전자 주식 기아자동차 주가 현대자동차 주가 lg 에너지 솔루션 주가 포스코 퓨처엠 두산중공업 주식시세 코스피 지수 에코프로 주가 lg전자 주식시세 삼성전자 주가 현대차 주가 한화솔루션 hlb 주가 빗썸

728x90
반응형
LIST